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기관절개관 관리에 대한 지식, 술기 및 지각된 수행정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nursing skill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tracheostomy ca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2, 2016년, pp.463 - 475  

이선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김순희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지식, 간호술기, 지각된 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핵심간호술기 checklist와 질문지를 이용하여 D광역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90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4일부터 2014년 9월 22일까지 시행하였고, SPSS/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손 씻기 지식은 간호술기, 지각된 수행 정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술기에서 손 씻기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수행이 잘 되는 항목은 [내관을 과산화수소수 용액 (과산화수소수: 생리식염수=1:2)에 담가놓는다]로 멸균제품과 환자로부터 오염된 제품을 제거하는 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멸균과 손 씻기 등의 감염에 대한 지식이 행위로 이어지도록 구체적 동기와 인지를 유발하는 경험적 학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nursing skill, perceived performance in graduating nursing class. The participants were 90 members of to graduating nursing clas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4, 2014 to September 22, 2014 using a questionnaire and core nu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에서 ‘상’ 수준에 해당하는 기관절개관 관리를 통해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이 어떤 항목이며, 학생들이 지각한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간호학부생 및 신규간호사의 실무교육에 대한 학습전략 및 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실습교육방법을 모색하여 간호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이것은 졸업 간호사들의 임상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관절개관 관리 대한 핵심술기 항목 중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이 어떤 항목이며 학생들의 기관절개관 관리 대한 지식, 술기 및 지각된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학사과정과 학사학위과정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기의 ‘상’ 수준에 해당하는 기관절개관 관리를 통해 기본간호술의 핵심개념(무균술, 감염 등)에 대한 지식, 술기, 지각된 수행정도와 기관절개관 관리 핵심기본간호술기 중 취약한 항목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기관절개관 관리 핵심기본간호술기를 통해 지식과 술기 및 지각된 수행정도의 차이 그리고 기관절개관 관리 항목 중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이 어떤 항목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 광역시 간호대학 2곳의 졸업학 년 간호대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기관절개관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술기 및 지각된 수행정도는 모두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간호술기의 ‘상’ 수준에 해당하는 기관절개관 관리를 통해 지식, 술기, 지각된 수행정도의 관계와 기관절개관 관리 술기의 취약한 항목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에서 ‘상’ 수준에 해당하는 기관절개관 관리를 통해 올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항목이 어떤 항목이며, 학생들이 지각한 수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이란 무엇인가? 간호학은 실제적, 잠재적 문제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다루는 실무중심 학문으로 간호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갖춘 전문직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Jerlock 등, 2003). 기본간호학은 임상실습 전에 통합된 간호 실무를 가이드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간호개념에 대한 이론과 구체적인 간호술에 대한 술기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학은 실제적, 잠재적 문제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다루는 실무중심 학문으로 간호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갖춘 전문직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Jerlock 등, 2003). 기본간호학은 임상실습 전에 통합된 간호 실무를 가이드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간호개념에 대한 이론과 구체적인 간호술에 대한 술기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간호대학에서 기본간호학의 술기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가? 또한, 기본간호학의 술기는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데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여러가지 능력 중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실무능력으로 간호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간호대학에서 기본간호학은 실제 간호술기가 적용되는 임상실무 상황을 경험하지 못하고 간호학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확고한 신념이 형성되기 전인 저학년에서 교과과정으로 편성되어 있다. 또한, 간호학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채 여러 전공분야에 앞서 우선적으로 기본간호학을 이수하고 있다. 저학년 때 배운 기본간호학이 여러 전공과목에 흡수되고 여러 전공과정을 이수한 고학년이 되어서야 임상실습을 통해 실무현장에서 기본간호술기를 적용할 기회를 갖도록 하고 있어 기본간호술기의 적용과 정확한 수행에 불안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Yang,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L. S., Chang, S. O., Jang, H. J., Yang, S. H. and Kim, H. S. (2003).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 47-56. 

  2. Han, A. K., Cho, D. S. and Won, J. S. (2014).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 162-173,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2.162. 

  3. Her, S., Kim, I. S. and Kim, K. H. (2008). Factor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0, 375-385. 

  4. Jeong, S. Y. and Kim, O. S. (2013).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and hygiene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198-207,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3.198. 

  5. Jerlock, M., Falk, K. and Severinsson, E. (2003). Academic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Too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ursing Health Science, 5, 219-228. 

  6. Kang, M. K., Kim, K. H. and Choi, M. H. (2004). A study on levels of awareness of nosocomial infec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by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327-334. 

  7. Kim, D. O., Suh, K. H, Kim, S. O., Lee, K. Y., Kim, H. Y., Lee, J. S., Kang, J. S., Sim, S. S., Jung, H. C., Kim, S. A., Oh, S. H., Ji, H. R., Park, S. A., Lee, M, Y., Choi, E, H., Suh, J, Y., Jang, O, J. and Han, M. S. (2015). Theory & Cases(1st), Pacific Books, Seoul. 

  8. Kim, H. J. and Kim, K. M. (2015). A case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during freshmen year.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283-1293. 

  9. Kim, J. M. and Lee, S. H. (2012).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related to nesocomial imfection control: An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8, 229-238,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229. 

  10. Klein, C. J. and Fowles, E. R. (2009).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e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5, 109-121. 

  11. Kline, P. (2000). The handbook of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Routledge, London. 

  1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Retrieved 2013 May 20, from http://kabon.or.kr/kabon02/120120319133351. 

  13. Lee, E. J., Yi, Y. J., Kim, Y. S., Jo, H. S., Kim, H. S., Kim, Y. M., Park, K. H. and Kim, J. S. (2011).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between associate and bachelor nursing students completed nursing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7, 218-255. 

  14. Lee, M. R., So, H. Y. and Cho, M. K. (2005). Determinants of nurses hand was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17, 269-275. 

  15. Park, H. S. and Han, J. Y. (2013).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695-706. 

  16. Park, K. Y. (2012). Influences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self-efficacy on proper hand cleansing and hand washing practices among pre-practicum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 313-321,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3.313. 

  17. Park, S. N. and Lee, S. K. (2008). Factors influs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6-13. 

  18. Song, K. Y., Park, H. S., Hong, Y. H., Lee, K. Y., Chaung, S. K., Cho, B. H., Chung, K. O., Yoon, E. J., Kim, S. O., Eom, M. R., Lee, K. E. and Yang, J. H. (2014). Fundamentals of nursing (a revised ed), Soomoon, Paju, 321-325. 

  19. Yang, J. I. (2000). A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assertiveness, clinical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wangju Health College, 25, 393-417. 

  20. Yoon, J., Kim, K. J. and Choi, M. S. (2013). The effects of OSCE application before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9, 273-284. 

  21. Yoo, M. S., Son, Y. J., Yoo, I. Y. and Hong, S. K. (2006).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clinical skil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343-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