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간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동료관계의 질과 목표성향의 상호작용효과
Knowledge Sharing in Co-worker Relationships: Interaction Effect of Quality of Co-worker Exchange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17 no.4, 2016년, pp.147 - 162  

김보영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nowledge sharing has many benefits; however, employees are generally reluctant to share their knowledge with co-workers. This reluctance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s that sharing knowledge involves the threat of losing personal competitiveness and the codification of knowledge for sharing requ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료 간에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적 교환이론과 목표이론, 그리고 특성활성화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요인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동료 관계 속에서 동료 교환관계의 질이 지식공유행동을 증진시킴을 검증하였으며, 둘째, 행위자인 조직구성원이 가지는 학습목표성향의 정도가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 더욱이 조직 내에서 승진과 보상을 두고 경쟁관계에 있는 수평적 동료 관계에서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것은 조직구성원 입장에서 더 큰 비용과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식공유 행동이 활성화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딜레마를 극복하고 조직구성원들이 동료에게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이유를 사회적 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근거하여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에 의하면 상호성 원칙(reciprocity norm)에 의해 동료 관계 속에서 호의(favor)를 교환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이 가능하다.
  • 따라서 지식을 창출하고 획득하기 위하여 타인과 활발하게 정보를 교환하려는 지식공유 행동에 개인의 학습목표성향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 성향이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위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 행동의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료 관계의 특징을 바탕으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quality of coworker exchange: CWX)의 영향력을 고찰한다.
  • 이는 동료 간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지식공유행동이 내포하고 있는 위험과 비용이 상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지식공유행동의 장점에 대해 동의하면서도 조직 현실에서 선뜻 동료와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회적 교환이론에 의하면 교환관계의 질이 높은 동료 간에는 서로에게 지속적인 호의를 베풀 것이라는 심리적 계약(psychological contract)이 위배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가 형성되어 있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공유행동에 있어서 동료의 영향력이 중요함을 제안하고 조직구성원들이 동료들과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적 교환 이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이로써 지식공유행동이 지니고 있는 딜레마를 극복하고 동료 관계에서 어떻게 지식공유행동이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지식공유를 행하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특징이 동료 관계 속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고,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과 지식공유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학습목표성향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 둘째, 지식공유를 행하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특징이 동료 관계 속에서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고,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과 지식공유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학습목표성향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이를 통해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이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 즉, 행위자의 학습목표성향이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과 지식공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성향의 조절효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모든 변수를 한 시점에 측정하여 분석에 사용하는 횡단연구이다. 따라서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종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이상의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공헌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공유행동에 있어서 동료의 영향력이 중요함을 제안하고 조직구성원들이 동료들과 지식공유행동을 하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적 교환 이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동료간 교환관계의 질의 영향력을 검증한다. 이로써 지식공유행동이 지니고 있는 딜레마를 극복하고 동료 관계에서 어떻게 지식공유행동이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성향이 지식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한 가설 2가 기각되었다. 이는 학습목표성향과 지식공유행동 간의 정의 관계를 검증한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 차원의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지식공유란 문제해결이나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 혹은 정책이나 절차 개선을 목적으로 다른 사람과 협력하거나 이들을 돕기 위해 과업정보나 노하우를 제공하는 행동을 의미한다(Srivastava, Bartol, & Locke, 2006). 동료들 간의 지식공유가 활성화되어야 결과적으로 조직차원의 창의성이나 혁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차원의 지식공유 행동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지식은 형식지와 암묵지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는데(Polanyi, 1966), 직무기술서를 통해 쉽게 전파가 가능한 형식지에 비해 글로 전승할 수 없는 전문 지식을 의미하는 암묵지는 주로 조직구성원들 간의 관계 속에서 노하우 전수 등의 형태를 통해 개인적으로 전파된다.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해결하야 하는 과제는 무엇인가?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는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조직 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확대한다는 점에서(Liebowitz, 2003) 적극적으로 장려되고 있는 행동이다. 따라서 조직적 차원에서 개별 조직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이나 능력을 얼마나 창출하고, 공유하고 활용하는가는 효과적인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를 위하여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 현장에서 조직구성원들 간의 활발한 지식공유 활동을 목격하기란 쉽지 않다.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가 장려되는 이유는? 조직 내 구성원들 간의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는 지식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조직 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확대한다는 점에서(Liebowitz, 2003) 적극적으로 장려되고 있는 행동이다. 따라서 조직적 차원에서 개별 조직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이나 능력을 얼마나 창출하고, 공유하고 활용하는가는 효과적인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를 위하여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보영, 박오수, 윤석화 2010. "도움행동의 해석에 관한 연구: 행위자 자기표현 조절능력과 평가자 이미지 향상동기의 조절효과," 경영학연구 (39:2), pp. 739-767. 

  2. 김보영, 이수진 2012. "동료의 과업관련 도움요청과 이들의 특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3:4), pp. 101-115. 

  3. Aiken, L. S., S. G. West, and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4. Ames, C., and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pp. 260-267. 

  5. Ardichvili, A., V. Page, and Wentling, T. 2003. "Motivation and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virtual knowledge-sharing communities of practic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7), pp. 64-77. 

  6. Baard, P. P., E. L. Deci, and Ryan, R. M. 2004. "Intrinsic need satisfaction: A motivational basis of performance and wellbeing two work setting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10), pp. 2045-2068. 

  7.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 Transaction Publishers. 

  8. Brett, J. F., and VandeWalle, D. 1999. "Goal orientation and goal content as predictors of performance in a training program,"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4:6), pp. 863-873. 

  9. Cabrera, E. F., and Cabrera, A. 2005. "Fostering knowledge sharing through people management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6:5), pp. 720-735. 

  10.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S95-S120. 

  11. Duffy, M. K., D. C. Ganster, and Pagon, M. 2002. "Social undermining in the work 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2), pp. 331-351. 

  12. Dweck, C. S. 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 pp. 1040-1048. 

  13. Dweck, C. S., and Leggett, E. L.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pp. 256-273. 

  14. Ferguson, M., D. Carlson, S. Zivnuska, and Whitten, D. 2012. "Support at work and home: The path to satisfaction through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pp. 299-307. 

  15. Gong, Y., J.- C. Huang, and Farh, J.-L. 2009.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4), pp. 765-778. 

  16. Gouldner, A. W. 1960. "The nor m of reciprocity: A preliminar 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2), pp. 161-178. 

  17. Graen, G. B., and Uh l-Bien, M. 1995.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Leadership Quarterly, (6), pp 219-247. 

  18. Hirst, G., D. Van Knippenberg, and Zhou, J. 2009. "A cross-level perspective on employee creativity: Goal orientation, team learning behavior, and individu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2), pp. 280-293. 

  19. Huber, G. P. 1991.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s," Organization Science, (2:1), pp. 88-115. 

  20. Janssen, O., and Van Yperen, N. W. 2004. "Employees' goal orientations,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outcomes of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7:3), pp. 368-384. 

  21. Liebowitz, J. 2003. "A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jason organiz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4:2), pp. 1-5. 

  22. Lin, L., L. Kwok, and Koch, P. T. 2006. "Managerial knowledge sharing: The role of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Management & Organization Review, (2:1), pp. 15-41. 

  23. Lu, L., X. Lin, and Leung, K. 2012.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s of knowledge sharing and perceived autonomy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s of knowledge sharing and perceived autonom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 pp. E180-E197. 

  24. Mischel, W. 1973. "Toward a cognitive social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80), pp. 252-283. 

  25. Obstfeld, D. 2005. "Social networks, the tertius iungens orientation, and involvement in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1), pp. 100-130. 

  26. Polanyi, M. 1966. The tacit dimension, London, England: Routledge Kegan Paul. 

  27. Reinholt, M. I. A., T. Pedersen, and Foss, N. J. 2011. "Why a central network position isn't enough: The role of motivation and ability for knowledge sharing in employee network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4:6), pp. 1277-1297. 

  28. Snyder, M., and Lckes, W. 1985.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r. In G. Lindzey, & E. Aronson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883-947. New York, Randon House.. 

  29. Srivastava, A., K. M. Bartol, and Locke, E. A. 2006.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6), pp. 1239-1251. 

  30. Tett, R. P., and Burnett, D. D. 2003. "A personality trait-based interactionist model of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 pp. 500-517. 

  31. Tett, R. P., and Guterman, H. A. 2000. "Situation trait relevance, trait expression, and cross-situational consistency: Testing a principle of trait ac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4), pp. 397-423.. 

  32. Vandewalle, D. 199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domain goal orientation," Educational & Psychological Measurement, (57:6), pp. 995-1015. 

  33. VandeWalle, D., S. P. Brown, W. L. Cron, and Slocum, J. J. W. 1999. "The influence of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tactics on sales performance: A longtitudinal field te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4:2), pp. 249-259. 

  34. Vansteenkiste, M., B. Neyrinck, C.P. Niemiec, B. Soenens, H. DeWitte, and Van Den Broeck, A. 2007. "On the relations among work value orientation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job outcomes: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 Organizational Psychology, (80:2), pp. 251-277. 

  35. Yeo, G., S. Loft, T. Xiao, and Kiewitz, C. 2009. "Goal orientations and performance: Differential relationships across levels of analysis and as a function of task deman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3), pp. 710-7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