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방언 어두 폐쇄음의 후속모음 F0
F0 as a primary cue for signaling word-initial stops of Seoul Korea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1, 2016년, pp.25 - 36  

변희경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voice onset time (VOT)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has been merged, and post-stop fundamental frequency (F0) has emerged as a primary cue to distinguish the two stops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female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VOT 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음의 VOT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어두 폐쇄음의 평균 VOT는 경음(fortis)에서 가장 짧고, 격음(aspirated)에서 가장 길며, 평음(lenis)은 경음과 격음의 중간 값을 갖는다. 평음의 VOT는 본래 경음에 가까웠으나(Lisker & Abramson, 1964; Kim, 1965; Han & Weitzman, 1970; Abramson & Lisker, 1972) 서울 방언에서는 대략 1965년(출생년)을 경계로 평음의 VOT가 길어져 격음의 VOT에 접근, 동시에 격음의 VOT도 줄어 평음과 격음의 VOT가 융합하면서 VOT는 변별기능을 잃게 되었다(Silva, 2002, 2006a, 2006b; Wright, 2007; Kang & Guion, 2008; Kang, 2014).
본 논문에서 수행한, 서울 방언 화자 75명의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음과 격음의 변별자질이 VOT에서 후속모음의 F0로 이행하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서울 방언 화자 75명의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음과 격음의 변별자질이 VOT에서 후속모음의 F0로 이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일차적 변별자질이 VOT에서 F0로 이행하는 과정은 부차적 자질로 F0 차이가 충분히 발달된 이후에 VOT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것, 여성이 VOT 변화를 리드할 수 있었던 것은 남성보다 안정적인 F0 차이가 먼저 확립되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별자질의 음향특성이 나타나기 쉬운 분명한 발음(clear speech)에서 평음과 격음의 구별에 VOT가 주된 변별기능을 하는 세대에서는 VOT가 강화되고, F0가 주된 변별기능을 하는 세대에서는 F0가 강화되는 것을 보았는데, 더하여 VOT를 일차적 변별자질로 사용하는 세대에서도 F0가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0를 일차적 변별자질로 사용하는 세대와는 차이는, 분명한 발음에서 전자는 격음, 경음의 F0만 높이나, 후자는 격음, 경음의 F0는 높이고 평음의 F0는 낮추는, 보다 적극적으로 방법으로 F0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어두 폐쇄음의 특징은 무엇인가? 어두 폐쇄음의 평균 VOT는 경음(fortis)에서 가장 짧고, 격음(aspirated)에서 가장 길며, 평음(lenis)은 경음과 격음의 중간 값을 갖는다. 평음의 VOT는 본래 경음에 가까웠으나(Lisker & Abramson, 1964; Kim, 1965; Han & Weitzman, 1970; Abramson & Lisker, 1972) 서울 방언에서는 대략 1965년(출생년)을 경계로 평음의 VOT가 길어져 격음의 VOT에 접근, 동시에 격음의 VOT도 줄어 평음과 격음의 VOT가 융합하면서 VOT는 변별기능을 잃게 되었다(Silva, 2002, 2006a, 2006b; Wright, 2007; Kang & Guion, 2008; Kang,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ramson, A. S. & Lisker, L. (1972). Voicing timing in Korean stops.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439-446. 

  2. Ahn, H. (2000). Laryngeal effects of stop consonants on neighboring vowels in /CV/ sequences in Korean. Japanese/Korean Linguistics, 9, 47-60. 

  3. Boersma, P. & Weenink, D. (2011).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5. 4. 15. University of Amsterdam Phonetic Sciences. Retrieved from http://www.fon.hum.uva.nl/praat/ on August 1, 2015. 

  4. Cho, T., Jun, S., & Ladefoged, P. (2002). Acoustic and aerodynamic correlates of Korean stops and fricatives. Journal of Phonetics, 30, 193-228. 

  5. Choi, H. (2002). Acoustic cues for the Korean stop consonant-dialectal variation. ZAS Papers in Linguistics, 28, 1-12. 

  6. Han, J. (1996).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tense" and "plain" consonants in Korean. Ph.D.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7. Han, M. S. & Weitzman, R. S. (1970). Acoustic features of Korean /P, T, K/, /p, t, k/, /ph, th, kh/. Phonetica, 22, 112-128. 

  8. Holliday, J. & Kong, E. (2011). Dialectal variation in the acoustic correlates of Korean stops. ICPhS XVII, 878-881. 

  9. Hombert, J. M. (1978). Consonant types, vowel quality, and tone. In V. A. Fromkin (Ed.), Tone: A Linguistic Survey (pp. 77-111). New York: Academic Press. 

  10. Hombert, J. M., Ohala, J. J., & Ewan, W. G. (1979). Phonetic explan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ones. Language, 55, 37-58. 

  11. Jo, M. & Shin, J. (2003). VOT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Kyungsang dialects. Malsori, 46, 1-11. (조민하.신지영 (2003). 경상 방언과 서울 방언의 VOT 지속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말소리, 46, 1-11.) 

  12. Johnson, K., Flemming, E., & Wright, R. (1993). The hyperspace effect: Phonetic targets are hyperarticulated. Language, 69, 505-528. 

  13. Kagaya, R. (1974). A fiberscopic and acoustic study of the Korean stops, affricates and fricatives. Journal of Phonetics, 2, 161-180. 

  14. Kang, K. (2010).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stop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3), 3-10. 

  15. Kang, K. & Guion, S. G. (2008). Clear speech production of Korean stops: Changing phonetic targets and enhancement strategie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4(6), 3909-3917. 

  16. Kang, Y. (2014). Voice onset time merger and development of tonal contrast in Seoul Korean stops: A corpus study. Journal of Phonetics, 45, 76-90. 

  17. Kang, Y. & Han, S. (2013). Tonogenesis in early contemporary Seoul Korean: A longitudinal case study. Lingua, 134, 62-74. 

  18. Kim, C. (1965). On the autonomy of the tensity feature in stop classific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stops). Word, 21, 339-359. 

  19. Kim, J. (2015). Reinterpretation of stop production in Korean elderly speak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 (2), 139-145. (김지은 (2015). 노년층 파열음 발음의 재해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7(2), 139-145.) 

  20. Kim, M. (2004). Correlation between VOT and F0 in the perception of Korean stops and affricates. Interspeech 2004-ICSLP, 49-52. 

  21. Kim, M. & Duanmu, S. (2004). "Tense" and "Lax" stops in Korean.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13, 59-104. 

  22. Kim, M., Beddor, P. S., & Horrocks, J. (2002). The contribution of consonantal and vocalic information to the perception of Korean initial stops. Journal of Phonetics, 30, 77-100. 

  23. Kong, E. (2012). Perception of Korean stops with a three-way laryngeal contrast.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1), 13-20. 

  24. Lee, H. & Jongman, A. (2012). Effects of tone on the three-way laryngeal distinction in Korean: An acoustic and aerodynamic comparison of the Seoul and South Kyungsang dialect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2(2), 145-169. 

  25. Lee, H., Politzer-Ahles, S., & Jongman, A. (2013). Speakers of tonal and non-tonal Korean dialects use different cue weightings in the perception of the three-way laryngeal stop contrast. Journal of Phonetics, 41, 117-132. 

  26. Lee, K. & Jung, M. (2000).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ual cues for Korean stops. Speech Sciences, 7(2), 139-155. (이경희.정명숙 (2000).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음성과학, 7(2), 139-155.) 

  27. Lee, Y. & Xu, Y. (2010). Phonetic realization of contrastive focus in Korean. Speech Prosody 2010, 100033:1-4. Retrieved from http://www.speechprosody2010.illinois.edu/papers/100033.pdf on March 3, 2016. 

  28. Lee, Y., Wang, B., Chen, S., Adda-Decker, M., Amelot, A., Nambu, S., & Liberman, M. (2015). A crosslinguistic study of prosodic focus.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4754-4758. 

  29. Lisker, L. & Abramson, A. S. (1964).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s: Acoustical measurements. Word, 20, 384-422. 

  30. Lindblom, B. (1990). Explaining phonetic variation: A sketch of the H&H theory. In W. J. Hardcastle & A. Marchal (Eds.), Speech Production and Speech Modelling (pp. 403-439).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31. Moon, S. & Lindblom, B. (1989). Formant understoot in clear and citation-form speech: A second progress report. STL-QPSR, 30, 121-123. 

  32. Moon, S. & Lindblom, B. (1994). Interaction between duration, context, and speaking style in English stressed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6(1), 40-55. 

  33. Obata, J. & Toyoshima, T. (1932). Acoustic features of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Nippon Sugaku Butsuri Gakkaishi, 6(4), 379-403. (小幡重一.豊島武彦 (1932). 朝鮮語母音及び子音の性質. 日本數學物理學會誌, 6(4), 379-403) 

  34. Oh, E. (2011). Effects of speaker gender on voice onset time in Korean stops. Journal of Phonetics, 39, 59-67. 

  35. Redford, M. A., Stine, J. A., & Vatikiotis-Bateson, E. (2014). A question of scope? Direct comparison of clear and in-focus speech production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Speech Production, 352-355. 

  36. Silva, D. J. (2002). Consonant aspiration in Korean: A retrospective. In S.-O. Lee & G. K. Iverson (Eds.), Pathways in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ssays in Honor of Young-Key Kim-Renaud (pp. 447-469). Seoul: Pagijong Press. 

  37. Silva, D. J. (2006a). Variation in voice onset time for Korean stops: A case for recent sound change. Korean Linguistics, 13, 1-16. 

  38. Silva, D. J. (2006b). Acoustic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tonal contrast in contemporary Korean. Phonology, 23, 287-308. 

  39. Sjolander, K. & Beskow, J. (2010). WaveSurfer. Version 1.8.8. Retrieved from http://www.speech.kth.se/wavesurfer/ on December 30, 2011. 

  40. Tang, K. E. (2008). The phonology and phonetics of consonant-tone interac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41. Uchanski, R. M. (2008). Clear speech. In D. B. Pisoni & R. E. Remez (Eds.), Handbook of Speech Perception (pp. 207-235). Massachusetts: Blackwell. 

  42. Wright, J. D. (2007). Laryngeal contrast in Seoul Korean.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