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고객지향적 행동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Customer Oriented Behaviors: Focusing upon Self-Employed Business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376 - 390  

문종현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이동철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김재필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소상공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고객지향적 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노동(표면조절, 심층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고객지향적 행동 및 감정노동(표면조절, 심층조절)에 대한 영향력 관계, 감정노동(표면조절, 심층조절)의 고객지향적 행동의 주효과,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고객지향적 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노동(표면조절, 심층조절)의 매개효과 검증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제주지역의 소상공인 270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상공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고객지향적 행동 및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고, 감정노동 가운데 표면조절만이 고객지향적 행동에 영향력이 있으며, 표면조절은 양자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상공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서비스접점에서 주요한 능력임을 입증하는 것이며, 서비스 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in the links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of small businessmen and customer orientation behavior. In detail, it is demonstrated both impacts of communication ability on customer orientation behavior and emotional l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부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가? 반면에 외부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을 둘러싼 외부 이해관계자와 관련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과정이다[47]. 외부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부 커뮤니케이션 과정 가운데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접근하고 있다[47].
Reece 와 Brandt는 발신자인 리더와 수신자의 부하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에서는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의미하며 주로 조직 차원에서 상사와 부하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주목하고 있다[9][10][12]. Reece 와 Brandt[53]는 발신자인 리더와 수신자의 부하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사교성과 독단성을 기준으로 하여 감정형, 지휘형, 사려형, 지원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있다. 또한 Ben-Sira[49]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통제형과 협력형으로 양분하여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설명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목적인 대화 쌍방 간에 의미있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과 대화 주체간의 상호작용은 각각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목적은 대화 쌍방 간에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대화 주체간의 상호작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12]. 대화 쌍방 간에 의미있는 메시지 전달은 커뮤니케이션 주체 가 공유하는 목적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반면에 커뮤니케이션 주체간의 상호작용 과정으로의 접근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간의 감정, 동기, 인지, 행동을 설명하는 선제적 과정이다[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R. Saxe and B. A. Weitz, "The SOCO Scale: A Measure of The Customer Orientation of Salespeopl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9, No.3, pp.343-351, 1982. 

  2. W. S. Kelley and K. D. Hoffman, "An Investigation of Positive Affect, Prosocial Behaviors and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73, No.3, pp.407-427, 1997. 

  3. 김성훈, 지성호, 강영순,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 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5호, pp.93-114, 2014. 

  4. J. T. Brown, J. C. Mowen, D. T. Donavan, and J. W. Licata, "The Customer Orientation of Service Workers: Personality Trait Effects on Self and Supervisor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9, No.1, pp.110-119, 2002. 

  5. 신지화, 탁진국,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2호, pp.385-407, 2011. 

  6. E. S. Hobfoll,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Vol.44, No.3, pp.513-524, 1989. 

  7. M. C. Brotheridge and R. T.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6, No.3, 365-379, 2003. 

  8. 이상희, 전창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연구,"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pp.427-436, 2015. 

  9. 이전희, 문형구, 김경민, "군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부하의 조직몰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4호, pp.739-758, 2011. 

  10. 장영임, 변혁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장해순, "대인갈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호관계, 매력간의 관계," 언론과학연구, 제3권, 제2호, pp.302-344, 2003. 

  12. 지성호, 강영순,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지각된 상사 관계의 매개효과,"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pp.2809-2823, 2013. 

  13. 지성호, 강영순, "사회과학분야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pp.3121-3131, 2014a. 

  14. 지성호, 강영순, "주도성 및 상사코칭과 조직경력성장의 관계에서 지속경력학습의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집, 제3권, pp.151-180, 2014b. 

  15. 진윤희, 김성종,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pp.418-426, 2015. 

  16. A. D. Harrison and E. M. McLaughlin, "Cognitive processes in self-report responses: Tests of item context effects in work attitude 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pp.129-140, 1993. 

  17. A. K.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ey, 1989. 

  18.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and Its Effect on Job Burnout in Korean Organization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10. 

  19. C. Argyris, "Explorations in interpersonal competenc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1, No.1, pp.58-83, 1965. 

  20. J. T. Kim, G. Yoo, G. Lee, and J. Kim,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Acting Strategies among Frontline Hotel Employe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Vol.24, No.7, pp.1029-1046, 2012. 

  21. Y. Liu, L. M. Prati, P. L. Perrewe, and G. R. Ferr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ources and Emotional Lab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8, No.10, pp.2410-2439, 2008. 

  22. H. J. Kim, S. G. Lee, D. W. Shin, and J. H. So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Processes on Adaptive Selling Behavior and Sales Performance," Asia Marketing Journal, Vol.16 No.1, pp.71-100, 2014. 

  23. 이현응, 이항, 김준환, "감성지능 및 감정노동이 백화점 판매원의 고객지향성과 판매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13권, 제4호, pp.97-117, 2010. 

  24. 이랑, 김완석, 신강현,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지원 모델에서 정서노동전략의 역할 :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제19권, 제4호, pp.573-596, 2006. 

  2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26. R. A.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28. C. J. Anderson and W. D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 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pp.411-423, 1988. 

  29. C. R. MacCallum and S. Hong, "Power analysi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using GFI and AGF," Multivariate Behavior Research, Vol.32, pp.193-210, 1997. 

  30. J. D. Canary and H. B. Spitzberg,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perceptions of conflict strategi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pp.93-118, 1987. 

  31. A. A. Grandey,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1, pp.86-96, 2003. 

  32. E. Demerouti, A. B. Bakker, F. Nachreiner, and W. B. Schaufel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3, pp.499-512, 2001. 

  33. G. Holmbeck,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pp.599-610, 1997. 

  34. A. J.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35. 백선애, 이재창,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7권, 제4호, pp.781-804, 2014. 

  36. 유필화, 박대현, 곽영식, "판매원의 고객지향지수 개발 및 판매원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7권, 제2호, pp.59-85, 1996. 

  37. K. Preacher and A.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pp.717-731, 2004. 

  38. M. Solomon, C. Surprenant, J. Czepiel, and E. Gutman, "A Role theory perspective on dyadic interactions: The service Encounter," Journal of Marketing, Vol.49, pp.99-111, 1985. 

  39. L. Hu and M.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40. M. P. Podsakoff, B. S. MacKenzie, Y. J. Lee, and P. N.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pp.879-903, 2003. 

  41. J. M. Papa, "Communicator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55, pp.87-101, 1989. 

  42. 김화연, 이형룡, "서비스 직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체인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2호, pp.69-88, 2011. 

  43. B. R. Rubin, "The validity of the communication cometency assessment instrument," Communication Monograph, Vol.52, pp.173-185, 1985. 

  44. L. E. Penley, E. R. Alexander, I. E. Jernigan, and C. I. Henwood, "Communication abilities of managers: The relationship to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p.57-76, 1991. 

  45. H. B. Spitzberg and L. M. Hecht, "A component model of relational compet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pp.575-599, 1984. 

  46. H. B. Spitzbweg and R. W. Cupac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Beverly Hills, CA: Sage, 1984. 

  47. 임창희, 홍용기,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도서출판 청람, 2010. 

  48. P. Salovey and D. J. Mayer,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P. Salovey and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emotional liter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sic, 1997. 

  49. Z. Ben-Sira, "Affective and instrumental components i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An additional dimension of interaction theor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 pp.170-180, 1980. 

  50. J. D. Canary and H. B. Spitzberg,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perceptions of conflict strategi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pp.93-118, 1987. 

  51. 이건혁, "커뮤니케이션 참여, 그리고 조직성과 - 지식공유와 신뢰의 매개효과," 언론과학연구, Vol.12, No.3, pp.268-300, 2012. 

  52. B. Harley, "Employee responses to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practices: An analysis of the AWIR95 data," The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Vol.44, No.3, pp.418-434, 2002. 

  53. L. B. Reece and R. Brandt, Work force diversity a new definition in effective human relation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applications 8th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