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평가
Evaluation of Food Additive Intake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9 no.1, 2016년, pp.38 - 47  

최성희 (식품안전정보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방법은 유해물질의 독성에 민감한 집단, 고농도 유해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집단, 유해 물질의 급원 식품을 많은 양 소비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개인의 식사를 조사하는 것이다. 주부들이 섭취하는 모든 식품을 중복 식이로 저장하고, 저장된 샘플 식이들을 실험실에서 분석하여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첨가물의 섭취량 조사를 위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가설 설정

  • 2) Refer to use level of food additives being less than ADI x 40.
  • 어떤 첨가물의 사용이 허용된 모든 식품의 섭취량 자료와 조합하는 첨가물의 농도로 MPL을 사용하는 것은 특정 첨가물의 사용이 허용된 모든 식품이 그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경제적인 이유와 여러 첨가물이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생기는 상승작용 때 문에 대부분의 첨가물은 MPL 수준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MPL을 사용하여 섭취량을 평가할 경우 과장된 결과를 얻게 될 수 있다.
  • 사람이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나 액상식품의 양은 식욕과 갈증이라는 생리적 현상에 영향을 받아, 항상 일정한 수준 이하로 제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섭취 칼로리 및 액상 식품의 양이 제한되게 되면, 식품이나 음료를 섭취함에 따라 식품과 함께 섭취되는 식품 첨가물의 양도 제한된다는 것이 Budget 방법론의 기본 이론이다. 즉, 사용 기준이 없는 식품 첨가물의 사용 기준을 설정할 때와 사용 기준이 있는 식품 첨가물의 최대 섭취량을 추정할 때, Budget 방법에서는 고형식품의 일일 최대 섭취량은 25 g/kg bw, 칼로리의 일일 최대 섭취량은 50 kal/kg bw, 액상 식품의 일일 최대 섭취량은 100 mL/kg bw이고, 고형식품의 에너지 밀도는 2 cal/g 이라고 가정하고 계산에 의해 산출한다.
  • 그러나 식품 중 첨가물섭취량을 평가할 때 이 자료의 값은 몇 가지 이유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첫 번째 가족 혹은 개인수준을 일반적으로 고려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식품공급 자료에 기초한 capita 섭취량평가는 실제 식품소비량조사 자료의 평가보다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첨가물을 왜 사용하는가?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으로 불리는 식품들 이 식탁에 오르는 일이 많아졌고 매일 새로운 형 태의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요즘, 유통이나 보 존, 기호도 등의 다변화로 인하여 식품첨가물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식품첨가물은 식품을 제 조 가공하거나 보존, 기호도 향상을 위해서 부득 이 사용하게 되며, 가공식품의 섭취를 통해 일생 동안 섭취하므로 식품첨가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 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화학물질들과 마찬 가지로 식품첨가물도 목적하는 기능이외에 인체 에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독성을 가 질 수 있으므로 이들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항 상 소비자들의 관심이 되고 있다(1,2).
식품첨가물 사용량은 무엇을 근거로 설정하는가? 특히 최근 에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 확인은 개별 첨가 물의 안전성과 함께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에도 관심이 지속적으 로 증대되고 있어 식품첨가물의 섭취로 인한 국민 건강에 미칠 위해 정도를 평가(risk assessment)하 고 첨가물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에 의한 첨가물의 일일섭취량(노출량평가)을 평가하 고 국민들에게 알려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3). 식품첨가물의 독성은 동물실험을 통 하여 평가되며, 그 사용량은 대상 식품의 품질 및 안정성 증가, 관능적 특성부여, 제조, 가공, 조리, 취급, 포장, 운송, 저장 시 보조역할 제공 등과 같 은 기술적 효과를 위해 필요한 수준을 근거로 설 정하고 있으나, 식품첨가물 섭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첨가물의 사용기준 설정 시 예상 일일섭취량 39 Food Science and Industry (Vol.49 No.
현재 유일하게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조사에 활용하는 식품섭취량 자료는 무엇인가? 최근 국내에서 도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 식하고 “한국인의 식품첨가물일일섭취량 조사연 구”가 2006년 실시되어 섭취량평가에 필요한 “한 국인의 식품첨가물 일일섭취량평가 지침서(안)” 이 제시되었으며, 연구에서 제시한 섭취량평가 우 선순위의 식품첨가물, 다빈도 사용 식품첨가물과 함께 제외국의 평가 동향, 안전성평가 결과 등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 나 식품첨가물의 정확한 섭취량평가를 위해서는 식품섭취량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현재로서 전 국적 수준에서 이루어진 식품섭취량에 대한 값은 24시간 회상법을 활용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 과만이 유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섭취량 자료이 다. 그러나 가공식품에 대한 자세한 섭취량 자료 가 부족하여 실제로 가공식품중의 식품첨가물 함 량의 데이터가 있어도 식품섭취량 자료가 없어서 결과적으로 섭취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섭취 량이 과소평가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최근 다양한 가공식품이 생산 소비되고 있으나 신속하 게 식품코드로 반영되지 못하여 특정 가공식품섭 취량이 없을 경우 그 범주에 속하는 유사한 식품 섭취량을 적용하게 되면 실제보다 과대평가가 되 는 경우도 발생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KH, Choi SH, Kim JW.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for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 65-82 (2011) 

  2. Choi SH, Shin JW, Suh HJ, Kim JW. Safety Re-evaluation of Food additives-About 32 Items contain Color,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3. Jo YH, Cha YS, Lee SJ, Noh JO.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I),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4) 

  4. Park HK, Lee JO, Lee CW. Dietary Intake Methods for Estimating Food Additive Intake, Food Science and Industry 32: 72-85 (1999) 

  5. Gibney MJ. Dietary Intake Methods for Estimating Food Additive Intake,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s31-s33 (1999) 

  6. World Health Organiza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od consump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FAO/WHO Consultation, Geneva, Swizerland. (1997)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63988/1/WHO_FSF_FOS_97.5.pdf) 

  7. ILSI Europe Food Chemical Intake Task Force. An evaluation of the budget method for screening food additive intake. (1997) 

  8. Yun HJ, Lee MK, Lee CH, Lee JO, Lee CW. Food Additive Use Standard Estimation and Daily Intake Estimation of 9 Items Food Additive by Budget Method,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4: 186-194 (1999) 

  9. Gibney MJ, Lambe J. Estimation of Food additives intake : methodology overview,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13: 405-410 (1996) 

  10. ITO Y. Daily Intakes of Food Additives in Japan-Determination, Food Sanitation Research. 45: 17-68 (1995) 

  11.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Food Additives Intake Model (FAIM) Template- Version 1.0.12 (2012) (http://www. efsa.europa.eu/sites/default/files/assets/faimtemplateinstructions. pdf) 

  12. Choi SH, Weon J, Park HK, Moon GI, Kim MS, Lee MS. Survey of Food Additive Intake, Food Science and Industry. 42: 20-27 (2009) 

  13. ITO Y. Study of Food Additives Daily Intake in Japan-Determination (1976-1994). Food Sanitation Research. 45 (19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