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텔레비전 뉴스 콘텐츠에 나타난 탈북민의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the Image of North Korean defector on the TV New Cont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403 - 414  

최진봉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의 탈북민 관련 보도내용 분석을 통해 탈북민들에 대한 이미지가 언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어지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민 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주로 다루고 있는 보도 주제가 무엇인지, 탈북민 관련 뉴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어떤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는지, 그리고 탈북민 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어떤 뉴스 프레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텔레비전 방송사들은 탈북민 관련 보도에서 북한정권에 대한 비판과 함께 남한 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탈북민들이 겪고 있는 실제적인 문제들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탈북민을 포함한 소수자 집단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를 분석한 다른 연구들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소수자 집단에 대한 언론의 보도에서 소수자 집단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나 의사와 관계없이 그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과 생활방식에 의해 규정되어지고, 스스로의 목소리를 통해 말하기보다는 주류사회의 관점에 의해 말해지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uth Korean TV news programs represent the image of North Korean defector through analyzing South Korean TV news contents portraying North Korean defector.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study analyzes the main subjects of the South Korean TV new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미디어 프레이밍 이론에 따르면, 탈북민들에 대한 남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결국 시청자들이나 독자들에게 탈북민들에 대한 특정 이미지와 선입견을 심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의 주요 텔레비전 방송사들이 탈북민 관련 보도에서 어떤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탈북민들에 대한 이미지가 언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탈북민 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주로 다루고 있는 보도 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탈북민 관련 뉴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어떤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는지, 그리고 탈북민 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어떤 뉴스 프레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 나아가, 소수그룹에 대한 뉴스 미디어의 재현 내용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뉴스 미디어가 소수그룹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어떤 뉴스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북민 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뉴스 프레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 일반적으로 소수그룹에 대한 뉴스 미디어의 재현내용에 대한 콘텐츠 분석은 뉴스의 주제와 재현대상이 되는 소수그룹을 뉴스 미디어가 어떤 이미지로 묘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도 탈북민들에 대해 남한의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 앞서 분석한 기존 선행연구들의 연구 방법과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남한의 주요 텔레비전 방송사들이 탈북민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과정에서 어떤 보도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탈북민 관련 뉴스가 주로 보도하는 주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텔레비전 뉴스에 등장하는 탈북민들이 어떤 모습으로 등장하는지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소수그룹에 대한 뉴스 미디어의 재현내용에 대한 콘텐츠 분석은 뉴스의 주제와 재현대상이 되는 소수그룹을 뉴스 미디어가 어떤 이미지로 묘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방송사별 탈북민 관련 뉴스를 분석하여 각 방송사가 탈북민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가 무엇인지, 탈북민의 이미지는 텔레비전 뉴스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방송사들이 탈북민 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주로 사용하는 뉴스 프레임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에 입국하는 탈북민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던 시기는 언제인가? 1950년 첫 귀순자가 나온 이래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넘어온 탈북민수는 지난 2011년 말 2만 명을 넘어선 이후, 약 1년 반 만인 2013년 8월 2만 5560명을 기록하고, 지난해 말 기준으로 2만 7천명 까지 증가했다[1]. 한국에 입국하는 탈북민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던 시기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약 4년간으로,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연간 입국 탈북민 수가 1000명대를 유지하다가, 2006년부터 한해 입국자 수가 2000명을 넘게 되고, 2009년에는 한 해 동안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수가 2,917명으로 최고점에 달했다[2].
기존에 표준적인 탈북민의 모습은 어떠하였는가? 2000년대 탈북행렬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한국으로 입국하는 탈북민들의 모습도 많이 바뀐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기존에는 무직 또는 노동자 출신의 성인남성이 단독으로 탈북을 감행하는 현상이 표준적인 탈북민의 모습이었다면, 현재는 가족과 함께 탈북한 20~30대 여성 탈북민이 가장 전형적인 탈북민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3].
탈북민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실제로, 탈북민들의 입국현황을 분석해 보면 가장 많이 달라진 것이 바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1998년도까지만 해도 전체 탈북민의 12%에 불과했던 여성 탈북민 비율이 꾸준히 늘어나 2006년에는 전체 탈북민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러한 탈북민들의 성비 역전 현상은 가족동반 탈북이 대세가 되면서 생긴 현상으로, 최근에는 기존의 탈북민 들과 달리 어떻게 해서든 가족과 함께 탈북하려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 2015년 3월 2일. 

  2. , 2013년 10월 14일자. 

  3. , 2015년 3월 2일. 

  4. , 2013년 10월 14일자. 

  5. , 2013년 10월 14일자. 

  6. , 2013년 10월 14일자. 

  7. , 2013년 10월 14일자. 

  8. 김희진, 이수민, "신문 보도사진에 나타난 남녀 경제리더의 이미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80-92, 2012. 

  9. H. Gans, Deciding What's News, Pantheon, 1979. 

  10. E. J. Epstein, News Prom Nowhere, Random House, 1974. 

  11. G. Tuchman,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Free Press, 1978. 

  12. P. Berger ans T. Luckman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nchor, 1967. 

  13. W. A. Gamson and A. Modigliani,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A Constructionist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Society, Vol.95, pp.1-37, 1989. 

  14. T.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5. S. T. Fiske, Stereotyp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998. 

  16. D. Croteau and W. Hoynes, Social Inequality and Media Representation, In D. Croteau & W. Hoynes (Eds.), Media Society: Industries, Images, and Audiences, Pine Forge Press, 2006. 

  17. P. Golding and G. Murdock, Culture, Communication, and Political Economy, In J. J. Curran & M. Gurevitch (Eds.), Mass Media and Society, Edward Arnold, 1991. 

  18. C. Wilson and F. Gutierrez, Minorities and Media, Sage Publication, 1985. 

  19. 정연구, 송현주, 윤태일, 심훈, "뉴스 미디어의 결혼이주여성보도가 수용자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다문화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405-444, 2011. 

  20. 곽정래, 이준웅, "김대중.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 등 5대 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6호, pp.196-217, 2009. 

  21. M. Schudson, "The Politics of Narrative Form: The Emergence of News Conventions in Print and Television," Daedalus, Vol.111, pp.97-112, 1982. 

  22. 정재민, 김호연, "사회적 약자 보도를 위한 가이드라인: 장애인과 장애공동체 보도를 중심으로," 저널리즘 평론: 사회적 약자, pp.104-146, 2005. 

  23. 정의철, 이창호,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5호, pp.84-110, 2007. 

  24. B. Merritt, Illusive Reflections: African American Women on Prime Time Television. IN A. Gonalezm, M. Houston, & V. Chen (Eds.), Our Voice, Roxbury. 2000. 

  25. A. Mitra, "Voices of The Marginalized on the Internet: Examples from a Website for Women of South Asia,"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4, pp.492-510, 2004. 

  26. 양정혜,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 제7권, pp.47-77, 2007. 

  27. 채영길, "미디어의 이주민 타자화 프레임 분석," 언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05-241, 2010. 

  28.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644-678, 2010. 

  29. 김경희, "텔레비전 뉴스 내러티브에 나타난 재한 이주민의 특성: 뉴스초점 이주민과 주변인물(한국인.이주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7-4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