$\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성보존료의 이해
Understanding of Synthetic Preservative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9 no.1, 2016년, pp.30 - 37  

신재욱 (한국식품산업협회 부설 한국식품과학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합성보존료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보에서는 보존료 중 국내에서 사용이 허용된 합성보존료를 중심으로 국내외 지정현황, 사용기준 등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르빈산의 향균기작은? Von Hofmann에 의해서 미숙성딸기의 기름으로부터 처음 분리된 이래 미생물 생육 억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미생물 포자의 발아와 성장을 억제하여 미생물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항균작용 기작을 보면 소르빈산은 미생물 포자의 발아와 성장을 억제하여 미생물 세포의 생성을 막아준다. 또 미생물 세포내 산화적 인산화 효소 기능을 저해하여 정상적인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한다. 특히 전자전달계 반응을 저해 하고 아미노산 흡수를 억제하고 지방산대사 산화물을 축적시켜 미생물의 정상적인 대사를 억제하므로 결국 미생물의 생육이 저해된다(8).
국내에서 지정된 합성보존료는 무엇인가? 현행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합성보존료에 대해 규격 및 사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내에서 지정된 합성보존료는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소르빈산칼슘,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등 13개 품목이 지정되어 있다(Table 1)(5).
안식향산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또 생육에 필요한 필수 영양분의 세포막 투과를 저해하기 때문에 결국 세포는 영양 고갈상태를 맞이하게 되어 미생물이 죽게 된다. 산성식품이나 쉽게 산화될 수 있는 식품 등에 사용된다. 곰팡이, 효모 등의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범위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식품위생법,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2. 송재철, 박현정, 식품첨가물학 (1998) 

  3. 신재욱 등, 식품첨가물 안전성 평가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14) 

  4. 2015 수입식품 등 검사 연보,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5. 식품첨가물공전,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6. Food Chemical Codex, 9th Ed., US Phamarcopeia (2014) 

  7. Annex II of Regulation (EC) No 1333/2008,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2008) 

  8. 第8版 食品添加物公定書解說書, 廣川書店 (2007) 

  9. Food Additive(GSFA) Food Additive Index, CODEX ALIMENTARIUS (2015) 

  10. 신재욱 등,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조사 연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13) 

  11. 식품공전,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12. 이종석, 김영현, 김재민, 강성란, 이찬, 신재욱, 전향숙, 이옥환, 국내외 식품첨가물의 지정현황 및 관리방안, 식품과학과 산업, Vol. 47, No. 2, p.47-53 (2014) 

  13. 최성희 등, 식품첨가물 섭취량에 따른 안전성 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4. 지성규, 최신 식품첨가물학, 식품저널 (2008) 

  15. Cheol-HoLee, Keith H. Steinkrausm P.J. Alan Reilly,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1993) 

  16. 김명철, 박혜경, 홍진환 등, 식품 중 천연유래 안식향산에 관한 연구,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1, No. 5, p.1144-1152 (1999) 

  17. 이수원, 김희재, 황보식,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Vol. 21. No. 4, p.383-388 (2001) 

  18. 정명근: 작약 식물에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 10, No. 5, p.392-398 (2002) 

  19. 박은령, 이선규, 황혜신 등,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7, No. 12, p.1640-1646 (2008) 

  20. Wibbertmann, Kielhorn, Benzoic acid and sodium benzoate, World Health Organization, 12 April, (2005) 

  21. P. Manolaki et al., Effect of a Commercial Adjunct Culture on Organic acid Contents of Low-fat Feta-type Cheese, Food Chemistry Vol. 98, No. 4, p.658-663 (2006) 

  22. Hiromitu Osada,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in Marine Products-Distribution of the Organic Acid in Marine Products, 日本 東洋食品硏究所 硏究報告書, p. 271-274 (1965) 

  23. Toshihiro Nagayama, et al., Benzoic Acid in Agricultural Food Product and Processed Foods, 食衛誌. Vol. 27, No.3 p.316-325 (1986) 

  24. Ann-Christine Salomonsson et al. Quantitative Determination by GLC of Phenolic Acids as Ethyl Derivatives in Cereal Straws, J. Agric. Food Chem., Vol. 26, No. 4, p.830-835 (1978) 

  25. Kenneth R. Markham et al., HPLC and GC-MS Identification of the Major Organic Constituents in New Zealand Propolis, Phytochemistry, Vol. 42, No. 1, p.205-211 (1996) 

  26. Ya-qin Ma, Jian-chu Chen et al., Simultaneous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of Citrus Peel Extracts: Effect of Ultrasound, Ultrasonics Sonochemistry, Vol 16, No. 1, p.57-6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