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오프라인 교차광고의 효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 and Its Potential Determinants of Cross-Media Advertising between Online and Offline Medi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105 - 114  

조시내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대학원) ,  한규훈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디어환경의 급변에 따라 최근 광고시장에서는 전통매체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되고 PC 기반 인터넷, 모바일미디어, 소셜미디어 등의 뉴미디어를 활용한 프로모션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소비자가 상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를 전통매체와 결합하여 활용하는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가능해 짐으로써 교차광고(또는 크로스미디어광고) 전략이 새로운 마케팅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소구기법으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교차광고의 효과에 있어 제품관여도와 매체간 연계속성, 그리고 성별이 광고 노출 후의 브랜드태도와 행동적 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설계상으로는 내적 타당성의 확보를 위해 가상의 제품을 정하고, 제품관여도와 매체간 연계속성이란 두 독립변인을 조작하여 실험광고물을 제작한 후 20~3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관여도와 매체간 연계속성의 상호작용이 성별의 조절효과에 따라 브랜드 태도와 행동적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edia environment surrounding us has changed rapidly, the influences of traditional media decrease whereas promotions using new media have been developing remarkably, Under this circumstance, cross-media advertising, which strategically integrates advertisements on multiple media, is getting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배경의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교차광고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잠재적 영향변인으로서의 제품관여도와 매체 간 연계속성, 그리고 성별 요인에 주목하고, 이들이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와 행동적 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근 많은 기업들로부터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교차광고 전략에 대해 이론과 실무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와 같은 배경의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교차광고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잠재적 영향변인으로서의 제품관여도와 매체 간 연계속성, 그리고 성별 요인에 주목하고, 이들이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와 행동적 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근 많은 기업들로부터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교차광고 전략에 대해 이론과 실무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두 변인, 즉 제품관여도와 매체 간 연계속성에 따라 교차광고에 의한 브랜드태도와 행동적 의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정교화가능성모델을 근거로 한다면 교차광고에 나타난 제품이 일반적 고관여군에 속할 경우에는 중심경로의 설득과정을 통해 오락강화형 보다 정보강화형 메시지의 효과가 더 긍정적일 것이고, 이와 반대로 저관여 군에 속할 경우는 주변경로 설득과정에 의해 정보강화형보다 오락강화형 메시지가 더 긍정적 반응을 유발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정보의 정교화 시점 및 처리과정이 다를 수 있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성별을 독립변인-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제품관여도와 매체 간 연계속성이 브랜드태도와 행동적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설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외부에서 받아들이는 정보의 처리과정에 있어 남녀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은 성별에 따라 광고반응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으리란 예측을 파생한다. Meyers-Levy와 Sterntha(1991)[24]의 발견을 광고효과의 상황에 적용한다면, 여성은 남성에 비해 메시지를 정교화하는 시점이 종종 더 빠를 수 있으므로 판단에 있어 메시지의 단서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리란 유추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차광고의 장점은 무엇인가? IMC는 다양한 전통매체와 뉴미디어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결합하여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는 통합된 마케팅전략 활동이므로 교차광고전략은 IMC를 전개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수단 중하나라 할 수 있다[4]. 디지털미디어가 발달하고 기존 매체를 통한 광고의 한계가 인식되는 상황에서 등장한 교차광고는 TV광고보다 적은 비용으로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고,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
교차광고 전략은 무엇인가? 이는 전통매체를 통한 오프라인광고와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온라인광고를 다양한 형태로 접목하는 광고전략 이라 할 수 있다. 즉, 교차광고 전략은 기존의 매체와 디지털미디어가 창출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 콘텐츠를 갖고 시너지효과를 유발하기 위해 집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접근이라 할 수 있다[1]. 다양한 매체를 접하고 종종 변덕스러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좀 더 발 빠르게 충족시켜야 하는 오늘날의 광고시장에서 교차광고 전략의 실질적 효과 측정은 전통매체와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검증과제이다.
제품관여도에 관련하여 고관여 상황과 저관여 상황에 대한 정교화 가능성모델은 어떤 경향이 있는가? 제품관여도와 관련해서 연구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적용되어져 온 이론이 Petty와 Cacioppo(1986)의 정교화 가능성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이다. 이모델에 따르면, 고관여 상황에서는 소비자가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품의 속성과 같은 중심정보의 처리에 있어 적극적인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는 반면, 저관여 상황에서는 광고모델, 컬러, 배경음악 등과 같은 주변적 정보의 처리에 의해 태도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14]. 또한 중심경로에 의한 설득은 주변경로에 의한 설득보다 수용자로 하여금 더 큰 행동변화나 설득에 대한 저항감을 유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 McAllister & J. Turow, "New media and the commercial sphere: Two interesting trends, five categories of concern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 46, No. 4, pp. 505-514, 2002. 

  2. C. W. Oh, S. S. Oh & N. S. Park, "Advertising agency employees' perception of the features, roles and effects of cross-media representative system",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8, No. 5, pp. 79-100, 2007. 

  3. Dentsu Cross-media Project Team, "Cross Switch", Seoul: Nanam, 2009. 

  4. I. K. Shin, "The beginning of IMC: Cross-media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Marketing, Vol. 45, No. 6, pp. 53-58, 2011. 

  5. K. R. Lee, "Effects of cross-media advertising campaign on advertising and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between television and Internet banner ad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Vol. 20, No. 3, pp. 67-90, 2010. 

  6. R. Briggs, "Advertising on the web: Is there response before click-through?",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37, No. 2, pp. 33-45, 2002. 

  7. H. Y. Ha,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erceptions of brand trust online",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Vol. 13, No. 5, pp. 329-342, 2004. 

  8. A. Wang, "Cross channel integration of advertising: Does personal involvement matter?", Management Research News, Vol. 32, No. 9, pp. 858-873, 2007. 

  9. Y. J. Lee & J. M. You, "When TV advertisements meet Internet search boxes: The effects of cross-media advertisements", Korea Marketing Review, Vol. 25, No. 1, pp. 1-24, 2010. 

  10. Korea Federation of Advertising Associations, "Media and Consumer Trends Report", 2012. 

  11. J. H. Antil,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1, No. 9, pp. 203-209, 1984. 

  12. J. L. Zaichkowsky, "Measuring of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6, No. 12, pp. 341-352, 1985. 

  13. R. E. Petty, J. T. Cacioppo & D. P. Schuman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0, No. 2, pp. 40-65, 1983. 

  14. R. E. Petty & J. T. Cacioppo,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ttitude change", Springer-Verlag, 1986. 

  15.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36, No. 5, pp. 21-35, 1996. 

  16. P. S. Chen & L. M. Hitt, "Measuring switching costs and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retention in Internet-enabled businesses: A study of the online brokerage industr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3, pp. 255-274, 2002. 

  17. C. J. Jeong, "A study on the advertising creative based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235-241, 2015. 

  18. J. W. Lee & T. H. Oh, "A study on the impact of advertising attribution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cognitive brand and attitude toward brand",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 23, No. 4, pp. 361-384, 2009. 

  19. L. F. Alwitt & P. R. Prabhaker, "Functional and belief dimensions of attitude to television advertising: Implications for copytes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32, No. 5, pp. 17-29, 1994. 

  20. G. Bruner & A. Kumer, "Web commercials and advertising resear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41, No. 5, pp. 23-32, 2000. 

  21. I. Maignan & B. A. Lukas, "The nature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A qualitative investigat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3, No. 2, pp. 346-371, 1997. 

  22. E. Y. Choi & S. J. Doh, "The roles of Internet use motivation and ability, advertising perception, and general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 the Internet advertising avoidanc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Vol. 13, No. 2, pp. 171-197, 2011. 

  23. R. Batra & M. B. Holbrook, "Developing a typology of affective responses to advertising", Psychology & Marketing, Vol. 7, No. 1, pp. 11-25, 1990 

  24. J. Meyers-Levy & B. Sternthal, "Gender differences in the use of message cues and judg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5, No. 28, pp. 84-96, 1991. 

  25. M. B. Holbrook, "Aims concepts, and methods for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sthetics responses to design featur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5, No. 13, pp. 337-347, 1986. 

  26. F. Sistrunk & J. W. McDavid, "Sex variable in conform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ty & Social Psychology, Vol. 20, No. 17, pp. 200-207, 1971. 

  27. E. Garbarino & M. S. Johnson,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custom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 63, No. 2, pp. 70-87,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