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내용과 관련한 문제점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Drawbacks Related to Contents Handl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1 - 14  

박교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내용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교육과정과의 불일치라는 의미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퍼센트포인트, 오목다각형,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의 취급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다음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방식과의 간격이라는 의미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이산량 단위를 붙인 분수와 '배'를 붙인 분수의 취급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논리적인 비약이라는 의미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자연수를 분수로 나타내기와 도형의 위치 관계의 취급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결과로부터 얻은 다음 시사점 세 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개념을 정의 또는 취급하는 방식과 일상생활에서 그 개념을 사용하는 방식의 혼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에서 논리적 비약을 확인하고 그것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clearly determining the scope of contents handled in elementary math textbooks in Korea, what may be issues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handled in the current math textbooks. First of all, handling of percent point, concave polygon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은 언제 개발된 교사서를 바탕으로 하는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육은 2011년에 개정ㆍ고시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 학기술부 2011a, 이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교과서는 실제의 수학교육을 방향 짓고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백분율을 뺄셈으로 비교할 때는 어떤 기호를 사용하는가? 두 백분율을 뺄셈으로 비교할 때에는 기호 %p 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p는 퍼센트포인트라고 읽습니다. 60%는 50%보다 10%p 많습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고 있는 내용 중에는 세 가지 의미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이 있는데 이는 무엇인가? 그런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고 있는 내용 중에는 다음 세 가지 의미에서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이 있다. 첫째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불일치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교과서에서 취급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교과서에서 그러한 내용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의 취급은 쟁점이 될 수 있다. 둘째는 어떤 개념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방식과의 간격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어떤 개념을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방식을 교과서에서 그대로 수용하고 있지만, 그 방식과 교과서에서 그 개념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식 사이에 간격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교과서에서 그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두 방식의 혼용은 쟁점이 될 수 있다. 셋째는 어떤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 논리적인 비약이 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먼저 배워야 할 것을 취급하지 않은 채, 교과서에서 그것을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가정한다는 것을 말한다. 교과서에서 그러한 논리적 비약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비약은 쟁점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완(2013).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개선을 위한 네 가지 문제점. 학교수학, 15(3), 569-583. 

  2. 강흥규(2014). 초등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포함제와 등분제의 정의에 관한 교육적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19-339. 

  3. 교육과학기술부(200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6-75호. 

  4.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5.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 4-2. 서울: 두산동아(주) 

  6. 교육과학기술부(2011c). 수학 6-2. 서울: 두산동아(주) 

  7. 교육과학기술부(2012a). 수학 4-1. 서울: 두산동아(주) 

  8. 교육과학기술부(2012b). 수학 5-1. 서울: 두산동아(주) 

  9. 교육과학기술부(2012c). 수학 6-1. 서울: 두산동아(주) 

  10.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1. 교육부(2015b). 수학 3-1. 서울: (주)천재교육. 

  12. 교육부(2015c). 수학 3-2. 서울: (주)천재교육. 

  13. 교육부(2015d).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14. 교육부(2015e).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15. 교육부(2015f).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16. 교육부(2015g). 수학 5-1. 서울: (주)천재교육. 

  17. 교육부(2015h).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18. 교육부(2015i).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19. 교육부(2015j). 수학 6-2. 서울: (주)천재교육. 

  20. 김수환.박성택.신준식.이대현.이의원.이종영.임문규.정은실(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파주: 동명사. 

  21. 남진영.조성민(2013). 학교수학에 나타나는 '평행'과 '일치'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27(1), 81-97. 

  22. 박교식(2014).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분수 나눗셈 알고리즘 정당화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105-122. 

  23. 신이섭 외 25명(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4. 이용률(2010). 초등학교 수학의 중요한 지도 내용. 서울: 경문사. 

  25. 장혜원(2013). 확률 개념을 위한 '가능성'의 지도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확률지도 방안 탐색. 학교수학, 15(2). 315-335. 

  26. 최종현.최경아.박교식(201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수학 교과서에서의 오목다각형 취급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615-629. 

  2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국립국어원 

  28. 日本數學敎育學會(編)(2011). 算數敎育指導用語辭典(第四版). 東京: 敎育出版株式會社. 

  29. 片桐重男(2012). 算數敎育學槪論. 東京: 東洋館出版社.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