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장의 제조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2 = no.77, 2016년, pp.57 - 65  

최지미 (경성대학교 외식서비스경영학과) ,  이춘복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  김학선 (경성대학교 외식서비스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래간장, 양조간장 및 산분해간장 등 제조방법에 따른 색도, 유리당 및 유리아마노산 함량 등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산분해 간장 및 양조 간장이 재래 간장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재래 간장의 경우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L 값이 높아졌다. 또한, 재래 간장의 단맛 함량이 개량식 간장보다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재래 간장의 경우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쓴맛의 지표가 되는 아미노산 총 함량의 경우, 제조 후 시간과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산분해 간장이 다른 간장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감칠맛과 가호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glutamic acid의 함량은 양조 간장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산분해간장, 제조 2년 후 재래 간장, 제조 당해 재래 간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량식 간장이 재래 간장보다 glutam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재래 간장에서는 제조 후 시간이 지날수록 glutam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GABA는 재래 간장보다 개량식 간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재래 간장의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We examined color values, contents of saccharide and free amino acid. Regarding color values, brewed soy sauce showed lower level of L-values than traditional soy sauce, and the L-value was incre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간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재래간장, 양조간장 및 산분해간장의 품질 특성 비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래간장, 양조간장 및 산분해간장 등 제조방법에 따른 색도,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등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우리나라의 전통적 재래식 간장에 관하여서는 Jang JH( 1968)가 유기산, Seo JS․Lee TS(1992)가 아미노산에 관하여 각각 단편적인 연구 보고를 하고 있을 뿐, 재래식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 당해 재래간장, 제조 후 2년 재래간장, 산분해간장 및 양조간장 등 제조방법에 따른 4가지 간장을 대상으로 한 색도,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등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재래간장, 산분해간장 및 양조간장 등 제조방법에 따른 색도,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 조성, 맛성분 등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산분해 간장 및 양조간장이 재래간장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재래간장의 경우 제조 후 기일이 지날 수록 L값이 높아졌다.

가설 설정

  • 1) a~c mean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ao T, Buch G, Abdel-Karder MM, Changes SB, Wick EL, Wogan GN (1965). Structure of aflatoxin $B_1$ and $G_1$ . J Am Chem Soc 89:6745-6752. 

  2. Bae CR (2010). Antiobesity and Glycemic Control Effects of Traditional and Standarded Fermented Meju Supplementation in Mice. Master's Thesis, Jeonbuk University. 

  3. Chang CH (1988). The future prospect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341-345. 

  4. Cho JY (2010). (四訂)田作. 鄕文社. Seoul. Republic of Korea. pp. 270-279. 

  5. Choi JH, Kim MH, Shon MY, Park SK, U H (2002). Produc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Rhizopus oligosporus. Korean J Food Preserv 9:315-340. 

  6. Choi KS, Im MH, Choi JD, Chung HC, Kwon KI, Kim YJ, Suo JS (1999). Effects of meju manufacturing period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anjang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42:277-282. 

  7. Choi KS, Choi JD, Chung HC, Kwon KI, Im MH, Kim YH, Kim WS (2000). Effect of mashing production of soybean to salt brine on kanjang (soy sauc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74-180. 

  8. Choi KS, Im MH, Choi JD, Chung HC, Chung YG, Lee CW, Choi C (1998). Lactic acid and alcoholic fermentation of low-salted raw kanjang digestion liquor made from Bacillus subtilis var. globigii and Scopulariopsis brevicaulis inoculated meju. J Korean Agri Chem Soc 41:405-460. 

  9. Jang DG, U GY, Lee S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6(3):220-224. 

  10. Jang JH (1968). The Biochemical Studies on Stored Soy-souc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Jung EA, Choi SK, Namkung Y (2011).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king mushroom(jjangachi)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of soy sau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231-240. 

  12. Kim IJ. Lee JO, Park MH, Shon DH, Ha YL, Ryu CH (2002).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36-539. 

  13. Kim HA, Jung HA, Song CR (2011).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eriyaki sauce by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206-217. 

  14. Kirimura J, Shimizu A, Kimizuka A, Ninomiya T, Katsuya N (1969). The contribution of peptides and amino acids the taste of foodstuffs. J Agr Food Chem 17:689-695. 

  15.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71). Library of Korean food science research reference (1). Beans:37. 

  16. Kwon SH (1972). Origin and importance of protein and oil of Korean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58-161. 

  17. Lee KH, Kim ND, Yoo JY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 (Korean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390-396. 

  18. Lee HT, Park WJ, Jeon HK, Chang CM (1991).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meju. Korea Soybean Digest 8:76-77. 

  19. Lee KI, Park KY, Ahn HK (2011). The anticancer effects of Doenjang made with various kinds of salt.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5):241-252. 

  20. Lee KH, Shin KE, Rha YA, Choi SK (2013). A study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pickles(Jangachi).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2):65-75. 

  21. Lee SI (2003). Characteristic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octoral Dissertation, Youngnam University. 

  22. Lee SW (1988) The historical review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3:331-339. 

  23. MacDonald WC, Dueck JW (1976) Long-term effect of shoyu (Japanese soy sauce) on the gastric mucasa of the rat. J National Cancer Institute 56:1143-1145. 

  24. Moon GS (1994). Metabolism of $^{14}C$ glycine: Glucose melanoidin and soybean sau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3(2):333-339. 

  25. Murakami H, Takase S, Kuwabara K (1963). Nonproductivity of aflatoxin by Japanese industrial strains of Aspergillus. J Gen Appl Microbiol 13:97-103. 

  26. Nunomura N, Sasaki M, Asao Y, Yokotsuka T (1976).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shoyu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gric Bil Chem 40:485-491. 

  27. Nunomura N, Sasaki M, Asao Y, Yokotsuka T (1978). Shoyu volatile components: Basic fraction. Agric Biol Chem 42:2133-2130. 

  28. Nunomura N, Sasaki M, Yokotsuka T (1979). Isolation of 4-hydroxy-5-methyl-3(2H)-furanone, a flavor component in shoyu. Agric Biol Chem 43:1361-1367. 

  29. Nunomura N, Sasaki M, Asao Y, Yokotsuka T (198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4-hydroxy-2(or 5)-methyl-3(2H)-furanone, as a lfavor component in shoyu. Agric Bil Chem 40:491-497. 

  30. Oh HS, Kim JH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 stew sauc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1(5):550-558. 

  31. Raper KB, Fernell DI (1965). The Genus Aspergillus. Waverly Press, Baltimore, p. 357. 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1:876-883. 

  32. Seo JS, Lee TS (1992). Free amino acids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7(4):323-328. 

  33. Soon KH, Park OJ, Park HK, Lee HJ (1998). Studies on taste compound content and research on condition of comsumer attitude to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ing meju type and fermentation. J Korean L Soc Food Cookery Sci 14:463-467. 

  34. Steinkraus KH (1983). Handbook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Marcel Dekker, New York. p.433. 

  35. Tawara Y (1987). Analysis of soy sauce. J Pharm Soc Jpn 61, 80-86.1. 

  36. Weon MK, Lee YJ (2013) Consumer's percepti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jangachi (Korean pickle) by age for developing low salt jangachi.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5):249-263. 

  37. Yoo JY, Kim HG (1998).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jus of nation-wide colle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59-267. 

  38. Yokotsuka T, Asao Y, Sakasai T (1967). Studies on flavorous sub stance in soy. XXVII: The production of 4-ethylguaiagol during fermentation, and its role for shoyu flavor. J Agric Food Chem 41:442-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