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분 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자살 행동, 공격 행동과 인지기능과의 관계
Suicidal Behavior, Violent Behavior, and Neurocognitive Function in Child and Adolescent Mood Disorder Pati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7 no.1, 2016년, pp.39 - 47  

윤희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오윤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urrent suicidal or violent behavior and deficits of specific neurocognitive variables in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 samples diagnosed with mood disorder.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harts of mood disorder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지기능의 평가는 웩슬러 유아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ISC)와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IS)로 이루어 졌다. WISC와 WAIS의 소검사 항목별로 각각 점수를 검토하여, 특정 인지기능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가 이루어진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5세까지 WISC, 16세 이상은 WAIS로 검사를 진행하였기에 연령을 두 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 이차적으로는 아동 행동 평가 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의 각 항목과 자살, 공격 행동이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소아 청소년 환자를 아동 행동 평가 척도로 이해하는 폭을 넓혀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고든 진단 기준(Gordon Diagnostic System, GDS)의 효율비(efficiency ratio)를 확인함으로써 주의 집중력의 효율성이 자살 행동, 공격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기분 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자살 행동, 공격 행동과 특정 인지 기능과의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차적으로는 아동 행동 평가 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의 각 항목과 자살, 공격 행동이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소아 청소년 환자를 아동 행동 평가 척도로 이해하는 폭을 넓혀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기분 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자살 행동, 공격 행동과 특정 인지 기능과의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차적으로는 아동 행동 평가 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의 각 항목과 자살, 공격 행동이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소아 청소년 환자를 아동 행동 평가 척도로 이해하는 폭을 넓혀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고든 진단 기준(Gordon Diagnostic System, GDS)의 효율비(efficiency ratio)를 확인함으로써 주의 집중력의 효율성이 자살 행동, 공격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 장애란 무엇인가? 우울 장애는 소아에서 2-3%, 청소년에서는 8%에 이르기까지 보고될 정도로 소아 청소년에서 흔한 질환이며,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양극성 장애 또한 소아 청소년에서 2% 정도로 높게 보고되고 있다.2) 입원을 요하는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도 기분 장애는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3) 특히 자살 행동과 공격 행동이 있는 경우 정신과 병동에 입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기의 자살 행동의 중요한 위험 인자는 무엇인가? 2) 입원을 요하는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도 기분 장애는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3) 특히 자살 행동과 공격 행동이 있는 경우 정신과 병동에 입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4) 이전 연구들에서 정신과적 질환이 청소년기의 자살 시도의 중요한 위험 인자이며 그중에서도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를 포함한 기분 장애가 자살의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임이 알려져 왔다.5) 또한, 한국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도 정신과 입원 소아 청소년 환자 중 자살 시도자에서 기분 장애가 있는 경우가 다른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경우에 비해 유의미하게 많았다.
소아 청소년의 자살 행동이나 공격 행동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보이는 자살 행동이나 공격 행동은 입원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생활 및 가족, 학교, 지역사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7) 이에 이러한 자살 행동이나 공격 행동과 연관된 요인들을 찾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으며 그중 신경인지학적인 측면에서 자살 행동, 공격 행동을 설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adock BJ, Sadock VA.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7. 

  2. Merikangas KR, Jin R, He JP, Kessler RC, Lee S, Sampson NA,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ipolar spectrum disorder in the world mental health survey initiative. Arch Gen Psychiatry 2011; 68:241-251. 

  3. Kessler RC, Avenevoli S, Ries Merikangas K. Mood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Biol Psychiatry 2001;49:1002-1014. 

  4. Rice BJ, Woolston J, Stewart E, Kerker BD, Horwitz SM. Differences in younger, middle, and older children admitted to child psychiatric inpatient services. Child Psychiatry Hum Dev 2002;32: 241-261. 

  5. Gould MS, Greenberg T, Velting DM, Shaffer D. Youth suicide risk and preventive interventions: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42:386-405. 

  6. Park S, Kim JW, Kim BN, Bae JH, Shin MS, Yoo HJ,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cipitating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dmitted for psychiatric inpatient care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 2015;12:29-36. 

  7. Stieben J, Lewis MD, Granic I, Zelazo PD, Segalowitz S, Pepler D.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 of emotion regulation for subtypes of externalizing children. Dev Psychopathol 2007;19:455-480. 

  8. Osler M, Nybo Andersen AM, Nordentoft M. Impaired childhood development and suicidal behaviour in a cohort of Danish men born in 1953.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8;62:23-28. 

  9. Keilp JG, Gorlyn M, Russell M, Oquendo MA, Burke AK, Harkavy-Friedman J, et al. Neuropsychological function and suicidal behavior: attention control, memory and executive dysfunction in suicide attempt. Psychol Med 2013;43:539-551. 

  10. Jimenez-Trevino L, Blasco-Fontecilla H, Braquehais MD, Ceverino-Dominguez A, Baca-Garcia E. Endophenotypes and suicide behaviour. Actas Esp Psiquiatr 2011;39:61-69. 

  11. Seguin JR, Nagin D, Assaad JM, Tremblay RE. Cognitive-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chronic physical aggression and hyperactivity. J Abnorm Psychol 2004;113:603-613. 

  12. Speltz ML, DeKlyen M, Calderon R, Greenberg MT, Fisher PA.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est behaviors of boys with early onset conduct problems. J Abnorm Psychol 1999;108:315-325. 

  13. Raine A, Yaralian PS, Reynolds C, Venables PH, Mednick SA. Spatial but not verbal cognitive deficits at age 3 years in persistently antisocial individuals. Dev Psychopathol 2002;14:25-44. 

  14. Stanford MS, Greve KW, Gerstle JE.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self-reported impulsive aggression in a college sample. Pers Individ Differ 1997;23:961-965. 

  15. Moffitt TE. The neuropsychology of juvenile delinquency: a critical review. Crime Justice 1990;12:99-169. 

  16. Morgan AB, Lilienfeld SO.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behavior and neuropsychological measures of executive function. Clin Psychol Rev 2000;20:113-136. 

  17. Gansler DA, McLaughlin NC, Iguchi L, Jerram M, Moore DW, Bhadelia R, et al. A multivariate approach to aggression and the orbital frontal cortex in psychiatric patients. Psychiatry Res 2009;171:145-154. 

  18. Gunther T, Holtkamp K, Jolles J, Herpertz-Dahlmann B, Konrad K. Verbal memory and aspects of attentional contro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nxiety disorders or depressive disorders. J Affect Disord 2004;82:265-269. 

  19. Frias A, Palma C, Farriols N. Neurocognitive impairments among youth with pediatric bipolar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of neuropsychological research. J Affect Disord 2014;166:297-306. 

  20. Martinez-Aran A, Vieta E, Reinares M, Colom F, Torrent C, Sanchez-Moreno J, et al. Cognitive function across manic or hypomanic, depressed, and euthymic states in bipolar disorder. Am J Psychiatry 2004;161:262-270. 

  21. Oh K, Lee H, Hong K, Ha 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Chung Ang Aptitude;1997. 

  22. Oh K, Ha E. K-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Huno Consulting; 2007. 

  23. Gordon M, Mettelman BB. The assessment of attention: I.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of a behavior-based measure. J Clin Psychol 1988;44:682-690. 

  24. Arango V, Underwood MD, Gubbi AV, Mann JJ. Localized alterations in pre- and postsynaptic serotonin binding sites in the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of suicide victims. Brain Res 1995;688:121-133. 

  25. Ding Y, Lawrence N, Olie E, Cyprien F, le Bars E, Bonafe A, et al. Prefrontal cortex markers of suicidal vulnerability in mood disorders: a model-based structural neuroimaging study with a translational perspective. Transl Psychiatry 2015;5:e516. 

  26. Jollant F, Lawrence NS, Giampietro V, Brammer MJ, Fullana MA, Drapier D, et al. Orbitofrontal cortex response to angry faces in men with histories of suicide attempts. Am J Psychiatry 2008;165:740-748. 

  27. Hoffman P, Jefferies E, Lambon Ralph MA.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plays an executive regulation role in comprehension of abstract words: convergent neuropsychological and repetitive TMS evidence. J Neurosci 2010;30:15450-15456. 

  28. Bohbot VD, Iaria G, Petrides M. Hippocampal function and spatial memory: evidence from functional neuroimaging in healthy participants and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medial temporal lobe resections. Neuropsychology 2004;18:418-425. 

  29. Volkow ND, Tancredi L. Neural substrates of violent behaviour. A preliminary study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r J Psychiatry 1987;151:668-673. 

  30. Wong MT, Lumsden J, Fenton GW, Fenwick PB. Electroencephal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violence ratings of male patients in a maximum-security mental hospital. Acta Psychiatr Scand 1994;90:97-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