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4, 2016년, pp.109 - 121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숙남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최순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림 (부산광역시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 류지선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 백정원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 of medical supporting service (MSS) as a part of community-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from the view point of beneficiaries and providers. Methods : This study adopted a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design. A questionnaire regarding i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있어 요구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데 있어 첫 단계는 요구분석이다. 서비스 사용자와 제공자를 포함해 다양한 차원에서 요구를 확인하고 현실과 기대되는 성과 사이의 간극을 규명하는 요구분석을 통해 누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그리고 장애요인은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9].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보건소중심 호스피스완화케어의 수혜자인 환자들과 공급자인 보건소의사와 재가암관리 담당자, 호스피스완화간호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기반 호스피스완화케어에서 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장애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지역사회기반 호스피스완화케어 제공모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
우리나라의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한계는 무엇인가? | 호스피스완화의료는 인권의 문제이며, 누구나 수월하게 접근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1]. 그러나 우리나라의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병원중심 서비스 제공모델과 수가개발을 통해 제도화되어왔기 때문에 지역사회 거주자 특히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대상자들에게 서비스가 전달되기 어려운 한계가 지적되어왔다[2]. 부산광역시의 경우 국내 타지역에 비해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열악한 편이다. | |
지역사회기반 호스피스완화케어에서 의료지원서비스를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 질적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참여자가 재가말기환자에게 지역사회 기반 호스피스완화케어와 약물처방을 포함한 의료지원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다는데 일치된 의견을 나타내었으나, 보건소에서 제공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집단별로 의견의 차이가 있었다. 주요 장애요인으로는 보건소 내 인적자원의 부족과 민원발생에 대한 두려움 등이 제시되었고, 극복방안은 사례학습과 멘토링을 통한 보건소 의사교육과 의료지원서비스를 포함한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 총괄할 지역사회 내 센터를 지정 혹은 구축하고 보건소와 연계하는 새로운 모델 구축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기반 호스피스완화케어에서 의료지원서비스에 대한 대상자 측 요구는 높았고, 보건소가 단독으로 의료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회 거주자를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
Worldwide Palliative Care Alliance(2014), Worldwide Palliative Care Allia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tlas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p.9.
S.N. Kim, S.O. Choi, Y.J. Kim, S.R. Lee(2010),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center-based hospice management model: pilot project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Busan, Korean J Hospice Palliative Care, Vol.13(1);9-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updated 2015. 10.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90&vw_cdMT_ZTITLE&list_id350_35001_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National Cancer Center. AVAILABLE From http://hospice.cancer.go.kr/organ/organMap.do?menu_no473&brd_mgrno
Bus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2014), Busan Social Welfare Statistics, pp.67-123.
S.N. Kim(2015), Hospice Palliative Care Center Busan Metropolitan City annual report, Hospice Palliative Care Center Busan Metropolitan City, pp.12-45.
P.H. Rossi, H.E. Freeman, M.W. Lipsey(1999),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6th ed, Thousand Oaks, SAGE. pp.120-121.
B.S. Lee, H.J. Kho, Y.S. Kwon, C.N. Kim, H.W. Kwak, M. Park(2008), The perception and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by a public health center in the residents of a rural area,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2(1);23-32.
J.S. Park, Y.J. Oh(2010), An analysis of cancer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given nursing services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are registered in a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Oncology Nurs, Vol.10(2);45-58.
H. Cho. J.Y. Son, J.D. He, E.H. Jin(2007),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Hospice Palliative Care, Vol.10(1);128-136.
J.S. Huh, H.J. Kim(2010), Current statu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Korean J Hospice Palliative Care, Vol.13(2);76-80.
H. Cho, J.Y. Son, J.D. Heo, E.H. Jin(2007), A study on demand and the supply for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ice Palliative Care, Vol.6(1);195-201.
J.S. Park, Y.J. Oh(2010), An analysis of cancer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given nursing services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are registered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 Vol.10(2);45-58.
R.A. Kruger,(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SAGE, pp.68-7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