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늑대소년>과 여성의 원형적 감정들
Movie A Werewolf Boy and Women's Original Se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198 - 209  

김길훈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프랑스학과)

초록

영화 <늑대소년>은 여성관객의 숨겨진 본래적 욕망을 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늑대이야기는 인류 역사에서 체득된 늑대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그리고 문화적으로 악의 상징으로서의 늑대에 대한 심적 응징의 보상 등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 공포와 처벌대상의 늑대가 아닌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원형적 야성의 은유로서의 늑대에 주목했다. 사춘기 순이의 괴기스런 늑대인간에 대한 경험과 노년의 순이가 이를 회상하는 가운데 여성의 본래적 (성적) 욕망이 모습을 드러낸다. <늑대소년>에 성적 묘사는 없다. 하지만 주인공 순이의 늑대소년과의 교감을 통한 자아성장과정 속에서 프로이의 성이론, 성적 욕망의 억압과 해소 그리고 승화의 메커니즘을 읽어본다. 브뤼노 베틀하임의 전래동화 "빨간모자"의 분석을 통해 사춘기 순이의 본래적 욕망을 분석하고 크리스티바 에스테스의 늑대이야기를 통해서는 노년의 순이가 잊고 있었던 여성의 야생성을 역 추적한다. 본 연구는 <늑대소년>이 생물학적 존재에서 사회적 존재로 거듭나는 가운데 억압되고 제거된 아니면 숨겨져 있던 여성의 본래적 욕망을 재 각성시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표면적으로 <늑대소년>이 잔잔한 로맨스의 달콤함을 보여주지만 내면적으로는 환타지한 늑대인간과의 사랑을 통해 억압과 금기에 대한 저항의 쾌락과 연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vie, A Werewolf Boy, describes metaphorically the hidden desire of female audience. The majority of stories about wolves contains fear of wolves inherited by and learned through human history struggling with the nature. They also shows punishment and reward toward wolves as a cultural symbol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으로 야생늑대는 어떤 존재인가? 그 이유는 영화가 여성의 감수성과 어울리는 멜로적 성향을 띠기도 하지만 ‘늑대’의 어의가 담보하고 있는 야생성에 여성관객의 관심이 모아졌을 것으로 사료된다. 문화적으로 야생늑대는 유목민의 재산에 손해를 입히는 해로운 동물이며 정서적으로 (기독교의) 마녀와 등가물이다. 이러한 늑대의 은유된 이야기들은 인류의 수렵생활시절부터 체득된 늑대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그리고 문화권역별로 악의 상징으로서의 늑대에 대한 심적 응징의 보상 등을 담고 있다.
영화 <늑대소년>의 흥행에 있어서 여성관객의 참여가 돋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여성관객의 참여[1]1)가 돋보였다. 그 이유는 영화가 여성의 감수성과 어울리는 멜로적 성향을 띠기도 하지만 ‘늑대’의 어의가 담보하고 있는 야생성에 여성관객의 관심이 모아졌을 것으로 사료된다. 문화적으로 야생늑대는 유목민의 재산에 손해를 입히는 해로운 동물이며 정서적으로 (기독교의) 마녀와 등가물이다.
20세기 초반까지 부르주아 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성적욕망을 어떻게 보았는가?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부르주아 사회는 남성은 성충동이 강하고 여성은 성의식이 강한 것으로 보고, 그결과 남성의 성적욕망은 공격적이고 여성의 방어적일수밖에 없다는 태도를 견지해 왔다. 고전주의 (공포와 호러) 영화에서 프랑켄슈타인, 뱀파이어, 요괴, 늑대인간, 유령, 마녀, 쥐와 같은 등장인물은 주로 남성의 억압된 성적욕망을 대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소비자조사, p.74, 2009. 

  2.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p.251-273, 1976. 

  3. Clarissa P. Estes, 손영미 역,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자들 Women who run with the wolves, 이루, 2013. 

  4. Francesco Casetti, 김길훈 외, 현대영화이론Teorie del cinema: 1945-1990, 한국문화사,p.134, 2012. 

  5. Francesco Casetti, 김길훈 외, 현대영화이론 Teorie del cinema: 1945-1990, 한국문화사, pp.236-237, 2012. 

  6. 종교학 대사전, 1998. 

  7. Jean-Marc Moriceau, Histoire du mechant loup, Paris, Fayard, 2007. 

  8. J. Rychner, Les lais de Marie de France, Paris, Champion, 1983. 

  9. H. B. Werness,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Art, New York & London, pp.435-436, 2003, 김준현, "프랑수아 비용의 변신의 시학," 불어불문학연구, 제93집, pp.78-79, 2013 재인용. 

  10.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264, 1976. 

  11.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p.262-263, 1976. 

  12. Wilhelm Reich, 윤수종 역, 성정치 Die Sexuelle Politik, 중원, p.58, 2011. 

  13.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266, 1976. 

  14. Paul Ricoeur, 양명수 역,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pp.37-44, 2011. 

  15. Peter Brooks, 이봉지 역,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pp.83-85, 2003. 

  16. 류현주, "안젤라 카터의 피로 물든 방에 나타난 늑대 모티프," 신영어영문학, 제58집, pp.65-68, 2014. 

  17. 김길훈, "영화 의 정서적 이중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67-69, 2013 재인용.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