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주 민간경비산업 고품질 규제수단 검토 및 시사점
Australian Case Study in Regulatory Techniques to the Security Industry Reform and Policy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47, 2016년, pp.7 - 36  

김대운 (영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흔히 '성장의 한계가 없는 고도 성장산업'으로 불리는 민간경비업은 1980년대 이래 쉼 없는 양적 팽창을 거듭해왔다. 현대에서 민간경비의 역할은 생활안전 뿐 아니라 안보에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교량적 기능은 가속화되고 있다. 치안서비스의 한 축으로써, 민간경비산업의 건전한 육성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고유의 필요에 따라 각기 독특한 자격제도와 규제수단을 마련해 운영해오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에는 민간경비산업이 고도로 활성화 된 주요국의 규제개혁 사례가 다수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개된 선진국의 제도정비연구는 전반적으로 영미와 독일, 이웃 일본 중심이었다. 그러나 경비산업의 활성화 논의와 규제해법 담론을 이끌고 있는 많은 선도국들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일찍이 경비서비스를 공공재로 인식하여 단계적 제도개선 노력을 지속해온 광대한 인구부족 국가 호주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부터 민경 역할분담을 확대해온 호주의 경비산업규제 접근방식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민간경비 산업 전반의 리스크 관리와 거시건전성 감독정책 방향에 대해 국내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호주의 경비산업 관리 운영은 (1) 의심스런 경비업자 측근에 대한 강도 높은 모니터링과 지문을 날인하는 제도의 운영, (2) 무영장 경비업체 압수수색제도, (3) 부적격자 삼진아웃 퇴출제도 등을 특징으로 하였다. 민간경비는 사회 안전을 보장하는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므로, 서비스의 균일한 신뢰성 담보를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보다 전문적인 관리와 선제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사례를 바탕으로, (1) 규제 프로그램의 리스크 유형별 효과성 측정을 토대로 한 규제품질평가에 대한 필요성, (2) 중장기적 규제영향분석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립, (3) 규제준수 유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규제 믹스(regulatory mix) 전략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curity providers industry, often referred to as an industry with unconfined growth ceiling, has entered a remarkable mass-growth phase since the 1980. In the modern era, private-sector security increasingly cover functions relating to general security awareness (including counter-terrorism)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외의 주들의 경우, 상기 규제도구의 운용은 시범운영 단계(test case)에 머무르고 있거나, 무작위/선별적(random/targeted)으로 운용중이다(Prenzler・Sarre, 2014: 873). 아래에서는 각 프로그램의 주된 시행취지와 각 주정부간 방법론적 접근법의 차이에 대해 순차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산업의 선진국인 호주의 규제개혁 모델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이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제도개혁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2000년대 들어 호주에서 채택되었거나 중점 추진되고 있는 사전대응 전략들, 예컨대 정신・심리상태에 대한 심사여부, 자유재량에 의한 면허취소・영업정지 처분의 유연성 정도, 삼진아웃 자동 퇴출제의 확대시행 여부, 경비 사업자 측근(close associates)에 대한 감시 및 통제권 행사방식 등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이상 본고에서는, 호주 민간경비산업의 규제동향을 고찰하고, 스마트 레귤레이션이 제시하고 있는 모범규준의 전제요건을 토대로 규제의 바람직한 방향성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으므로, 국내 경비업법 규정과의 직접적 대조·분석 같은 비교론적인 관점에서 한계를 지니나, 호주의 규제 경험 및 방식의 제공과 같은 보다 전체론(holism)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경비 면허취득의 선행조건으로 요구되는 것은? 대표적인 다민족, 이민국가로 형성된 호주의 경우 민간경비 면허취득의 선행조건으로 일정기간 호주 거주조건을 만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인 기준은 면허 신청일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호주 시민(영주)권자 신분의 유지, 그리고 해당 기간 동안 해외에 장기 체류함이 없이 지속적으로 호주 내 실거주 조건의 만족이다.
호주에서 민간경비 자격제도의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된 시기는? 호주에서 민간경비 자격제도의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 된 시기는 밀레니엄 시드니 올림픽을 앞둔 90년대 중반이다. 이전까지 체계화된 교육훈련 커리큘럼이 정립되지 않아 주마다 산발적으로 이뤄져왔던 민간경비 훈련・평가방식을, 1998년부터 호주의 국가자격체계(AQF: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에 편입함으로써 직업훈련의 품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한 것이 표준화 제도정비의 첫 시작이다.
민간경비 자격제도 표준화 제도정비의 첫 시작은 무엇인가? 호주에서 민간경비 자격제도의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 된 시기는 밀레니엄 시드니 올림픽을 앞둔 90년대 중반이다. 이전까지 체계화된 교육훈련 커리큘럼이 정립되지 않아 주마다 산발적으로 이뤄져왔던 민간경비 훈련・평가방식을, 1998년부터 호주의 국가자격체계(AQF: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에 편입함으로써 직업훈련의 품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한 것이 표준화 제도정비의 첫 시작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상호 연계된 통합적 형태의 국가자격체계가 정착된 시기는 약 12년 후인 2010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성기.김학경 (2012a). 영국의 민간경비 의무적 자격증 및 인증계약자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0, 85-115. 

  2. 이성기.김학경 (2012b). 미국의 민간경비 자격 및 교육훈련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3, 197-228. 

  3. 이성용 (2007). 독일 민간경비의 발전과 Police Private Partnership, 치안정책연구, 20, 160-192. 

  4. 이상원 (2004). 호주의 민간경비 교육훈련과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7, 367-391. 

  5. 이준호 (2009). 영국의 규제개혁 동향: 규제개혁 보고서를 중심으로, (최신)외국법제정보, 64-109. 

  6. 안황권 (2013). 1970년대의 민간경비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3(2), 15-24. 

  7. 박동균.김태민 (2014). 영국 민간경비산업의 특징 및 시사점,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2), 56-80. 

  8. 박수현.김태민 (2013). 호주와 한국의 경비원 교육훈련제도 비교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2(3), 22-47. 

  9. 조성구.이주락 (2011). 민간조사학과 개설의 필요성과 성장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8, 181-205. 

  10. 조용순 (2014).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발전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175-207. 

  11. 최선우 (2012). 영국탐정제도의 고찰과 시사점, 대한민간조사연구학회보, 1, 1-17. 

  12. 최선우 (2014). 영국 민간경비산업의 제도적 정비와 민간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2), 242-264. 

  13. Australian Security Industry Association. (2016a). Research and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www.asial.com.au/resources/research-and-statistics 

  14. Australian Security Industry Association. (2016b). Resources. Retrieved from http://www.asial.com.au/resources/resources 

  15.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2008). Regulation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Canberra,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Author. 

  16. Cunningham, W., Strauchs, J., Van Meter, C. (1990). The hallcrest report II: Private security trends 1970-2000. Boston: Butterworth. 

  17. Dixon, N. (2000). Queensland Mental Health Bill 2000: The new regime for tribunal and court review. Brisbane: Queensland Parliamentary Library. 

  18. Johnston, L. (1992). The Rebirth of Private Policing, Routledge Publications, London. 

  19. Legislation Review Committee. (2006). Legislation Review Digest No. 7. Sydney: New South Wales Parliament. 

  20. McKeith, S. (2016, February 13). Sydney lockout laws have had a 'massive effect' on community, jobs.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from http://www.huffingtonpost.com.au/2016/02/13/lockout_0_n_9206214.html 

  21. Mutch, S. (1993). Security protection industry report 1993. Sydney: Parliament House. 

  22. National Competition Policy Review. (2002). Review of the Northern Territory private security Act and Regulations. Northern Territory: National Competition Policy. 

  23. Office of Fair Trading. (2016). Apply for a security equipment installer licence. Retrieved from http://www.qld.gov.au/law/fair-trading/ 

  24. Prenzler, T., & Sarre, R. (2008a). Protective security in Australia: Scandal, media images and reform. Journal of Policing, Intelligence and Counter-Terrorism, 3(2), 23-37. 

  25. Prenzler, T., & Sarre, R. (2008b). Developing a risk profile and model regulatory system for the security industry. Security Journal, 21(4), 264-277. 

  26. Prenzler, T., & Sarre, R. (2013). Smart regulation for the security industry. In T. Prenzler (Ed.), Professional practice in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management (pp. 175-191). Brisbane: Australian Academic Press. 

  27. Prenzler, T., & Sarre, R. (2014). Regulation. In M. Gill (Ed.), Handbook of security (pp. 857-878). Houndmills: Palgrave Macmillan. 

  28. Rees, A. (1984). Private security in Australia. Australian Institute of Criminology, Canberra. 

  29. Rollings, K. (2008). Counting the costs of crime in Australia: a 2005 update. Research and Public Policy Series, no. 91, Canberra: Australian Institute of Criminology. 

  30. Sarre, R., & Prenzler, T. (2011). Private security and public interest: Exploring private security trends and directions for reform in the new era of plural policing. Sydney: Australian Security Industry Association Limited. 

  31. Small Arms Survey. (2011). Small arms survey 2011: States of security. 

  32. The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14). State Regulation Concerning Civilian Private Security Services and their Contribution to Crime Prevention and Community Safety. Vienna: United Nations Office on Driugs and Crime. 

  33. van Dijk, J. (2008). The world of crime.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34. Victoria Police. (2014). Mutual recognition of interstate security licences. Retrieved from http://www.police.vic.gov.au/content.asp?Document_ID22834 

  35. Western Australia Police. (2014). Suitability Reference Form. Retrieved from http://www.police.wa.gov.au/LinkClick.aspx?fileticketGEXm6FTu3/M&tabid1093 

  36. 공정거래 위원회 (2014). 2대 기계 경비 사업자 지역 나눠먹기 담합 적발.제재, [On-line] http://ftc.go.kr/news/policy/competeView.jsp?news_no2340&news_div_cd3 

  37. 경남도민신문 (2014). 시민들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경찰력의 조속한 증원 필요, [On-line]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4885 

  38. 경찰청 (2016). 사이버경찰청 통계자료실, [On-line]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89 

  39. 통계청 (2015a). 경찰 인력 현황, [On-line]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05 

  40. 통계청 (2015b). 경찰통계자료, [On-line]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91 

  41. 연합뉴스 (2013). 경찰관 1인당 담당인구 최다署는 용인 서부서, [On-line]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491263 

  42.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5). ICT Brief, [On-line] http://webzine.iitp.kr/down/brief/ICT_Brief_2015_21.pdf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