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Astronomy Topics: Based on Grounded Theor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607 - 616  

배성희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학과) ,  김형범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서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반응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태양계'와 '외권과 우주개발'을 담당하는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29부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완결된 27부를 연구 자료로 채택하였다. 또한 질문지로부터 나온 총점을 빈도 분석하여 상위 및 하위 5%를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준참여관찰, 녹음, 반구조화된 면담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능감이 높은 과학 교사의 수업에서는 천문 분야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고 교과 내용학 지식이 매우 높았다. 둘째, 효능감이 낮은 교사가 교사 위주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는 반면,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습자 위주의 수업과 이에 맞는 수업전략이 마련되어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천문연구회를 통한 과학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구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받고 있었다. 따라서 천문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교과 내용학 지식을 통한 수업전략 뿐만 아니라 천문관측과 같은 수업관련 활동이 과학 교수 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주는 중요 변인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the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ir class according to STEB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secondary science teacher in astronomy classes. Middle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Solar System' and 'The Exosphere and Space Development' in the 200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천문 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자신감을 나타내는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는 효과적인 과학 수업 지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지구과학 단원인 천문 수업에 관해 초점을 맞추었으며 중등학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서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반응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북, 대전, 충청지역 중학교에 근무하는 과학 교사들 중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태양계’와 ‘외권과 우주개발’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29부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지에 의해 선정된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중등 교사 2명과 과학 교수 효능감이 낮은 중등 교사 2명에 대해 수업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지는 Riggs과 Enochs[16]가 개발한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본 연구에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 이 연구는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반응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림 1]은 본 연구의 절차이다.
  • 물론 처음에는 태양계나 우주 등의 개념 등 학생들이 알아야 할 과학개념들이 많아 어떻게 수업을 진행해야 할지 고민은 되었지만 각 단원별 내용요소를 나누고 이에 대한 적절한 수업 전략을 사용하였더니 학생들이 매우 재미있어 했어요. 학생들이 우주에 대한 관심을 더 지속적으로 갖도록 수업전략을 다시 시도해 보려고해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수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과학 교육 개혁의 흐름 속에서 과학 교사의 중요성은 꾸준히 대두되었다. 이에 1990년대 미국에서는 여러 가지 과학과 관련된 기준을 발표했는데, 이러한 기준의 중심에는 ʻ과학 교수(science teaching)ʼ가 자리하고 있었다[1].
과학에서의 천문영역이 학습자들에게 어렵게 인식되고, 오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교수 효능감에 따른 교수 실제의 차이는 주로 과학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과 내용학적 지식과 과학 수업 전략 및 지도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7]. 특히 지구과학분야 중 천문 분야는 다른 과학분야와 달리 탐구대상인 천체들이 먼 거리에 있고, 실험실에서 동일 실험과 반복 실험이 불가능하며[11], 추상적이고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개념에 대한 연구들이 많다[12]. 이로 인해 과학에서의 천문영역은 학습자들에게 어렵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만큼 오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영역이다[13].
과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이와 관련하여 Weiss, Pasley, Banilower과 Heck[2]은 과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교사의 지식과 믿음, 경험이 수업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이나 과학교육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Supovitzr과 Turner[3]은 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교사의 전문성 중에서도 교사들이 어떻게 전문적인 지식을 계발해왔는지, 또 교수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왔는지에 대한 교수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2. I. R. Weiss, J. D. Pasley, E. R. Banilower, and D. J. Heck, Looking inside the classroom: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orizon Research Inc, 2003. 

  3. J. A. Supovitz and H. M. Turner, "The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classroom cul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37, No.9, pp.963-980, 2000. 

  4. S. Gibson and M. H. Dembo,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No.4, pp.569-582, 1985. 

  5. P.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No.5, pp.28-32, 1984. 

  6. T. R. Koballa and F. E. Crawley, "The influence of attitude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85, No.3, pp.222-232, 1985. 

  7. L. G. Enochs, L. C. Shrmann, and M. Riggs,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Vol.79, No.1, pp.63-75, 1995. 

  8. K. J. Schoon and W. J. Boone, "Self-efficacy and alternative conceptions of sc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Vol.82, No.5, pp.553-568, 1998. 

  9. J. Cakiroglu and W. J. Boo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nd Their Conceptions of Photosynthesis and Inherita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ol.14, No.1, pp.1-14, 2002. 

  10. 맹희주, 통합과학교육의 적용과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과학교수효능신념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1. 임청환, 정진우, "초등학교 자연과 천문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47-256, 1993. 

  12.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16-225, 1996. 

  13. 명전옥,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2권, 제5호, pp.339-349, 2001. 

  14. J. Calderhead, "Stimulated recall: A method for research o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Vol.51, No.2, pp.211-217, 1981. 

  15. P. Meade and M. McMeniman, "Stimulated recall: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examining successful teaching in scienc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Vol.19, No.3, pp.1-18, 1992. 

  16. I. M. Riggs and L. G. Enochs,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Science Education, Vol.74, No.6, pp.625-673, 1990. 

  17. A. L. Strauss and J. M. Corbin, 근거이론의 이해(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신경림 역, 한울아카데미,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