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구성을 위한 사용자 행태 분류
User Behavior Classification for Contents Configuration of Life-logging Applic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4, 2016년, pp.13 - 20  

권지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곽소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게임학과) ,  임윤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황민철 (상명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타인과의 공유까지 확장되고 있는 라이프로깅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한 라이프로깅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사용자 행태에 의해 서비스 콘텐츠가 제작되고 메뉴화되어 인포그래픽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로깅 서비스의 콘텐츠 항목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자 행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학술 서적과 논문,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라이프로깅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기존의 라이프로깅 관련 사용자 행태 기반 콘텐츠 항목을 살펴본다. 둘째,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항목으로서 사용자 행태를 추출하고 분류 한다. 문헌 자료, 선행 논문 및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항목에서 사용자 행동 어휘를 수집한다. 수집된 어휘는 FGI(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을 통한 적합성 검정 분석에 의하여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항목에 필요한 39개 어휘를 추출한다. 최종적으로 추출한 39개 어휘는 설문과 통계 분석 및 FGI를 통해 19개 사용자 행태 - '먹다', '집안일을 하다', '다이어트를 하다', '여행하다', '운동하다',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다', '촬영하다', '만나다', '감정을 느끼다', '말하다', '보살피다', '운전하다', '듣다', '온라인에 접속하다', '잠자다', '가다', '일하다', '배우다', '보다'-로 분류되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결과를 통하여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콘텐츠 항목 구성에 대한 활용과 한계점을 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ife-logging service which has expanded to measure and record the daily life of the users and to share with other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as life-logging services based on the application has become popular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devices and smart-phones, the conten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라이프로깅에 기반한 사용자, 즉 인간의 일상생활에서의 기록을 위한 행동에는 무엇이 있는지 연구하고, 그 행태를 분류하여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콘텐츠 제작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들의 행태를 분류한 결과는 라이프로깅의 서비스를 구성하거나 카테고리화 하는데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메뉴 또는 인포그래픽을 디자인하는데 가이드 역할이 가능할 것이다.
  • 본 실험은 라이프로깅 관련 사용자들의 행태를 표현하기 적합한 어휘를 추출하고 그룹핑하여 분류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라이프로깅 관련 어휘의 분석은 사용자인 인간의 일상생활을 기록하는 의미를 중심으로 Fig.
  • 본 연구는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콘텐츠 및 메뉴 구성을 위한 사용자 행태를 분류하였다.
  • 첫째, 라이프로깅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사용자 행태와의 관계 및 분류의 필요성을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학술 서적과 논문, 단행본을 포함한 출판물 등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웨어러블기기의 발달이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 최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라이프로깅(Life-logging)’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웨어러블기기의 발달로 자신의 생리신호 측정 및 물리적 정보가 자동으로 기록되기도 하고, 개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모든 정보를 SNS 등을 통해 타인과 공유하고 자신의 기억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라이프로깅은 개인의 모든 일상생활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라이프로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행태 정의와 분류는 라이프로깅 서비스와 콘텐츠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라이프로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행태 정의와 분류는 라이프로깅 서비스와 콘텐츠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웨어러블기기의 발달로 자신의 생리신호 측정 및 물리적 정보가 자동으로 기록되기도 하고, 개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모든 정보를 SNS 등을 통해 타인과 공유하고 자신의 기억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라이프로깅은 개인의 모든 일상생활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라이프로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행태 정의와 분류는 라이프로깅 서비스와 콘텐츠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디지털 매체를 통한 라이프로깅은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 이에 반해 디지털 매체를 통한 라이프로깅은 텍스트, 이미지나 그림뿐만이 아니라, 동영상이나 인터랙티브 콘텐츠 사용이 가능해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자기 정량화(Quantified Self)로 개인의 외현적 또는 내현적 정보가 실시간으로 정량화되어 기록된다. 둘째, 실시간기록화(Recorded in Real Time)로 측정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상태와 상황을 기록하고 전달한다. 셋째, 객관적 분석화(Objectively Analyzed)로 축적된 데이터가 객관적으로 분석되어 그 결과를 통계적 수치 또는 인포그래픽 등의 시각화로 알려준다. 넷째, 기억의 온톨로지화(Ontologized Memory)는 사용자의 기억을 확장해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온톨로지화하여 의미와 가치 있는 연계를 만들어 준다. 다섯째, 타인과의 공유화(Shared with Others)라는 특징을 갖고 있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에서 확대되어 타인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lum, M., Pentland, A. & Troster, G. (2006). Insense:interest-based life logging.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MultiMedia, 13(4), 40-48. 

  2. Convergence Policy Research Department policy research headquarters(정책연구본부 융합정책연구부). (2013). Digital smart service, lifelogging(디지털 스마트 서비스, 라이프로깅). Trend and prospect(동향과 전망), 66, 28-37. 

  3. Hopfgartner, F., Yang Y. Zhou, L. M., & Gurrin C. (2013). User interaction templates for the design of lifelogging systems. Semantic Models for Adaptive Interactive Systems, 1, 187-204. 

  4. Jeon, J. H., Yeon, J., Lee, S., & Seo, J. (2014). Exploratory visualization of smarphone-based lifelogging data using smart reality testbed. Big Data and Smart Computing, 104, 29-33. 

  5. Kwak, S., Lee, J. & Kwon, J. (2015). An analysis of infographic design for life-logging application.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373, 185-191. 

  6. O’Hara, K., Tuffield, M. M. & Shadbolt, N. (2008). Lifelogging: privacy and empowerment with memories for life. Ident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1(1), 155-172. 

  7. Park, S. Y. & Kim, S. I. (2014). Usability evaluation of lifelogging application on mobile (모바일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Journal of Digital Design(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117-127. 

  8. Petroulakis, N., Askoxylakis, I. & Tryfonas, T. (2012). Life-logging in smart environments: challenges and security threats. Institud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2(6), 5680-5684. 

  9. Ratsamee, P., Mae, Y., Jinda-apiraksa, A., Horade, M., Kamiyama, K., Kojima, M., & Arai, T. (2015). Keyframe selection framework based on visual and excitement features for lifelog image seq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7(5), 859-874. 

  10. Shim, H. (2014). Bigdata and life-logging : current state and outlook(빅데이터와 라이프로깅(Life-logging): 현황과 전망). ICT-Humanities & Social Science, 1(6), 42-53. 

  11. Statics Korea(통계청). (2009). Behavior classification table about 2009 living time investigation(2009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 Retrieved January 15, 2016, from http://kostat.go.kr/survey/lifestyle/ls_dl/1/1/index.board?bmoderead&aSeq154159&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12. Stastics Korea(통계청). (2015). Result of 2014 living time investigation(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Retrieved January 15, 2016,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2/6/4/index.board?bmoderead&aSeq3468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