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생물유래 살조물질 (Naphthoquinone 계열)
Novel Algicidal Substance (Naphthoquinone Group) from Bio-derived Synthetic Materials against Harmful Cyanobacteria, Microcystis and Dolichospermum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1, 2016년, pp.22 - 34  

주재형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훈 (조선대학교 응용화학소재공학과) ,  한명수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의 친환경적인 제어를 위해 생물유래 물질을 기반으로 한 Naphthoquinone(NQ) 계열의 녹조제어 물질을 개발하였다. NQ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치환기 ($R_n$)를 변화시켜 총 92종의 NQ 유도체를 합성 확보하였고, 대상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 대하여 농도별 살조효과를 평가하여 $1{\mu}M$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제어가 가능한 NQ 화합물을 각각 22종을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NQ 40 물질은 최적 적용 농도인 $1{\mu}M$에서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에 각각 99.6%과 100%의 높은 제어효과가 관찰되었다. NQ 40 물질 ($1{\mu}M$)은 규조류 Stephanodiscus, Cyclotella와 와편모조류 Peridinium에는 살조효과가 없었으며, 대상 유해 남조류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NQ 40 물질의 급성독성을 평가 결과, Selenastrum capricornutum, Daphnia magna 및 Danio rario 종에 대하여 $EC_{50}$/$LC_{50}$ 값이 각각 3.2, 14.5 및 $15.7{\mu}M$로 측정되었다. 더불어, D. magna를 이용한 만성독성 평가 결과, NQ 40 물질 $1{\mu}M$에서 생존, 성장, 번식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NQ 40 물질을 현장에서 $1{\mu}M$로 적용한다면, 다른 수생생물에 미치는 영향 없이 대상 조류인 Microcystis와 Dolichospermum 종만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친환경적인 살조물질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ed a biologically-derived substance naphthoquinone (NQ) derivate for the eco-safe mitigation of harmful cyanobacteria blooms such as Microcystis and Dolichospermum. NQ was reacted with various substituents ($R_n$) to produce different NQ derivatives. We tested a total of 92 al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개발되어 유해 녹조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살조물질에 비해 낮은 독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친환경적으로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급성 독성 평가뿐만 아니라, NQ 40 물질이 실제 수계 적용 후 물질의 잔류에 의한 장기간 노출 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D. magna를 이용한 만성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현장 적용시 최적 농도인 0.
  •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녹조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법으로, 기존의 NQ 유도체 (1,4- naphthoquinone과 9,10-anthraquinone 등)와는 다르게 골격구조 변화로 신규 유도체를 합성하여 담수 유해 남조류인 Microcystis, Dolichospermum에 대한 살조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Dolichospermum 속을 제어하기 위해 NQ 기반 물질의 살조효과를 평가하였고, 최종 선정된 살조물질의 현장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살조범위와 생태독성 연구를 수행하여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살조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2009). 따라서, 본 연구진은 NQ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치환기 (Rn)를 변화시켜 합성한 살조물질의 효과 및 생태계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겨울철 녹조 현상의 원인 종인 Stephanodiscus hantzschii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써 (Byun et al.
  • 2005, Lürling and Oosterhout2013). 따라서, 본 연구진은 앞선 문제점이 보완된 보다 친환경적인 유해 남조류 제어 기술을 개발하고자 자연계에 존재 혹은 생물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대상으로 새로운 살조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계 혹은 생물 유래 물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생태계에서 자연분해가 되기 쉽고, 인간 및 동물에게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
  • rerio)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국제적으로 신뢰성 있는 표준시험법의 공시어종으로 생태독성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생물종이다. 본 실험에서는 미세조류 (S. capricornutum), 물벼룩 (D. magna), 어류 (zebrafish) 를 대상으로 급성생태독성을 평가하여 생태계 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남조류 제어를 위해 최종 선정된 살조물질 NQ 40의 경우, 미세조류 S.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살조물질의 비선택적인 조류 제어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국내에서 빈번하게 출현 하여 피해를 유발하는 유해 남조류 2종을 제외한, 규조류 2종 S. hantzschii, C. meneghinia, 와편모조류 1종 P. bipes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NQ 물질의 살조 효과를 평가하였다. 최종 선정된 NQ 40 물질은 D.
  • 유해 남조류 D. flos-aquae와 M. aeruginosa에 대하여 microplate assay 실험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된 최적 살조물질의 남조류 선택적 제어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규조류 및 와편모조류에 대해 microplate assay를 진행하였다. 규조 C.
  • 이는 단일 물질이나 수계 시료의 독성을 종합적으로 판단 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녹조제어를 위한 NQ 물질이 현장 적용 시 생태계의 미치는 독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EPA와 OECD에서 선정된 생태독성 평가 지표생물을 통한 생태독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수 생태계의 주요 영양 단계 중 가장 하위단계를 차지하는 기초 생산자 조류는 상위 영양 단계의 먹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해 남조류 중 대부분의 종이 독소로 이루어져 사람 및 동물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분류 속은? 그리고, 물의 착색 및 스컴 (scum) 형성 등으로 불쾌감을 유발하고 여가 및 산업 활동을 저해하며, 상수 처리과정 중여과지 폐쇄 및 응집 침전 저해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더불어,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Dolichospermum, Aphnizomenon 속의 대부분은 유해 독소인 Microcystin, Anatoxin 및 Saxitoxin을 생성하여 사람 및 동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되어 있다 (Codd et al. 2005).
유해 남조류 대발생으로 인한 물의 착색 및 스컴 형성이 초래하는 문제는? 2015). 그리고, 물의 착색 및 스컴 (scum) 형성 등으로 불쾌감을 유발하고 여가 및 산업 활동을 저해하며, 상수 처리과정 중여과지 폐쇄 및 응집 침전 저해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더불어,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Dolichospermum, Aphnizomenon 속의 대부분은 유해 독소인 Microcystin, Anatoxin 및 Saxitoxin을 생성하여 사람 및 동물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되어 있다 (Codd et al.
응집제 및 탈인제를 이용한 유해 남조류 제어 기술의 문제점은? 2001). 또한, 현재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응집제 및 탈인제를 이용한 유해 남조류 제어 기술 역시 대상조류 이외의 다른 수생 생물에 영향을 미쳐 수생태계가 파괴되었다 (Lim et al. 2002, Yamamot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eakes, G., Canter, H.M. and Jaworski, G.H.M. 1988. Zoospores ultrastructure of Zygorhizidium affluens Canter and Z. planktonicum Canter, two chytrids parasitizing the diatom Asterionella formosa Hassall. Canadian Journal of Botany 66: 1054-1067. 

  2. Bertoloni, G., Rossi, F., Valduga, G., Jori, G., Ali, H. and Van Lier, J. 1992. Photosensitizing activity of water-soluble and lipid-soluble phthalocyanines on prokaryotic and eukaryotic microbial-cells. Microbios 71: 33-46. 

  3. Biggins, J. 1990. Evaluation of selected benzoquinones, naphthoquinones, and anthraquinones as replacements for phylloquinone in the AI acceptor site of the photosystem I reaction center. Biochemistry 29: 7259-7264. 

  4. Byun, J.H., Joo, J.H., Kim, B.H. and Han, M.S. 2015. Application possibility of naphthoquinone derivative NQ 4-6 for mitigation of winter diatom bloom.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 224-236. (in Korean) 

  5. Codd, G.A., Morrison, L.F. and Metcalf, J.S. 2005. Cyanobacterial toxins: risk management for health protection.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03(3): 264-272. 

  6. Combs, A.B., Porter, T.H. and Folkers, K. 1976. Anticoagulant activity of a naphthoquinone analog of vitamin K and an inhibitor of coenzyme Q10-enzyme systems. Research Communications in Chemical Pathology and Pharmacology 13: 109-114. 

  7. De Oliveira-Filho, E.C., Lopes, R.M. and Paumgartten, F.J.R. 2004. Comparative study on the susceptibility of freshwater species to copper-based pesticides. Chemosphere 56(4): 369-374. 

  8. Dong, Y., Chin, S.F., Blanco, E., Bey, E.A., Kabbani, W., Xie, X.J., Bornmann, W.G., Boothman, D.A. and Gao, J. 2009. Intratumoral delivery of betalapachone via polymer implants for prostate cancer therapy. Clinical Cancer Research 15: 131-139. 

  9. Duke, S.O., Dayan, F.E., Rimando, A.M., Schrader, K.K., Aliotta, G., Oliva, A. and Romagni, J.G. 2002. Chemicals from nature for weed management. Weed Science 50(2): 138-151. 

  10. Findlay, J.W. and Dillard, R.F. 2007. Appropriate calibration curve fitting in ligand binding assay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armaceutical Scientists Journal 9(2): E260-E267. 

  11. Gumbo, R.J., Ross, G. and Cloete, T. 2010.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edatory bacteria from a Microcystis algal bloom.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9: 663-671. 

  12. Harn, Y., Choi, C.K., Shin, H.S. 2010. A study on the oxidative transformation of quinone compound using nanostructured black-birnessite.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32: 547-554. (in Korean) 

  13. Hobson, P., Fazekas, C., House, J., Daly, R. I., Kildea, T., Giglio, S. and Chen, Y.M. 2010. Tastes and Odours in Reservoirs-Research Report 73. Water Quality Research Australia, Adelaide, Australia. 

  14. Jancula, D., Drabkova, M., cerny, J., Karaskova, M., Korinkova, R., Rakusan, J. and Marsalek, B. 2008. Algicidal activity of phthalocyanines-screening of 31 compounds. Environmental Toxicology 23(2): 218-23. 

  15. Jewess, P.J., Higgins, J., Berry, K.J., Moss, S.R., Boogaard, A.B. and Khambay, B.P.S. 2002 Herbicidal action of 2-hydroxy-3-alkyl-1,4-naphthoquinones. Pest Management Science 58(3): 234-242. 

  16. Jori, G. and Brown, S.B. 2004. Photosensitized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Photochemical & Photobiological Sciences 3: 403-405. 

  17. Joo, J.H., Kang, Y.H., Park, B.S., Park, C.S., Cho, H. and Han, M.S. 2015. A field application feasibility assessment of naphthoquinone derivatives for the mitigation of freshwater diatom Stephanodiscus bloom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1: 1-12. 

  18. Koss, A.M. and Snyder, W.E. 2005. Alternative prey disrupt biocontrol by a guild of generalist predators. Biological Control 32: 243-251. 

  19. Lim, B.J., Kim, S.H. and Jun, S.O. 2002. Application of various plants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studies in barge enclosure and artificially eutrophicated pon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 123-132. (in Korean) 

  20. Lurling, M. and Oosterhout, F.V. 2013. Case study on the efficacy of a lanthanum-enriched clay (Phoslock $^{(R)}$ ) in controlling eutrophication in Lake Het Groene Eiland (The Netherlands). Hydrobiologia 710: 253-263. 

  21. Monks, T.J., Hanzlik, R.P., Cohen, G.M., Ross, D. and Graham, D.G. 1992. Quinone chemistry and toxicity.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12: 2-16. 

  22. Menna-Barreto, R.F., Correa, J.R., Cascabulho, C.M., Fernandes, M.C., Pinto, A.V., Soares, M.J. and De Castro, S.L. 2009. Naphthoimidazoles promote different death phenotypes in Trypanosoma cruzi. Parasitology 136: 499-510. 

  23. Nakai, S., Inoue, Y., Hosomi, M. and Murakami, A. 2000. Myriophyllum spicatum released allelopathic polyphenols inhibiting growth of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Water Research 34: 3026-3032. 

  24. Nakai, S., Yamada, S. and Hosomi, M. 2005. Anticyanobacterial fatty acids released from Myriophyllum spicatum. Hydrobiologia 543: 71-78. 

  25. NIES. 2004. Microalgae and protozoa. In, Watanabe, M.M., Hiroki, M., Kasai, F., Kawachi, M., Shimizu, A., Erata, M., Mori, F. and Yumoto, K. (eds), NIES-Collection: List of Strains,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Tsukuba, Japan, pp. 50-51. 

  26. O'Brien, P.J. 1991. Molecular mechanisms of quinone cytotoxicity.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s 80: 1-41. 

  27. OECD. 1992. Test No. 203: Fish, Acute Toxicity Test,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Paris, France. 

  28. OECD. 1996. Guidelines for Testing of Chemicals. Proposal for Updated Guideline 211, Daphnia magna Reproduction Test.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29. OECD. 2004. Test No. 202: Daphnia sp., Acute Immobilisation Test,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Paris, France. 

  30. OECD. 2011. Test No. 201: Freshwater Alga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Test,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ublishing, Paris, France. 

  31. Orvos, D.R., Versteeg, D.J., Inauen, J., Capdevielle, M., Rothenstein, A. and Cunningham, V. 2002. Aquatic toxicity of triclosan.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1: 1338-1349. 

  32. Oliveira, R., Domingues, I., Grisolia, C.K. and Soares, A. 2009. Effects of triclosan on zebrafish earlylife stages and adult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16(6): 679-688. 

  33. Park, M.H., Lee, S.J., Yoon, B.D. and Oh, H.M. 2001. Effects of cell CaSi and bioflocculant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9: 129-135. (in Korean) 

  34. Schrader, K.K., Nanayakkara, N.D., Tucker, C.S., Rimando, A.M., Ganzera, M. and Schaneberg, B.T. 2003. Novel derivatives of 9, 10-anthraquinone are selective algicides against the musty-odor cyanobacterium Oscillatoria perornata.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9: 5319-5327. 

  35. Segalla, A., Borsarelli, C.D., Braslavsky, S.E., Spikes, J.D., Roncucci, G., Dei, D., Chiti, G., Jori, G. and Reddi, E. 2002. Photophysical, photochemical and antibacterial photosensitizing properties of a novel octacationic Zn (II)-phthalocyanine. Photochemical & Photobiological Sciences 1: 641-648. 

  36. Shao, J., Xu, Y., Wang, Z., Jiang, Y., Yu, G., Peng, X. and Li, R. 2011. Elucidating the toxicity targets of ${\beta}$ -ionone on photosynthetic system of Microcystis aeruginosa NIES-843 (Cyanobacteria). Aquatic Toxicology 104: 48-55. 

  37. Tatarazako, N., Ishibashi, H., Teshima, K., Kishi, K. and Arizono, K. 2003. Effects of triclosan on various aquatic organisms. Environmental Sciences 11: 133-140. 

  38. Wu, Y., Liu, J., Yang, L., Chen, H., Zhang, S., Zhao, H. and Zhang, N. 2011. Allelopathic control of cyanobacterial blooms by periphyton biofilms. Environmental Microbiology 13: 604-615. 

  39. Yamamoto, Y., Kouchiwa, T., Hodoki, Y., Hotta, K., Uchida, H. and Harada, K.I. 1998.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lysing cyanobacteria in a eutrophic lake.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10: 391-397. 

  40. Yamamoto, M., Murai, H. Takeda, A., Okunishi, S. and Morisaki, S. 2005. Bacterial flora of the biofilm Formed on the submerged surface of the reed Phragmites australis. Microbes and Environments 20: 14-24. 

  41. Zamyadi, A., Sawade, E., Ho, L., Newcombe, G. and Hofmann, R. 2015. Impact of UV- $H_2O_2$ advanced oxidation and aging processes on GAC capacity for the removal of cyanobacterial taste and odor compounds. Environmental Health Insights 9 (Suppl 3): 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