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수준별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 차이 분석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at Each Achievement Level in Content Domain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15 - 42  

조윤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남녀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것은 그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한 번의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소수의 피험자로는 일반성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여러 해에 걸쳐서 피험자가 배운 내용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야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2014년에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다루었다. 그로부터 성취도 점수와 평균 정답률 등을 검사 전체, 문항 유형, 내용 영역 측면에서 정리하면서 성취수준별로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arifying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showed in male and female students is the first step for resolving the differences. It is difficult that we figure out them by one test. If we evaluate a few subjects, they can't have generality. So, we must evaluate lots of subjects through sev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녀의 평등을 추구하는 교육에 대한 오해는 무엇인가? 여기서 남녀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이란 앞서 기술한 것처럼 교육의 평등 개념으로 연결된다. 남녀의 평등을 추구하는 교육이란 성의 차이를 무시하고 남녀학생에게 똑같은 교육 자료와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두 집단의 생물학적 차이, 사회ㆍ문화ㆍ역사적인 발달 과정에서 생긴 차이 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구성한 교육으로 그 차이를 보완해주려는 것이다.
교과 교육에 있어서 평등의 개념은? 교과 교육에서 남녀 성차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교육의 평등 개념과 연계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평등의 개념은 모든 학생이 자신이 지닌 이전의 지식, 지적인 힘, 개인의 흥미가 고려되는 학습을 견실하게 뒷받침하는 우수하고 공평한 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NCTM, 2000). 이것이 모든 학생들이 똑같은 수업을 받아야 함을 뜻하지는 않는다.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평가의 세 가지 측면 중에서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인지적 차이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것이 평가인 이유는?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평가의 세 가지 측면 중에서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인지적 차이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것이 평가일 것이다. 이는 평가가 다루는 특정 내용에서 집단 사이에 일관성 있는 차이가 있음이 밝혀진다면, 그 내용 자체 또는 그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바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가 문항의 내용과 형식에서 일관된 차이가 있는 것을 찾고, 그 문항들의 공통 요소에 주목한다면 교육과정이나 교수ㆍ학습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고정화, 도종훈(2007).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07-3-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고정화.도종훈.송미영(2008).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8(2), 179-200. 

  3. 고호경, 고상숙(2008). 중학교 함수의 수학화 과정에서의 성차 연구. 수학교육, 47(3), 273-297. 

  4. 권오남, 박경미(1995).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여성학, 11, 202-232. 

  5. 권점례, 이창훈, 정은영, 고은성(2010).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10-6-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김준엽, 손원숙(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 분석(연구보고 RRE 2011-2-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김동영, 김도남, 김영란, 김현정,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이광상, 이인호, 심재호, 배주경, 정기문, 최원호, 박영신(2013).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연구보고 RRE 2013-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김선희(2007). 남녀 학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배경 변인의 분석. 수학교육, 46(1), 33-52. 

  9. 김수진, 박지현, 김현정, 진의남, 이명진(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보고서(연구보고 RRE 2012-4-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김희경, 김부미(2014).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5(2), 289-314. 

  11. 노국향, 김신영(2000). 문항의 형태에 따른 피험자의 인지적.정의적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평가연구, 13(1), 181-194. 

  12. 노언경, 김진호, 김수진(2010). PISA 2003 문제해결력 영역에 대한 성별 차별기능문항 추출. 교육방법연구, 22(4), 165-194. 

  13. 박경미, 최승현(200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에 나타난 수학적 소양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 41(3), 319-328. 

  14. 박도순(2007). 교육평가-이해와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5. 송미영, 김성숙, 구자옥,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 임현정(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의 남녀 및 성취수준별 학생 특성 분석(연구보고 RRE 2014-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양길석, 송미영, 최인봉, 김희경, 유진은(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추이(2003년-2007년)-중학교 3학년-(연구보고 RRE-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봉주(2009).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추이 분석-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2), 273-288. 

  18. 이봉주, 권점례(2009). 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수학-(연구보고 RRE 2009-9-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이소영(2008). 문장제에서 수학 문제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성별에 따른 차이-.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은정, 이경화(2009). PISA 2003에서 한국과 호주의 학생들이 나타낸 수학 성취도의 성차 분석. 교육연구와 실천, 74, 31-63. 

  21. 이은정, 이경화(2011). PISA 수학 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1(4), 313-326. 

  22. 이창훈, 남민우, 남가영, 박은아, 김혜숙, 권점례, 고은성, 최원호, 이인호, 김미경, 송민영, 정은영, 박재근, 신명경, 최준채(2010).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방안 연구(연구보고 RRE 2010-6-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정구향, 김경의 김재철, 반재천, 민경석, 오희숙, 권재기(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총론-(연구보고 RRE 2004-1-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4. 정은영, 최인봉, 김희경, 김소영, 유진은, 남민우, 김도남, 김혜숙, 박가나, 이봉주, 권점례, 최원호, 이인호, 조보경, 송민영(200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추이(2003년-2008년)-고등학교 1학년(연구보고 RRE 2009-8-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진수정, 성태제(2004). MH 방법과 SIBTEST 방법을 이용한 문항 유형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의 탐색. 교육평가연구, 17(2), 215-235. 

  26. 최유주(2006). 수학 과목에서 성별에 따른 내용 영역별, 문항 유형별 차별기능문항 탐색 -Mantel -Haenszel 방법과 다집단 일반화 부분점수 모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Altenhof, J. C. (1984). Influence of item characteristics on male and female performance on SAT-Math.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8. Barnes, M. (1997). Classroom views of gender differences. In Doig, B. & Lokan, J. (Eds.). Learning from children: Mathematics from a classroom perspective (pp. 41-61). Melbourne: ACER. 

  29. Ben-Shakhar, G. & Sinai, Y. (1991). Gender differences in multiple-choice tests: The role of differential guessing tendencie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8(1), 22-35. 

  30. Bolt, D. M. (2000). A SIBTEST approach to testing DIF hypotheses using experimentally designed test item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7(4), 307-327. 

  31. Donlon, T. F. (1973). Content factors in sex differences on test questions. (Research Memorandum 73-28). Princeton, NJ: Educational Testing Service. 

  32. Lane, S., Wang, N., & Magone, M. (1996). Gender-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n a Middle-School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pp. 21-27.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34. 神永正博(2015). 수학 사고력을 키우는 20가지 이야기. (조윤동, 이유진 역). 서울: 윤출판. (원본은 2014년 출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