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부머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on Life Satisfaction of Male Baby Boome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4, 2016년, pp.167 - 178  

장윤정 (영남대학교 건강증진연구원) ,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김나영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ignificant path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baby boomers. Methods : Thus, 1,784 male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were selected, among a total of 22,276 male baby boomers in the Gyungbuk regio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경북지역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 남성의 삶의 만족도와 연구 변수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 및 효과를 보기 위해 가설모형을 설정하였고, 이들 연구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과거의 노인과 다른 특성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의 요구가 다양해 질 것으로 예상하며, 여성에 비하여 은퇴가 상대적으로 많은 남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의 성향 및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미래 행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의 관련 성을 파악하고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종합적인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흡연, 음주, 운동여부, 영양(식품안전). 아침식사여부, 수면시간의 6가지 변수 들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생-1963년생) 남성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의 경로 분석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성인남녀나 여성 노인과의 차이가 있다고 사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전국 성인 남녀 817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는 연령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여[20]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베이비붐 세대로 1955년생부터 1963년생으로 국한 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일반 성인남녀나 여성 노인과는 차이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령이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후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의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를 도출한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누구를 지칭하는가? 0 이상인 연령대가 연속적으로 유지된 거대 인구 집단을 말한다[1].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일시적으로 출산율이 급증한 시점인 1955년부터 가족계획사업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눈에 띄게 출산율이 둔화되는 시점인 1963년까지 9년의 기간 동안 출생한 세대를 지칭하며 통계청의 2014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711만 명으로 우리나라 총 인구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H. Kim, S.E. Lim(2011), 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2);36-59. 

  2. Statistics Korea(2014), 2014 Aging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3. Y.J. Sohn(2012), The effect of the baby-boomer generation's intimacy factors with aged parents on filial responsibilit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GRI Review, Vol.14(2);157-185. 

  4. I.J. Na, C.Y. Lim, S.H. Park(2008), Preparing for the retiring baby boom generation(RBBG) in Korea: from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42;151-174. 

  5. J.H. Lee(2013),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employment and its implication, Weekly Economic Review, Vol.537;1-16. 

  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1), A Study on the Diversity of Baby Boomers in Korea(2011-37-9), https://www. kihasa.re.kr/web/publication/newbooks_pdsissue /view.do?menuId43&tid71&bid18&ano618 

  7. Statistics Korea(2015), 2015 Aging statistics,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8. S.N. Jang(2012),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labor and burden of medical expenses of baby boomer, Monthly Labor Review, Vol.10;40-53. 

  9. G.A. Meeberg(1993), Quality of life: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8(1);32-38. 

  10. I.S. Lee, H.S. Kim(2007), Sexual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1(2);158-170. 

  11. M.S. Chung(2005), Ag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life,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8(4);87-108. 

  12. U.C. Kim, Y.S. Park, M.U. Kim, K.W. Lee, H.S. Yu(2000),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and life-satisfa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5(1);119-145. 

  13. S.G. Lee(2014).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10);73-86. 

  14. J.M. Sung(2012),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of men in baby boom gener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4(4);285-310. 

  15. Y.S. Kim(2014), The study of the impact of the family type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3);400-429. 

  16. S.K. Kahng(2012), An exploratory study on generation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generational comparison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3(4);91-119. 

  17. Y.W. Lee(1999).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1(3);557-569. 

  18. J.H. Kim, Y.J. Lee(2005). A study of andropaus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6(2);186-195. 

  19. Y.J. Oh, Y.H. Kwon(2012),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rural resi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ol.37(3);145-155. 

  20. J.B. Oh, J.H. Lee(2014), Stratum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Hyndai Research Institute Report, Vol.14(34);1-14. 

  21. M.S. Shim(2005),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7(1);63-70.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6), 2008-2015 Community health statistics at a glance(No. 11-1352159-000033-10), https://chs.cdc.go.kr/chs/inde x.do 

  23. J.I. Lee, K.H. Kim, S.H. Oh(2003),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a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15(3);422-431. 

  24. W.H. Choi(2012),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2);91-99. 

  25. H.S. Kim, M.J. Park(2015), Suicidal ideation and affecting factors in male korean baby boomer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29(1);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