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국의 사이버테러 대응체계와 시사점 분석 - 미국·영국·독일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ntries cyber terrorism Response System and Implications - Focusing on Analyzing the U.S., U.K. and Germany Cases -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49, 2016년, pp.187 - 214  

권오국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  석재왕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이버 영역에 대한 의존성이 심화와 현대사회의 상호연계성 강화로 인해 중요한 기반 시설이나 조직에 대한 사이버 테러는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한국의 국가기관을 비롯한 금융전산망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핵심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함께 사회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의 사이버 테러 법률 및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들 국가들의 대테러 전략은 안보환경, 제도, 문화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범정부차원의 대테러 업무 통합 협력 시스템 구축, 새로운 제도와 기관의 신설, 수사 정보활동 및 처벌 규정의 강화로 구체화된다. 한편, 우리의 경우 사이버 보안을 규율하는 일반법이 부재한 상황에서 개별 법률형태로 산재해있다. 따라서 우리는 선진국들의 사이버테러 대응 법적, 정책적 대응 동향을 검토 적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사이버안보법 제정과 함께 사이버테러 사전 예방 및 복구 지원 등 위기관리 강화, 국가차원의 합동대응팀 운영, 민간 단체의 지원과 협조 필요성 등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mordern society, the reliance on the cyber domain and the cyber connectivity has been increasingly strengthened. Due to this phenomenon, the cyberterror against critical infrastructures and state organs might lead to fatal consequences. Lately, North Korea's cyberattacks against South Ko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의 사이버테러 법률추진 및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렇다면 선진국(미·영·독)의 사례를 통해서 볼 때, 사이버 테러 대응과 관련하여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먼저, 사이버안보법 제정이 무엇보다 긴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사이버안보정책을 보면,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따라 「국가사이버위기 종합대책(2009)」, 「국가 사이버안보 마스터플랜(2011)」, 「국가사이버 안보종합대책(2013)」, 「국가사이버안보 강화방안(2015)」 등의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테러와 혼동되기 쉬운 개념은 무엇인가? 사이버테러는 정보전쟁(information warfare), 사이버 범죄(cyber criminal) 등과도 혼동되기도 한다(Holt, 2012; 형사정책연구원 2012: 39-40). 그러나 사이버위협 행위자, 공격동기, 대상, 규모, 그리고 대응주체 등을 구분할 때, 일반 사이버 범죄와 사이버테러, 사이버전쟁의 개념규정은 달리 규정될 수 있다.
주요 선진국의 사이버안보 체계는 어떠한가? 대표적으로 2007년 중국 해커부대의 미국 펜타곤 공격이나 2011년 G-mail계정의 해킹 발원지가 중국으로 밝혀짐에 따라 외교적, 군사적 마찰로 이어진 사례가 있다. 주요 선진국가의 사이버안보 체계를 분석해 보면 미국은 국토안보부, 영국·독일은 내무부, 프랑스는 국무총리실, 일본은 내각관 방이 주무기관이 되어 관계기관들과 수평적 관계에서 협력체계를 이끌어 내고 있다.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선진국이 사이버테러에 대한 수사 및 정보 활동을 강화하고 처벌규정을 강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수사 및 정보 활동을 강화하고 처벌규정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사이버테러 규정이 시민적 자유를 침해할 수도 있지만, 보다 큰 국가안보와 국민의 안전을 위해할 수 있다는 판단에 기인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석구 외(2010).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7-89. 

  2. 강석구.이원상(2014). 사이버범죄 관련 법령정비 방안. 149-161. 

  3. 국회도서관(2013). 사이버테러 한눈에 보기. 22-25. 

  4. 김재경(2014). 국가사이버안보 전담기구 사이버보안청 설립필요(국정감사). 

  5. 박준석(2015), 국가대테러체제의 구축 및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 42호. 

  6. 방송통신위원회(2009. 9.14). 보도자료. 

  7. 배병환.강원영.김정희(2014). 영국의 사이버보안 추진체계 및 전략분석. 4-24. 

  8. 배병환.송은지(2014). 주요국 사이버보안 전략비교.분석 및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26권 21호 통권 589호. 

  9. 새정치연합 국회 정보위원회(2015). 테러방지법과 사이버테러방지법 무엇이 문제인가. 

  10. 송은지.강원영(2014). 미국 오바마 정부 2기의 사이버보안 강화정책. INTERNET & SECURITY FOCUS September. 5-18. 

  11. 오길영(2013). 사이버 '테러' 대응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민주법학 제54호. 463-482. 

  12. 윤민우(2014). 새로운 안보환경을 둘러싼 사이버 테러의 위협과 대응방안: 쟁점들과 전략적 접근 틀에 대한 논의.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호. 

  13. 윤해성(2012). 사이버테러의 동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0-61. 

  14. 이창범(2010). 미국, 영국, 독일의 기반보호법 체계에 관한 연구. 

  15. 임종인(2016). 국가사이버보안 정책과 Think Tank의 역할. 

  16. 정보위원회 수석전문위원(2013. 6). 국가사이버테러안전 관리에 관한법률안 검토보고서. 74. 

  17. 전웅(2015), 현대 국가정보학, 서울:박영사 

  18. 정육상(2014). 최근 테러양상의 변화에 따른 대응체제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11권 1호. 

  19. 한국과학기술원(2011). 국가사이버보안 대응체계 혁신에 관한 연구. 

  20. 한국인터넷진흥원(2011). 사이버보안법제 선진화방안 연구. 

  21. 한희원(2014). 사이버안보에 대한 국가정보기구의 책무와 방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39호, 323-253. 

  22. 행정안전부(2008. 7. 22). 보도자료. 

  23. 형사정책연구원(2012, 연구총서 12-B-03) 사이버 테러의 동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24. Cabinet Office(2013. 12. 12). The 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y: Our Forwad Plans. 1-14. 

  25. Clay Wilson(2006). Information Operation and Cyberwar: Capabilities and Related Policy Issue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 The Library of Congress(9.14). 

  26. Holt, T. J(2012),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technology, crime, and terror. Terrorism and Political Violence, 24. 

  27. James B. Godwin(2014). Andrey Kulpin, Karl Frederick Rauscher and Valery Yaschenko(eds.) The Russia-US Bilateral on Cyberseurity- Critical Terminology Foundations. 16-22. 

  28. James R. Clapper(2013. 3. 12), Worldwide Threat Assessment of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Statement for the Record,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29. Mike Rogers(2013). Intelligence Chairman: U.S. Fighting Cyber War 'Every Day'. PJ Media, 29 July. 

  30. The White House(2011). International Strategy for Cyberspace(www.whitehouse.gov) 

  31. William J. Lynn(2013). Defending a New Domain: The Pentagon's Cyberstrategy. Foreign Affairs, Sept/Oct. 2010. 97-108. 

  32. www.shugiin.go.jp, 검색일자 2016. 10. 13. 

  33. www.congress.gov/bill/114th-congress/house-bill/2029/text, 검색일자 2016. 10. 15. 

  34. www.dhs.gov/critical-infrasture, 검색일자 2016. 9. 18. 

  35. www.isaca.org/cyber/pages/cybersecuritylegislation.aspx, 검색일자, 2016. 10. 7.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