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 지역 일부 대학생에서 영양표시와 영양강조표시 이용에 따른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 평가 연구- 영양지수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Use of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Area - Based on Nutrition Quotient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3, 2020년, pp.179 - 188  

배윤정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박서영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박혜린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the status on the use of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s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the diet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according to the us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서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의 이용에 따른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그에 따른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생에서 영양표시와 영양강조표시를 이용하는 경우 식사의 균형성, 다양성, 절제성, 식행동 등 모든 영역의 영양지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에서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의 사용이 식사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통계의 조사내용[19]과 동일하게 영양표시 인지 여부(영양표시를 알고 있습니까?), 영양표시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이용 여부(가공식품을 사거나 고를 때 ‘영양표시’를 읽습니까?), 영양표시를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영향 여부(영양표시 내용이 식품을 고르는 데 영향을 미칩니까?)를 조사한 특성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 이용에 따른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영양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양지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통계적으로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져 신뢰성이 확보된 도구이다[18].
  •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지역 대학생(남자 86명, 여자 131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영양표시와 영양강조표시 이용에 따른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대상자에서 영양표시를 인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80.
  • 이를 볼 때 영양표시의 인지나 이용 정도에 따라 식사 섭취 상태가 다를 수 있으나,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양표시의 인지나 이용 정도에 따라 전반적인 식사 섭취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섭취 기회가 높은 대학생들에게서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영양표시 및 영양강조표시의 이용에 따른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Labeling System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Cited 2020 May 2].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eng/wpge/m_14/denofile.do.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utrition labeling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Cited 2020 May 2].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3. Bae YJ, Yeon JY.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2011; 17(4): 387-402. 

  4. Jun YS, Choi MK, Bae YJ. Night eating and nutrient intake statu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2): 216-225. 

  5. Kim YY, Kim SJ, Choi MK. Comparison of processed food intake by allowance level in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2015; 21(4): 280-290. 

  6. Lee SL. Survey on health status and food habits of male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according to drinking behavior. J Korean Diet Assoc 2016; 22(1): 41-52. 

  7. Pae M. Dietary habits and perception toward food additiv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at convenience stor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eongju.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40-151. 

  8. Kim SH. Coffee consumption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dietary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coffee intake amount among university students. J Nutr Health 2017; 50(3): 270-283. 

  9. Park EJ. Perception and consumption status of food labeling of processed foods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gu.Gyeo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3; 23(6): 671-680. 

  10. Kim MH, Lee YW, Jung H. Use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of snacks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Korean J Food Nutr 2015; 28(5): 858-865. 

  11. Choi JH, Yi NY. The study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al labeling. Korean J Food Nutr 2013; 26(3): 391-397. 

  12. Yu KH, Kim MJ, Ly SY. A comparison of convenience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ood habits: How female college students use nutrition labelings. Korean J Food Nutr 2012; 25(1): 1-8. 

  13.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2005; 105(3): 392-402. 

  14. Stran KA, Knol LL. Determinants of food label use differ by sex. J Acad Nutr Diet 2013; 113(5): 673-679. 

  15.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Based on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4; 47(3): 193-205. 

  16. Yeon JY. Study on the sweet taste perception,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nutrition labeling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the self-perceived sugar intake red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018; 33(1): 18-25. 

  1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line for treatment of obesity.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p. 17-21. 

  18. Lee JS, Kim HY,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 51(4): 340-356.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0. Oh NG, Gwon SJ, Kim KW, Sohn CM, Park HR, Seo JS. Status and need assessment on nutrition & dietary life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52-164. 

  21. Lewis CJ, Yetley EA. Focus group sessions on formats of nutrition labels. J Am Diet Assoc 1992; 92(1): 62-66. 

  22. Jeong DU, Lee HO, Kim YK, Om AS. A study on vitamin C content of nutrition emphasized produc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6): 574-579. 

  23. Jeong DU, Lee HO, Kim YK, Seo KH, Om AS. Minerals (Calcium, Iron, Zinc) analysis and interaction of emphasized nutrition indication on products. J Food Hyg Saf 2016; 31(6): 420-425. 

  24. Kim GW, Park MR. Effects of the dietary consciousness on intake frequency of foods by gender and generatio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4; 24(4): 503-513. 

  25. Lee Y, Shim JE, Yoon J.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09-118. 

  26. Graham DJ, Laska MN. Nutrition label us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healthy eating and overall dietary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J Acad Nutr Diet 2012; 112(3): 414-418. 

  27. Christoph MJ, An R. Effect of nutrition labels on dietary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 Rev 2018; 76(3): 187-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