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Bayesian 기반 Multi-Segmented 곡선식을 활용한 수위-유량 곡선의 불확실성 분석
A development of rating-curve using Bayesian Multi-Segmented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3, 2016년, pp.253 - 262  

김진영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김진국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  이재철 (충남도립대학교 건설정보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방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위-유량 관계곡선(rating curve)은 수위표에서 관측된 수위 및 유량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회귀분석식을 의미하며, 하천의 수위를 유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서 저수위와 고수위와 분리 및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 불확실성을 고려한 해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서 매개변수 추정 및 저 고수위 분리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매개변수의 추정과 더불어 불확실성을 정량화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더불어 Bayesian 모형 기반 Multi-Segmented 수위-유량 관계곡선(Bayesian M-S)을 활용하여 저 고수위를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개발하고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Bayesian M-S 기법이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보다 개선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신뢰구간을 제시하는데 유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ating curve is a regression equation of discharge versus stage for a given point on a stream where the stream discharge is measured across the stream channel with a stage and discharge measurement. The curve is generally used to calculate discharge based on the stage. However, the existing appro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단순한 구간분리를 통해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작성하는 경우 자료 전체의 분산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과 더불어 분리된 곡선간의 불연속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매개 변수에 하도 및 단면통제를 기준으로 사전분포를 부여하여 추정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이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 불확실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Reitan and Petersen-Øverleir (2008)이 제시한 방법론을 근간으로 모형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Gibbs 샘플링 기반의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직접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 이와 더불어 유량자료와 같이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 기존 최소자승법에 근거한 매개변수 추정은 곡선식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Bayesian 모형 기반의 Multi-Segmented 기법을 개발하여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저수위 및 고수위 구분 시 발생하는 문제 및 추정되는 유량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새로운 수위-유량 관계 곡선 모형을 개발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시 사용되는 최소자승법은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추정되는 유량에 대한 불확실성 구간 또한 정량적으로 산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작성에 있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불확실성 평가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수위-유량 측정 성과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는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Bayesian Multi-Segmented (Bayesian M-S)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Bayesian M-S 기법은 기존 저수위와 고수위를 분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확률통계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게 수위-유량 관계 곡선 추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Bayesian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매개변수들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형을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적합도 평가를 통하여 유량자료에 대해서 대수정규분포를 적용하였다. 대수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 및 누가확률밀도 함수는 다음 Eq.
  • 즉,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분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수위-유량 관계곡선 작성시 다수의 반복작업과 더불어 분리구간에서 불연속적인 형태의 관계 곡선식이 유도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단면 및 하도통제를 기준으로 사전확률분 포를 부여하고 활용할 수 있는 Bayesian M-S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분리구간에 합리적 결정과 더불어 연속성을 가지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유도가 가능하였다.
  • (4)로부터 고정된 m의 구간이 가정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최우도법(maximum likelihood) 기반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은 수위-유량 관계곡선 적합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자료 개수로 인해 추정되는 매개변수의 신뢰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tersen-Øverleir and Reitan, 2005).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의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 추정이 가능한 Bayesian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복합 특성을 가지는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의 신뢰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Bayesian Multi-Segmented (Bayesian M-S)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Bayesian M-S 기법은 기존 저수위와 고수위를 분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확률통계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게 수위-유량 관계 곡선 추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서도 신뢰구간을 제시해주고 있지만, 자료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한 결과로서 유량자료의 실제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하천특성의 중요한 기초자료인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개발하는데 있어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단면 및 하도통제 특성을 기준으로 저수위 및 고수위 분리가 가능한 확률통계학적 모형을 개발하여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앞서 언급하였듯이 Bayesian 기법은 기존 최소자승법 및 최우도법과는 다르게 모든 매개변수에 확률분포를 부여하고 최종적으로 사후분포를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즉, 본 절에서는 Bayesian GLM기법을 이용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실제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위-유량 관측자료를 대상으로 기존 수위-유량 관계곡선식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비교 분석 하였다.

가설 설정

  • 즉, α , βi , hi의 경우 양과 음의 값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평균은 정규분포로 가정하였으며, α , βi , hi의 분산의 경우 항상 양의 값을 가져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Gamma 분포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도출하여 유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천의 시간과 그에 따른 유량을 알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수위와 유량측정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이를 정기적으로 수위와 유량을 계측하는 것은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측정된 하천수위와 유량 자료를 활용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을 도출하고, 해당 식을 활용하여 특정 수위에 대한 유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수위-유량 관계곡선이란 무엇인가? 수위-유량 관계곡선(rating curve)은 수위표에서 관측된 수위 및 유량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회귀분석식을 의미하며, 하천의 수위를 유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에서 저수위와 고수위와 분리 및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 불확실성을 고려한 해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천유량 자료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하천유량(streamflow)이란 하천의 특정 지점을 흐르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유량 일수에 따라 갈수량, 평수량, 풍수량 등으로 나뉘어 하천구조물의 설계 및 수자원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이러한 하천유량 자료는 강우량 자료와 함께 수문설계에서 중요한 수문자료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정확한 수문모형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문 모형의 개발과 정확한 수문자료 취득 및 활용 측면에서 중요성이 강조 되고 있다(L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ock, P.J., Filho, F.A.S., and Kwon, H.-H. (2009). "A Streamflow Forecasting Framework using Multiple Climate an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4, pp. 828-843. 

  2. Kim, J.-Y., Kwon, H.-H., and Lim, J.-Y. (2014). "Development of Hierarchical Bayesian Spatial Regional Frequency Analysis Model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5, pp. 469-482. 

  3. Kim, S.U., and Lee,. K.S. (2008). "Identification of Uncertainty in Fitting Rating Curve with Bayesian Regress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1, No. 9, pp. 943-958. 

  4. Kwon, H.-H., Filho, F., Block, P., Sun, L., Lall, U., and Reis Jr, D. S. (2012a). "Uncertainty Assessment of Hydrologic and Climate Forecast Models in Northeatern Brazil." Hydrological Processes, Vol. 26, pp. 3875-3885. 

  5. Kwon, H.-H., Kim, J.-G., Lee, J.S., and Na, B.-K. (2012b). "Uncertainty Assessment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 using Bayesia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5, pp. 505-516. 

  6. Kwon, H.-H., Moon, Y.-I., Kim, B.-S., and Yoon, S-Y. (2008). "Parameter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of the NWS-PC Rainfall-Runoff Model Coupled with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Inference Sche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Vol. 28 No. 4B, pp. 363-467. 

  7. Lee, W.S., Kim, S.U., Chung, E.-S., and Lee, K.S. (2008). "Improvement of Rating Curve Fitting Considering Variance Function with Pseudo-likelihood Estim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1, No. 8, pp. 807-823. 

  8. Li, P.-H., Kwon, H.-H., Sun, L., Lall, U., and Kao, J.-J. (2010). "A Modified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Prediction Model on Streamflow at the Shihmen Reservoir,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0, pp. 1256-1268.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Korea Annual hydrological report." 

  12.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pp. 282-290. 

  13. Petersen-Overleir, A. (2005). "A Hydraulics Perspective on the Power-law Stage-discharge Rating Curve." NVE report 05-05, Norwegian Water Resources and Energy Directorate, pp. 28. 

  14. Petersen-Overleir, A. and Reitan, T. (2005) "Objective Segmentation in Compound Rating Curves." Journal of Hydrology, Vol. 311, Issues 1-4, pp. 188-201. 

  15. Reitan, T., and Petersen-Overleir, A. (2006). "Existence of the Frequentistic Regression Estimate of a Power-law with a Location Parameter, with Applications for Making Discharge Rating Curves." Stoch. Environ. Res. Risk Asses/, Vol. 20, No. 6, pp. 445-453. 

  16. Reitan, T., and Petersen-Overleir, A. (2008). "Bayesian methods for estimating multi-segment discharge rating curve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3, No. 5, pp. 627-642. 

  17. Seber, G.A.F., and Wild, C.J. (1989). "Nonlinear Regress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8. White, H. (1980). "A Heteroskedasticity-Consistent Covariance Matrix Estimator and a Direct Test for Heteroskedasticity." Econometrica, Vol. 48, No. 4, pp. 817-838. 

  19. Xu, K., Brown, C., Kwon, H.-H., Lall, U., Zhang, J., Hayashi, S., and Chen, Z. (2007). "Climate Teleconnections to Yangtze River Seasonal Steamflow at the Three Gorges Dam,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pp. 771-780. 

  20. Yoon, Y.N. (2007). "Hydrology - Basics and Application." CheongMoonGa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