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강 호흡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EEG 연구
EEG Study for the Effects of Mouth Breathing on Brain Function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4, 2016년, pp.119 - 126  

이경진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용생체공학과) ,  이송이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  박소영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의용생체공학과) ,  장소라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강창기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강 호흡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뇌전도(EEG : electroencephalogram)를 통해 관찰하고자 한다. 신체가 건강한 12명의 피험자(남성: 6명, 여성: 6명, 나이: 21~27, 비흡연자)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두피에 전극을 부착한 상태로 휴지기 상태에서 비강(Rest_N) 및 구강 호흡(Rest_M)을 수행하였고, 영어 대본을 사용한 청각언어자극이 주어지는 상황에서 비강(Eng_N) 및 구강 호흡(Eng_M)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뇌파는 뇌의 기능별로 크게 4 구역(R1~R4)으로 나뉘어 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해 각각의 채널별(e.g., Pf1 and Pf2) 및 주파수 대역별(${\alpha}$, ${\beta}$, ${\gamma}$, ${\theta}$)로 절대 파워(Absolute Power) 비율을 살펴보았다. 도출된 결과에서는 Rest_N과 Rest_M 상태의 뇌파는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강 호흡 수행 중 청각언어자극이 주어졌을 때(Rest_N/Eng_N)의 뇌파를 비교했을 경우, 뇌파의 활동이 휴지기 상태의 뇌파 활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조건상에서 구강호흡을 했을 때(Rest_M/Eng_M)는 비강 호흡을 실시했을 때와 달리 대부분의 뇌 구역과 주파수 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한 조건의 자극에도 불구하고 구강 호흡을 하는 경우는 뇌기능의 변화가 비강 호흡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uth breathing on brain activity through electroencephalogram (EEG). EEG was performed on 12 healthy volunteers of age ranging from 21 to 27 years (male: female = 6:6, non-smoker). Brain waves on resting state (Rest_N/Rest_M) and auditory-language sti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구강 호흡을 하는 성장기 아동들이 자주 호소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저하로 인한 학습 부진과 행동 발달장애의 원인에 대한 근원적인 원인 파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뇌전도를 통해 구강 호흡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청각언어자극을 이용하여 구강 호흡이 뇌파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피험자의 심박동수(beats per minute: bpm)와 혈중산소포화도(pO2)의 변화를 관측하여 호흡 방법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Oxymeter (MD300C26, ChoiceMMed)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구강 호흡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뇌전도를 이용하여 관측한 첫 시도로서 의미가 있다. 비강 호흡과 구강 호흡 간의 뇌기능의 차이를 뇌전도를 통해 알아본 본 연구에서 휴지기 상태와 청각언어자극이 주어진 상태를 비교한 결과, 비강 호흡 시 두 조건(휴지기 상태와 자극) 에서 많은 구역과 주파수대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구강호흡을 실시했을 때에는 두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호흡이 집중력 및 기억력과 같은 뇌 기능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강 호흡 시에는 비강 호흡을 했을 때보다 뇌에 공급되어지는 산소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중력 및 기억력과 같은 뇌 기능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Morton et al., 1995).
휴지기 상태의 뇌파 측정은 어떠한 환경과 조건에서 이루어졌는가? 피험자는 전극을 부착한 채 최대한 편안한 상태에서 눈을 감고 5분씩 비강 호흡과 구강 호흡을 수행하였다. 호흡하는 동안 각각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때 외부 청각 자극에 대한 변수를 제거하고 잡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귀마개를 착용하였다. 자극 사이에는 1분간의 쉬는 시간을 두어 다음 자극에 대한 준비를 진행하였다. 즉, 각각의 호흡 수행 이전에 1분간해당 호흡을 미리 수행하도록 하였다.
구강 호흡은 호흡기 질환 이외에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 1986). 만성 호흡기 질환자 90%가 자신도 모르게 구강 호흡을 하고 있으며, 이는 구강 호흡을 할 때 코털과 섬모와 같은 여과장치가 없어 세균 감염이나 천식, 비염 등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고, 구강 호흡이 얼굴과 혀의 근육 형태와 안면 골격에 부정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건강의 악화를 일으킨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Paul &Nanda, 1973). 또한, 구강 호흡을 하게 되면 입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머리와 목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인두의 형태 변형을 야기할 수도 있다(Chung & Beltri, 2014).성장기 아동의 경우, 습관화된 구강 호흡으로 인해 인중 부분이 길어지고 턱은 좁아지며 아래턱뼈가 후방으로 치우치는 아데노이드 말상과 같은 안면 발달 장애나 치아 부정 교합을 겪을 수 있다(Bresolin et al.,1984). 지속적인 구강 호흡은 코골이 및 수면 중 무호흡증을 야기할 수 있고 얕은 수면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성장 호르몬의 불균형은 발육과 성장을 더디게 만들고 집중력 저하 및 학습 부진을 초래할 수 있다(Marcus, 2001). 또한, 구강 호흡을 하게 될 경우, 비강 호흡을 했을 때 보다 혈중산소포화도의 수치가 낮아지며, 낮아진 혈중산소포화도로 인해 심박동수가 높아질 수 있다(Chung et al., 2006; Daly & Bondurant,1962; Goul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r, M., Kassam, K. S., Ghuman, A. S., Boshyan, J., Schmid, A. M., Dale, A. M., & Halgren, E. (2006). Top-down facilitation of visual recogni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3(2), 449-454. 

  2. Bresolin, D., Shapiro, G. G., Shapiro, P. A., Dassel, S. W., Furukawa, C. T., Pierson, W. E., Chapko, M., & Bierman, C. W. (1984). Fa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breathe through the mouth. Pediatrics, 73(5), 622-625. 

  3. Chung, S. C. & Lim, D. W. (2008). Effect of highly concentrated oxygen administration on addition task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signal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1(1), 105-112. 

  4. Chung, S. C., You, J. H., Yi, J. H., & Sohn, J. H. (2006). Influence of 30% oxygen on heart rate and SPO2 during cycle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9(1), 1-7. 

  5. Chung Leng Munoz, I. & Beltri Orta, P. (2014). Comparison of cephalometric patterns in mouth breathing and nose breathi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78(7), 1167-1172. 

  6. Daly, W. J. & Bondurant, S. (1962). Effects of oxygen breathing on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cardiac index of normal men - resting, with reactive hyperemia, and after atropin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41(1), 126-132. 

  7. Gabrieli, J. D. E., Fleischman, D. A., Keane, M. M., Reminger, S. L., & Morrell, F. (1995). Double dissociation between memory systems underlying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in the human brain. Psychological Science, 6(2), 76-82. 

  8. Gleeson, K., Zwillich, C. W., Braier, K., & White, D. P. (1986). Breathing route during sleep.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34(1), 115-120. 

  9. Gould, G. A., Forsyth, I. S., & Flenley, D. C. (1986). Comparison of two oxygen conserving nasal prong systems and the effects of nose and mouth breathing. Thorax, 41(10), 808-809. 

  10. Hasselmo, M. E. (2005). What is the function of hippocampal theta rhythm?-linking behavioral data to phasic properties of field potential and unit recording data. Hippocampus, 15(7), 936-949. 

  11. Jensen, O. & Tesche, C. D. (2002). Frontal theta activity in humans increases with memory load in a working memory task.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15(8), 1395-1399. 

  12. Marcus, C. L. (2001).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64(1), 16-30. 

  13. Marzbani, H., Marateb, H., & Mansourian, M. (2016). Methodological note: neurofeedback: a comprehensive review on system design, method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Basic and Clinical Neuroscience Journal, 7(2), 143-158. 

  14. Morton, A. R., King, K., Papalia, S., Goodman, C., Turley, K. R., & Wilmore, J. H. (1995). Comparison of maximal oxygen consumption with oral and nasal breathing. Australian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27(3), 51-55. 

  15. Paul, J. L. & Nanda, R. S. (1973). Effect of mouth breathing on dental occlusion. The Angle Orthodontist, 43(2), 201-206. 

  16. Posner, M. I., Petersen, S., Fox, P., & Raichle, M. (1988). Localization of cognitive operations in the human brain. Science, 240(4859), 1627-1631. 

  17. Zhou, W. & Gotman, J. (2005). Removing eye-movement artifacts from the EEG during the intracarotid amobarbital procedure. Epilepsia, 46(3), 409-41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