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요인과 식중독 발병의 연관성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
Big Data Study about the Effects of Weather Factors on Food Poisoning Incid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319 - 327  

박지애 (국민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김장묵 (단국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호성 ((주)나우드림) ,  이해진 (기상청 서비스기반국 기상기술융합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1월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의 기상변이에 관한 빅 데이터와 보건의료의 빅 데이터를 융합하여 식중독 발병률 변이에 기상요인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국민건강예방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분석도구 R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와 Lasso 로지스틱 회귀 총 2가지 분석을 하였고,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주 원인균을 분류하여 세균성 원인균과 바이러스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 변이를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결과, 세균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에는 평균기온, 일조량편차, 기온편차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바이러스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은 최소증기압, 일조량편차, 기온편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상요인과 식중독 발병률이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두 가지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이 같은 기상요인에 영향을 받더라도 원인균들의 특성에 따라 식중독 발병률에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ttempts an analysis that fuses the big data concerning weather variation and health care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4; it gives the weather factor as to what kind of influence there is for the incidence of food poisoning, and also endeavors to be helpful regarding na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식중독 발병률은 식중독에 감염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중독 발생 감시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발병률을 범주형 값인 식중독 발생유무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온과 상대습도를 포함한 기상요인들과 식중독 발생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식중독을 유발하는 원인균들에 의해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는 세균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과 바이러스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으로 구분하여, 기상에 의한 식중독 발병률 변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발생 현황 보건의료 빅 데이터 자료에 대해 데이터 불일치 및 오류 건에 대한 수정작업· 텍스트로 이루어진 변수에 대한 코드화 진행 등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여 발생일· 발생 건수· 발생지역· 원인균을 변수로 하는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식중독 발생 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수집한 전국 식중독 발생 현황 보건의료 빅 데이터 자료 중 2011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발생일· 환자 수· 발생지역· 원인균· 원인시설 등의 자료가 포함된 식중독 발생 건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과거 역학조사로 추적한 식중독 발생 시점 자료로써, 병원균의 성장과 숙주 반응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지연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도 식중독 발병률의 변이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자료이다.
  • 이러한 기존 연구결과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기온 증가에 따른 식중독 발생 증가의 양상을 공통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기온과 습도와 관련하여 식중독 발생 건수 또는 환자수를 예측한 것과 달리 전국 단위의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상 변수를 고려한 식중독 발생률의 변이를 연구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WS자료는 무엇을 실시간으로 감시한 자료인가? ASOS자료는 전국 모든 기상관측소에서 같은 시각에 실시하는 지상관측을 말하며, 자동으로 관측된 14개 요소와 일부 자동과 목측으로 관측된 11개 요소로 구성된다. AWS자료는 기상관측소가 없는 곳에 설치되어 국지적인 악 기상 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시한 자료로 총 4개 요소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AWS자료와 ASOS자료를 key value인 지역 ID와 날짜를 이용하여 매핑시켰고 이상치 및 결측치 제거를 통해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은 어떤 온도에서 가장 번식 속도가 빠른가?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은 4°C∼60°C 사이 온도에서 증식하고, 대부분 35°C∼36°C 내외에서 번식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여름철에 세균성 원인균에 의한 식중독 발병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위생 관념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부패한 음식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에 비해 바이러스성 식중독이 증가하고 있다.
랜덤 포레스트의 변수 중요도는 어떻게 측정되는가? 랜덤 포레스트는 각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여 변수를 축약하는 변수 선택 방법 중 하나이다. 변수 중요도는 변수가 모형의 정확도와 노드 불순도 개선에 얼마만큼 기여하는 지로 측정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tul A. Khasnis and Mary D. Nettleman, "Grobal Warming and Infectious Disease", Archives of Medical Research, Vol.36, p689-696, 2005. 

  2. Yong Soo Kim, Ki Hwan Park, Hyang Sook Chun, Changsun Choi, Gyung Jin Bah, "Correlations between climatic conditions and foodborne diseas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68, pp.24-30. 2015. 

  3. Xiaoxu Wu, Yongmei Lu, Sen Zhou, Lifan Chen, Bing Xu,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uman infectious diseases: Emprical evidence and human adapta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86, pp.14-23. 2015. 

  4. Jan C Semenxa, Bettina Menne, "Climate change and infectious disease in Europe", www.thelancet.com/infection, Vol.9, 2009. 

  5. Katherine M. Rovert T, Richard W, David B, "Climate change and allergic disease", American Academy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Vol.122, pp.443-453, 2008. 

  6. R. Konno,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Human Rotavirus Infection in Japan". INFECTIOUS DISEASE, Vol.147, No.1, pp. 125-128. 1983. 

  7. Xiaoxu Wu, Yongmei Lu, Sen Zhou, Lifan Chen, Bing Xu,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uman infectious diseases: Emprical evidence and human adaptat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86, pp.14-23 .2015. 

  8. Graham Bentham and lan H. Langford, "Climate change and the incidence of food poisoning in England and Wales",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1995. 

  9. Patz JA, Vavrus SJ, Uejio CK, McLellan SL. "Climate change and waterborne disease risk in the Great Lakes region of the U.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35, pp.451-458, 2008. 

  10. Gareth James, Daniel a Witten, Trenor Hastie, Robert Tibshirani, "An Instroduction to Statistical Learning with R", Springer, 2013. 

  11. Yeom Jun Geun,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Paju: JaUoo Academy, 2005. 

  12. The Lasso Logistic Regression Model: Modifications to aid causality assessment for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 LONDON SCHOOL of HYGIENE&TROPICAL MEDICINE, 2010. 

  13. Kun Ho Se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Food-borne Disease",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Vol.50, pp.64-66. 2010. 

  14. J.D.Greig, A.Ravel, "Analysis of foodborne outbreak data reported internationally for source attribu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130, pp.77-87, 2009. 

  15. R. S. KOVATS, S. J. EDWARDS, S. HAJAT, B. G. ARMSTRONG, K.L. EBI, B.MENNE and The Collaborating Group,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food poisoning: a time-series analysis of salmonellosis in ten Europea countries", Epidemiol, Vol.132, pp.443-453, 2004. 

  16. Ho Sung Shin, Gi Hye Jung, Si Mon Yoon, Su Hyeng Lee,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and food poison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9(1), 2009, 143-162. 

  17. Craig Baker-Austin, Joaquin A. Trinanes, Nick G. H. Taylor, Rachel Hartnell, Anja Siitonen & Jaime Martinez-Urtaza, "Emerging Vibrio risk in the Baltic Sea in response to ocean warming", Nature Climate Change 3, 73-77 (2013) 

  18. Ho Sung Shin, Si Mon Yoon, Jin wook Jung, Jung Sun Kim,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Age Factors on the Food-borne Diseas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186-210 

  19. Young-Suk Chung, Rack-Koo Park, Jin-Mook Kim,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1, pp. 9-15, 2014. 

  20. Kyoungho Choi, Jin Ah Yoo, "A reviews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1, pp. 77-8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