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음 스펙트럼에 기반한 전후 비자음 조음위치 판별
Classification of nasal places of articulation based on the spectra of adjacent vowel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5 no.1, 2023년, pp.25 - 34  

윤지현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비음의 조음위치 변별을 위한 지표로서 모음 음향 특성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비음에 인접한 /ㅏ/ 모음 시료를 대용량 한국어 자연발화 말소리 자료에서 추출하여 모음 구간의 25%, 50%, 75% 시점에서 음향 매개변수를 측정하였다. 이 스펙트럼 및 지속시간 변수를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행 또는 후행 비자음의 조음위치 분류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조음위치 공조음(coarticulation)의 관점에서 순행적 공조음과 역행적 공조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대상 모음에 비음이 선행하는 경우와 후행하는 경우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후 비자음의 조음위치 분류정확도는 약 50%-60%로 나타났다. 모음의 음향 매개변수 측정값만으로 비음의 조음위치를 예측·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공조음 정도가 가장 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음 정중 구간에서 측정된 음향 변수만으로도 위와 같은 정확도를 얻었다는 점에서 비음 구간의 분석결과와 함께 모음 측정치를 활용함으로써 비음 조음위치 인식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측정 대상 모음에 선행 또는 후행하는 비음 조건 간에 비교하였을 때, 후행 비음 조음위치의 분류정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역행적 조음위치 공조음의 영향이 더 클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ty of the acoustic features of vowels as cues for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Korean nasal consonants. In the acoustic analysis, spectral and temporal parameters were measured at the 25%, 50%, and 75% time points in the vowels neighboring nasal consonants in samples ext...

주제어

참고문헌 (29)

  1. Alwan, A., Lo, J., & Zhu, Q. (1999, August). Human and machine?recognition of nasal consonants in noise. Proceedings of 14th?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ICPhS) (pp.?167-170). San Francisco, CA. 

  2. Boersma, P. (2001). Praat, a system for doing phonetics by computer.?Glot International, 5(9/10), 341-345. 

  3. Chen, M. Y. (1995). Acoustic parameters of nasalized vowels in?hearing-impaired and normal-hearing speakers. The Journal of?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8(5), 2443-2453. 

  4. Chen, M. Y. (1997). Acoustic correlates of English and French?nasalized vowel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America, 102(4), 2360-2370. 

  5. Choi, S. A., & Seong, C. J. (2006). Long term average spectral?analysis for acoustical discrimination of Korean nasal consonants.?Malsori, 60, 67-84. 

  6. Delattre, P. C., Liberman, A. M., & Cooper, F. S. (1955). Acoustic?loci and transitional cues for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7(4), 769-773. 

  7. Dutta, I., & Pandey, A. (2015, September). Acoustics of articulatory?constraints: Vowel classification and nasalization. 16th Annual?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pp. 1700-1704). Dresden, Germany. 

  8. Fujimura, O. (1962). Analysis of nasal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34(12), 1865-1875. 

  9. Hanson, H. M. (1995). Glottal characteristics of female speakers?(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10. Harnsberger, J. D. (2000). A cross-language study of the identification of non-native nasal consonants varying in place of?articulatio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8(2), 764-783. 

  11. Harrington, J. (1994). The contribution of the murmur and vowel to?the place of articulation distinction in nasal consonants. The?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6(1), 19-32. 

  12. House, A. S., & Fairbanks, G. (1953). The influence of consonant?environment upon the secondary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vowel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5(1),?105-113. 

  13. House, A. S., & Stevens, K. N. (1956). Analog studies of the?nasalization of vowel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1(2), 218-232. 

  14. Iseli, M., & Alwan, A. (2004, May). An improved correction formula?for the estimation of harmonic magnitudes and its application to?open quotient estimation. 200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 I-669). Montreal,?QC. 

  15. Kitazawa, S., & Doshita, S. (1984). Nasal consonant discrimination?by vowel independent features. Studia Phonologica, 18, 46-58. 

  16. Koo, H. S. (1998). The influence of consonant environment upon the?vowel duration. Speech Sciences, 4(1), 7-17. 

  17. Kurowski, K., & Blumstein, S. E. (1984). Perceptual integration of?the murmur and formant transitions for place of articulation in?nasal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America, 76(2), 383-390. 

  18. Kurowski, K., & Blumstein, S. E. (1987). Acoustic properties for?place of articulation in nasal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1(6), 1917-1927. 

  19. Nakata, K. (1959). Synthesis and perception of nasal consonants. The?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31(6), 661-666. 

  20. Narayan, C. R., Werker, J. F., & Beddor, P. S. (2010). The interaction?between acoustic salience and language experience in developmental?speech perception: Evidence from nasal place discrimination.?Developmental Science, 13(3), 407-420. 

  21. Oh, E. J. (2002). Correlation between consonants' place and vowel?duration in English and Korean. Speech Sciences, 9(3), 201-210. 

  22. Park, H. (2005). A new method of extracting the filter characteristics?of the nasal cavity using homorganic nasal-stop sequences: A?preliminary report. Malsori, 53(4), 17-35. 

  23. Recasens, D., & Espinosa, A. (2009). An articulatory investigation of?lingual coarticulatory resistance and aggressiveness for?consonants and vowels in Catala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Society of America, 125(4), 2288-2298. 

  24. Recasens, D., Pallares, M. D., & Fontdevila, J. (1997). A model of?lingual coarticulation based on articulatory constraints. The?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2(1), 544-561. 

  25. Repp, B. H., & Svastikula, K. (1988). Perception of the [m]-[n]?distinction in VC syllabl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of America, 83(1), 237-247. 

  26. Seitz, P. F., McCormick, M. M., Watson, I. M. C., & Bladon, R. A.?(1990). Relational spectral features for place of articulation in?nasal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America, 87(1), 351-358. 

  27. Styler, W. (2017a). Nasality automeasure script package (version 5.9)?[Computer software]. Retrieved from https://github.com/stylerw/styler_praat_scripts/ 

  28. Styler, W. (2017b). On the acoustical features of vowel nasality in?English and Fren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America, 142(4), 2469-2482. 

  29. Yun, W., Yoon, K., Park, S., Lee, J., Cho, S., Kang, D., Byun, K., ... Kim, J. (2015).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Phonetics?and Speech Sciences, 7(2), 103-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