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일 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정상안과 건성안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
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between Normal and Dry Eyes by Wearing Clear and Circle Contact Lenses made of the Same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1, 2016년, pp.11 - 21  

이세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재질의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써클렌즈)를 정상안과 건성안에 착용시켰을 때 착용시간 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의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은 두 렌즈 모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주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Hilafilcon B 재질보다는 nelfilcon A 재질 렌즈의 주변부에서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이 높았으나 착용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hilafilcon B 재질의 써클렌즈 착용 시 단위면적 당 눈물막깨짐 개수는 모두 주변부에서 많게 나타났던 반면, nelfilcon A 재질 써클렌즈의 경우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중심부에서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렌즈중심안정위치는 착용시간 경과에 따라 두 재질 모두 써클렌즈에 비해 투명렌즈가 동공중심 가까이에 존재하였으나 정상안에 비해 건성안의 중심이탈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렌즈착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색공정을 거친 써클렌즈 뿐만 아니라 투명렌즈도 눈물막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재질에 따라 눈물막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투명 및 써클렌즈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착용자의 일일착용시간이나 착용기간 등과 같은 사용습관에 따라 렌즈의 착색공법/염료 뿐만 아니라 렌즈 재질 또한 고려하여 적절한 렌즈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ear film stability according to the wearing time when wearing clear and circle soft contact lens(circle lens) made of same material. Methods: The clear and circle contact lenses of hilafilcon B and nelfilcon A materials were resp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렌즈착용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나누고 동일한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일정시간동안 착용시킨 후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깨짐 시작부위, 렌즈중심안정위치 및 순목횟수를 측정하여 착용초기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착용자의 눈물량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이용했는가?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일재질의 투명 및 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써클렌즈)를 정상안과 건성안에 착용시켰을 때 착용시간 경과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의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투명 및 써클렌즈 착용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분석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방법: 연구대상자를 눈물량에 따라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분류한 후 hilafilcon B 재질과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및 써클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30분 후, 6시간 후에 비침입성 눈물막 파괴시간, 렌즈중심안정위치, 눈물막깨짐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막 안정성의 변화를 알아보였다.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은 두 렌즈 모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주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의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결과: 정상안과 건성안 모두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용시간경과에 따라 눈물막파괴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은 두 렌즈 모두 투명렌즈보다 써클렌즈의 주변부에서 높았고, 정상안보다는 건성안의 주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Hilafilcon B 재질보다는 nelfilcon A 재질 렌즈의 주변부에서 눈물막깨짐 시작 비율이 높았으나 착용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osenfield M. Computer vision syndrome: a review of ocular causes and potential treatments. Ophthalmic Physiol Opt. 2011;31(5):502-515. 

  2. Zeev MSB, Miller DD, Latkany R. Diagnosis of dry eye disease and emerging technologies. Clin Ophthalmol. 2014;8:581-590. 

  3. Ngo W, Situ P, Keir N, Korb D, Blackie C, Simpson 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of the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questionnaire. Cornea 2013;32(9):1204-1210. 

  4. Listed N. The definition &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Ocul Surf. 2007;5(2):75-92. 

  5. Lin PY, Tsai SY, Cheng CY, Liu JH, Chou P, Hsu WM. Prevalence of dry eye among an elderly Chinese population in Taiwan: the Shihpai Eye Study. Ophthalmology. 2003;110(6):1096-1101. 

  6. Lee AJ, Lee J, Saw SM, Gazzard G, Koh D, Widjaja D, Tan DT.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ry eye symptoms: a population based study in Indonesia. Br J Ophthalmol. 2002;86(12):1347-1351. 

  7. Nichols JJ, Mitchell GL, Nichols KK, Chalmers R, Begley C. The performance of the contact lens dry eye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survey for contact lens-related dry eye. Cornea 2002;21(5):469-475. 

  8. Brennan NA, Efron N. Symptomatology of HEMA contact lens wear. Optom Vis Sci. 1989;66(12):834-838. 

  9. Lemp MA.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CLAO J. 1995; 21(4):221-232. 

  10. Nichols JJ, Ziegler C, Mitchell GL, Nichols KK. Selfreported dry eye disease across refractive modaliti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6):1911-1914. 

  11. Optic Weekly. Fifty five percent of Korean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 2015. http://opticweekly.com/news/view.php?idx6994(24 September 2015). 

  12. Kim MJ, Hwang HK, Jang WY.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SCL)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C-SCL).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4):375-381. 

  13. Financial news. An increasing circle and color contact lens popularity in the domestic market, 2013.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5270200003780013099&cDateYear2013&cDateMonth05&cDateDay24(24 September 2015). 

  14. The Korea Optical News. Is the experiment on dye elution from circle lenses conducted by general publics credible?, 2011.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71(24 September 2015). 

  15. Kim DH, Oh SJ, Hwang JH, Sung DY, Jeon IC, Choi HY et al. 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08;10(3):239-259. 

  16. Kim SR, Kang U, Seo BM, Park M. A study on dye elution form the circle contact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171-177. 

  17. Park M, Kwon HL, Choi SA, Kim SR. Changes in subjective/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normal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4):429-439. 

  18. Lee S, Hyung SM, Koh SH, Park M, Kim SR.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 on the stability of tear film.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2):125-131. 

  19. Khanal S, Tomlinson A, McFadyen A, Diaper C, Ramaesh K. Dry Eye Diagno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8; 49(4):1407-1414. 

  20. Pult H, Purslow C, Murphy PJ.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igns and dry eye symptoms. Eye. 2011;25(4): 502-510. 

  21. Kim SR, Park SH, Joo S, Lee HR, Park M. 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1):27-35. 

  22. Kim SR, Park S, Lee SE, Park M. A comparison of lens centrations on cornea with RGP lens fitting by the measured values using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1):41-50. 

  23. Park M, Kang SY, Chang JI, Han A, Kim SR. Changes in subjective discomfort, blinking rate, lens centration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lens Induced by exceeding us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dry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 153-162. 

  24. Park SH, Kim SR, Park M. The effect of circle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in clinical application on the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2):147-157. 

  25. Meng RF, Mao S, Chapoy L. Contact lens. U.S. Patent 8461226, 2013. 

  26. Campanelli G, B Dietrich. Lens molds with protective coating for production of ophthalmic lenses. U.S. Patent 11/891422, 2008. 

  27. Jung DI, Lim SK, Kim SR, Park M. The comparison of lens movement by the fitting states of soft contact lenses in normal and dry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1):21-30. 

  28. Park M, Yang JH, Kim SM, Park S, Park SH, Kim SR. Changes in centration of contact lenses on cornea and blink rate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isposable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4):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