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의료진의 언론노출과 진료실적간의 관계 - 일개 대학병원 사례를 기준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Exposure of Hospital Physicians and Patient Volume - a University Hospital Case -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1 no.1, 2016년, pp.51 - 61  

김성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태경 (연세대학교 보건학과) ,  김태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소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상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mass media marketing of a hospital influences patient volume. Additionally, the association of patient volume with exposure time and the type of mass media was examined. Data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Bundang (from January 2014 to November 2014) were 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병원들이 언론에 대한 노출을 확대하고 있으나 정작 이러한 언론노출의 증대가 객관적으로 병원의 진료실적 특히, 신규 고객(신·초진 환자)의 유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며, 노출군과 비노출군 간의 비교를 통하여 언론매체의 효과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며, 특정 집단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으며, 언론매체와의 효과에 따른 의료이용 횟수와의 관계를 확인하기에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의료진의 언론 노출이 직접적으로 외래진료에서의 신규고객의 선택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여부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언론노출과 진료실적과의 관계를 밝혀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언론 노출과 의료소비자들의 해당 병원에 대한 선택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의료진의 언론 노출이 실질적으로 진료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11개월간의 언론노출횟수와 실제 신·초진환자 진료실적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의료진의 언론 노출이 직접적으로 외래진료에서의 신규고객의 선택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여부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언론노출과 진료실적과의 관계를 밝혀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 언론 노출과 의료소비자들의 해당 병원에 대한 선택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의료진의 언론보도와 신·초진 환자 진료실적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Jung[3], Jung & Kwon[4]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우리의 연구대상으로 포함된 대상은 신문, 잡지 등에 노출될 경우 진료 실적이 늘어나지 않는 이유는 최근 여러 폐해가 강조되고 있는 의료광고성 기사에 대한 반감으로 가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의료진의 언론노출이 노출된 언론매체의 특성(종류)에 따라 어떻게 진료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의료진에 대한 언론매체의 보도가 있던 날부터 일정기간 해당 의료진의 진료실적은 증가할 것이며, 이는 언론매체별(독립변수)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ˮ의 연구가설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케팅 시장에서 신규고객의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마케팅 시장에서 신규고객의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광고가 있다. 우리나라 의료법상 사전심의를 받은 의료기관의 광고를 허용하고 있으나 그 절차가 복잡하고, TV 등을 통한 광고는 규제대상이 되고 있어 의료광고는 단순 지엽적인 직접광고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소규모 1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의료광고가 진행되는 이유는? 마케팅 시장에서 신규고객의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광고가 있다. 우리나라 의료법상 사전심의를 받은 의료기관의 광고를 허용하고 있으나 그 절차가 복잡하고, TV 등을 통한 광고는 규제대상이 되고 있어 의료광고는 단순 지엽적인 직접광고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규모 1차 의료기관(개원의)을 중심으로 의료광고가 진행되고 있다.
의료소비자가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과정은? 소비자가 욕구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과 용역을 구매하는 소비행동을 하듯이 환자들은 다른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와 동일하게, 자신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병원을 선택하여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다[5]. 의료소비자가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과정은 환자가 건강상의 문제를 인식하고 의료에 대한 욕구를 느끼면서 의사결정 과정이 시작되면서 문제의 인식(의료욕구 인식), 관련 정보의 지식, 지각, 다른 요인들과 비교를 통한 평가,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후 행동 등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 HJ.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by outpatient [dissertation]. Nonsan: Konyang University; 2005. 

  2. Jo WH, Lee SH, Lee HJ, Chun KH. Hospital Marketing:Toeseoldang;1999. 

  3. Jung HS. Effects of media coverage on outpatient care appointm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7. 

  4. Jung HS, Kwon SM. Effects of media coverage on outpatient care appointm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7;44(1): 15-25. 

  5. Lee YK. Factors influencing over outpatients' choice of tertiary general hospital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3. 

  6. Jo WH, Kim HJ, Lee SH.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J Prev Med Public Health 1992;25(1):53-63. 

  7. Yoo HS. Health behavior and program cognition by audience's attitude toward health program of broadcas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8. Jung MY. A study on the selection of special childbirth : centered on Lamaze childbirth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1. 

  9. Yoon YR. Factors for selecting University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when the medical treatment market is opened in Koera : an example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3. 

  10. Kim JS. The Current Situation of Maternity Care and Influencing Factors for Maternity Care Institution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4. 

  11. Lee JH. Study about factors to decide on media contribution of doctors [dissertation]. Seoul: Sehong University; 2004. 

  12. Kim JH. A Study on Hospital Advertising Effect of Doctor TV Health Program Appearance and Credibility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13. Kim JS. Change on the medical communication and mass media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5. 

  14. Fisher CM, Anderson CJ. Hospital advertising: does it influence consumers? J Health Care Mark. 1990 Dec;10(4):40-46. 

  15. Hudson T. Marketing nets out. Spending and expecting more than ever, hospitals and systems take their message to the Web. Hosp Health Netw. 1999 May;73(5):34-38. 

  16. Nanda S, Telang A, Bhatt, G. Hospital advertising: A literature review. Int J Healthc Manag. 2012 July;5(1): 28-31. 

  17. Park YH. A Study on Behavior in Watching TV health information program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1990. 

  18. Nam YW, Oh SK. 2014 the media, inmates Awareness:The Korea Press Foundation;2014. 

  19. Cohen BC. The press, the public and foreign policy.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1963. p.134-135. 

  20. Kim CH. A study on the internet newspaper and satisfaction with news, Journal of East-West Communication Council, 2001;5:169-191. 

  21. Bae JA, Choi SM. SNS Interaction Surrounding TV Show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013;30(1):47-92. 

  22. Park JM. The Media Characteristics and Use Motives of Cellular Phone, Internet and Televis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2):221-249. 

  23. Kang HJ. Policy Direction for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to Extra-large Hospitals. Health-welfare polycy forum 2014; 210:65-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