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scribe prescribing practices in treatment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in a Korean inpatient sample.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66 youths who had been hospitalized and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according to the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 양극성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의 치료에서 흔히 사용된 약물의 종류 및 조합 등 약물 치료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극과민성을 주증상으로 호소한 경우 고양된 기분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경우와 달리, 우울감을 목표로 하는 약물이 더 추가적으로 사용될 것이라 예상하고, 기분 주증상에 따른 약물 사용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로 입원한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 치료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된 치료 약물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과 기분안정제였으며 리스페리돈, 리튬, 발프로에이트가 가장 흔히 사용되었다.
  •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 양극성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의 치료에서 흔히 사용된 약물의 종류 및 조합 등 약물 치료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극과민성을 주증상으로 호소한 경우 고양된 기분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경우와 달리, 우울감을 목표로 하는 약물이 더 추가적으로 사용될 것이라 예상하고, 기분 주증상에 따른 약물 사용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극성장애가 소아기에 발병한 경우 성인기에 발병한 경우보다 어떠한 점에서 더 위험한가? 소아 양극성장애는 심각한 기능 손상을 야기하며1,2) 초기 성인기까지 연결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3) 480명의 성인 양극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소아기에 발병한 경우 성인기에 발병한 경우보다 더 잦은 조증, 우울증 삽화를 보이며, 다른 정신 질환의 동반이 더 흔하고, 급속 순환형이 더 많았다.4)1,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Syste order 연구에서도 조기 발병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불안증과 물질 남용이 더 흔히 동반되었고, 기분 삽화가 더 잦았으며, 정상기분 상태의 기간이 짧았고, 자살 시도 및 폭력 행사의 발생률이 더 컸다.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 어떠한 증상을 보이는가?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에서는 뚜렷한 고양된 기분, 우울감 외에도 흔히 자극과민성을 보인다. 고양된 기분이 동반되지 않은 만성적인 자극과민성을 보이는 증증 기분 조절 장애 (severe mood dysregulation)의 경우 양극성장애로 진행 위험성이 낮았다.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에 사용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발프로에이트는 최근 연구에서 소아 양극성장애의 치료에 있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보다 덜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이기도 하였다.9)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에서 올란자핀,18) 리스페리돈,19,20) 퀘티아핀,21) 아리피프라졸22,23) 등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효과가 입증되며, 권고안에서도 기분안정제와 더불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단일 요법이 소아 양극성장애의 치료에서 1차 치료로 추천되고 있으며,10) 1차 치료제로서 더욱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에서 리스페리돈이 가장 많이 사용되 었으며, 사용된 모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FDA의 승인을 받은 약물이었고 AACAP의 권고안에 부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zniak J, Biederman J, Kwon A, Mick E, Faraone S, Orlovsky K, et al. How cardinal are cardinal symptoms in pediatric bipolar disorder? An examination of clinical correlates. Biol Psychiatry 2005; 58:583-588. 

  2. Moreno C, Laje G, Blanco C, Jiang H, Schmidt AB, Olfson M. National trends in the outpati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 youth. Arch Gen Psychiatry 2007;64:1032-1039. 

  3. Geller B, Tillman R, Bolhofner K, Zimerman B. Child bipolar I disorder: prospective continuity with adult bipolar I disorder; characteristics of second and third episodes; predictors of 8-year outcome. Arch Gen Psychiatry 2008;65:1125-1133. 

  4. Leverich GS, Post RM, Keck PE Jr, Altshuler LL, Frye MA, Kupka RW, et al. The poor prognosis of childhood-onset bipolar disorder. J Pediatr 2007;150:485-490. 

  5. Perlis RH, Miyahara S, Marangell LB, Wisniewski SR, Ostacher M, DelBello MP, et al. Long-term implications of early onset in bipolar disorder: data from the first 1000 participants in the systematic treatment enhancement program for bipolar disorder (STEPBD). Biol Psychiatry 2004;55:875-881. 

  6. Kowatch RA, DelBello MP. Pediatric bipolar disorder: emerging diagnostic and treatment approaches.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2006;15:73-108. 

  7. Goldstein TR, Birmaher B, Axelson D, Goldstein BI, Gill MK, Esposito- Smythers C, et al.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bipolar youth. J Affect Disord 2009;114:174-183. 

  8. Findling RL, McNamara NK, Youngstrom EA, Stansbrey R, Gracious BL, Reed MD, et al. Double-blind 18-month trial of lithium versus divalproex maintenance treatment in pediatric bipolar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44:409-417. 

  9. DelBello MP, Kowatch RA, Adler CM, Stanford KE, Welge JA, Barzman DH, et al. A double-blind randomized pilot study comparing quetiapine and divalproex for adolescent mani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45:305-313. 

  10. McClellan J, Kowatch R, Findling RL; Work Group on Quality Issues. Practice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107-125. 

  11. Pavuluri MN, Henry DB, Devineni B, Carbray JA, Naylor MW, Janicak PG. A pharmacotherapy algorithm for stabilization and maintenance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859-867. 

  12. Correll CU. Assessing and maximizing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antipsychotics used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lin Psychiatry 2008;69 Suppl 4:26-36. 

  13. Stringaris A, Baroni A, Haimm C, Brotman M, Lowe CH, Myers F, et al. Pediatric bipolar disorder versus severe mood dysregulation: risk for manic episodes on follow-up.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0;49:397-405. 

  14. Hunt J, Birmaher B, Leonard H, Strober M, Axelson D, Ryan N, et al. Irritability without elation in a large bipolar youth sample: frequency and clinical descriptio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48:730-739. 

  15. Hunt JI, Case BG, Birmaher B, Stout RL, Dickstein DP, Yen S, et al. Irritability and elation in a large bipolar youth sample: relative symptom severity and clinical outcomes over 4 years. J Clin Psychiatry 2013;74:e110-e117. 

  16. Conners CK, Barkley RA. Rating scales and checklists for child psychopharmacology. Psychopharmacol Bull 1985;21:809-843. 

  17. Kafantaris V, Coletti DJ, Dicker R, Padula G, Pleak RR, Alvir JM. Lithium treatment of acute mania in adolescents: a placebo-controlled discontinuation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43:984-993. 

  18. Frazier JA, Biederman J, Tohen M, Feldman PD, Jacobs TG, Toma V, et al. A prospective open-label treatment trial of olanzapine mono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1;11:239-250. 

  19. Frazier JA, Meyer MC, Biederman J, Wozniak J, Wilens TE, Spencer TJ, et al. Risperidone treatment for juvenile bipolar disorder: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 38:960-965. 

  20. Biederman J, Mick E, Wozniak J, Aleardi M, Spencer T, Faraone SV. An open-label trial of risperidon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5;15: 311-317. 

  21. Marchand WR, Wirth L, Simon C. Quetiapine adjunctive and monotherapy for pediatric bipolar disorder: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4;14:405-411. 

  22. Barzman DH, DelBello MP, Kowatch RA, Gernert B, Fleck DE, Pathak S, et al.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aripiprazole for pediatric bipolar disorder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4;14:593-600. 

  23. Doey T. Aripiprazole in pediatric psychosis and bipolar disorder: a clinical review. J Affect Disord 2012;138 Suppl:S15-S21. 

  24. Pavuluri MN, Henry DB, Carbray JA, Sampson G, Naylor MW, Janicak PG. Open-label prospective trial of risperidone in combination with lithium or divalproex sodium in pediatric mania. J Affect Disord 2004;82 Suppl 1:S103-S111. 

  25. Pavuluri MN, Henry DB, Carbray JA, Sampson GA, Naylor MW, Janicak PG. A one-year open-label trial of risperidone augmentation in lithium nonresponder youth with preschool-onset bipolar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6;16:336-350. 

  26. Delbello MP, Schwiers ML, Rosenberg HL, Strakowski SM.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quetiapine as adjunctive treatment for adolescent mani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1216-1223. 

  27. Chang K, Saxena K, Howe M. An open-label study of lamotrigine adjunct or mon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dolescents with bipolar depressio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45: 298-304. 

  28. Biederman J, Mick E, Spencer TJ, Wilens TE, Faraone SV. Therapeutic dilemmas in the pharmacotherapy of bipolar depression in the young.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0;10:185-192. 

  29. Wilens TE, Biederman J, Kwon A, Chase R, Greenberg L, Mick E, et al. A systematic chart review of the nature of psychiatric adverse ev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reated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3;13: 143-152. 

  30. Findling RL, Short EJ, McNamara NK, Demeter CA, Stansbrey RJ, Gracious BL, et al. Methylphenidate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 1445-1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