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잎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 중 식중독 미생물 분석
Analysis of Foodborne Pathogens in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ocessing Step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9 no.1, 2016년, pp.63 - 68  

오태영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백승엽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최정희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정문철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구옥경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김승민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김현정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토양 및 용수 등 환경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생산단계 어린잎 채소와 환경 시료의 일반 세균수는 모두 6.8 log CFU/g 이상 분석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어린잎 채소와 토양에서 각각 3.2 log CFU/g 및 3.5 log CFU/g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가공공정 단계에서는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세척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제품 단계에서는 오염수준이 감소되었다. B. cereus의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어린잎 채소와 토양 또는 지지토에서 오염도가 높았으며, 가공공정에서는 원료 대비 최종 제품에서 약 1.4 log CFU/g 정도 감소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정성분석 결과 생산단계에서는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음성이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B. cereus를 이용하여 rep-PCR에 의한 유전적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생산단계의 경우 지지토와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이 높아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지지토에 오염된 균주가 어린잎 채소로 이행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 반면 가공공정에서 분리된 균주의 경우 유전적 상동성이 낮아 공정 중 재 오염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microgreen from harvesting and processing step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viable cell counts (TVC), coliforms, Enterobacteriacea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어린잎 채소 생산과 가공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가공단계별 원료 및 환경을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함으로써 생산 및 가공 단계에서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단계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 분석을 통해 오염원을 추정하여 최종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을 제고하고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미생물 위해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어린잎 채소 생산과 가공공정에서 원료농산물과 가공단계별 원료 및 환경을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분석함으로써 생산 및 가공 단계에서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어린잎 채소의 생산 및 가공 단계에서 분리된 균주의 유전적 상동성 분석을 통해 오염원을 추정하여 최종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을 제고하고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미생물 위해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의 식품의 장점과 단점은? 샐러드, 새싹채소 등 신선편의 식품은 조리시간의 절약과 간편성 그리고 가열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소한의 비가열적 가공공정만을 거쳤기 때문에 원료 농산물의 생산 및 유통과정 중 세균,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식품자체가 식중독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Chang 등, 2004; Cho 등, 2007; Berger등, 2010). 최소 가공된 신선채소와 과일 섭취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어린잎 채소의 가공 공정에서 분리된 장내세균들 중, 사람에서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은? 공정의 각 단계별로 장내세균이 고르게 분석되었으며, 세척공정에서 가장 낮게 검출되었으나 헹굼 및 탈수단계로 진행되는 동안 장내세균의 검출 빈도가 증가하였다. 장내세균 중 Citrobacter, Enterobacter, Escherichia, Klebsiella, Salmonella, Yersinia spp. 등은 사람에서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HPA, 2007).
해외의 식중독 발생 현황은? 과거에는 동물성 식품에 의해 대규모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반면 최근 유럽에서 발생한 대규모 STEC O104 감염사례와 같이 채소류 섭취로 인한 식중독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EFSA, 2011). 식중독 발생은 생활수준이 높은 유럽이나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증가하는 추세이며, 미국의 경우 1970년대 1%에 불과하던 농산물관련 식중독이 1990년부터 2004년 사이에 21%로 발생빈도가 증가하였고(Sivapalasingam 등, 2004), 2008년 환자수를 기준으로 원인 식품별로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농산물에 의한 식중독이 가장 많았다고 보고된 바 있다(Painter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YM, Heu SG, and Lee SY (2009) Inhibitory effect of dry-heat treatment and chemic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s of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65?70. 

  2.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and Lee SY (2011)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1?8. 

  3. Berger CN, Sodha SV, Shaw RK, Griffin PM, Pink D, Hand P et al. (2010) Fresh fruit and vegetables as vehicles for the transmission of human pathogens. Environ Microbiol 12, 2385?97. 

  4. Beuchat LR (2002)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and growth of human pathogens on raw fruits and vegetables. Microbes and Infection 4, 413?23. 

  5. Burnett SL and Beuchat LR (2001)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27, 104?10. 

  6. Chang TE, Moon SY, Lee K, Park JM, Han JS, Song OJ et al. (2004) Microflora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final products of saengshik.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01?6. 

  7. Cho SD, Youn SJ, Kim DM, and Kim GH (2007) Quality evaluation of freshcut market products by seas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 295?303. 

  8. EFSA (2011) Tracing seeds, in particular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in relation to the Shiga toxin-producing E. coli (STEC) O104:H4 2011 Outbreaks in Germany and Franc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Italy. 

  9. HPA (2007)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National Standard Method BSOP ID 16, Issue 2. Health Protection Agency, UK. 

  10. Hyeon JY, Chon JW, Hwang IG, Kwak HS, Kim MS, Kim SK et al. (2011) Prevalence, antibiotic resista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serovars in retail meat products J Food Prot 1, 161?6. 

  11. ISO (2004) Microbiology of food and animal feeding stuffs-horizontal methods for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Enterobacteriacea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Switzerland. 

  12. Jo MJ, Jeong AR, Kim HJ, Lee NR, Oh SW, Kim YJ et al. (2011)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91?7. 

  13.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and Park JH (2011)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 

  14. Kim HJ, Koo MS, Jeong AR, Baek SY, Cho JI, Lee SH et al. (2014) Occurrence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commercially available fresh vegetable products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7, 367?70. 

  15.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et al. (2011)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Korean J Fd Hyg Safety 26, 289?95. 

  16. MFDS (2014)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17. Painter JA, Hoekstra RM, Ayers T, Tauxe RV, Braden CR, Angulo FJ et al. (2013) Attribution of foodborne illnesses, hospitalizations, and deaths to food commodities by using outbreak data, United States, 1998-2008. Emerg Infect Dis 19, 407?15. 

  18. Rameshkumar N and Nair S (2009) Iso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genetically diverse antagonistic, diazotrophic red-pigmented vibrios from different mangrove rhizospheres. FEMS Microbiol Ecol 67, 455-67. 

  19. Sivapalasingam S, Fridman CR, Cohen L, and Tauxe RV (2004) Fresh produce: A growing cause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1973 through 1997. J Food Protect 67, 2342?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