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9 no.1, 2016년, pp.43 - 61  

나장함 (조선대학교) ,  김진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90년대 중후반 이후 질적 연구법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실제로 적용된 질적 연구물에 대한 분석이나 방법론적 논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에서 의도한 목적 달성과 연구 결과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게재된 논문 5편을 대상으로 샘플링 선정,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논의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적 접근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과 경험은 숫자로 표시된, 미리 정해진 제한된 수의 반응 목록에 맞추어져야 한다. 양적 접근은 제한된 설문 문항에 대한 매우 많은 사람들의 반응 결과들도 측정할 수 있다. 즉, 자료에 대한 비교와 통계적 집중(aggregation)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바로 양적 연구의 장점이다(나장함․ 김진호, 2016).
양적 연구의 장점은 무엇인가? 양적 접근은 제한된 설문 문항에 대한 매우 많은 사람들의 반응 결과들도 측정할 수 있다. 즉, 자료에 대한 비교와 통계적 집중(aggregation)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바로 양적 연구의 장점이다(나장함․ 김진호, 2016). 이러한 양적 연구의 특성은 광범위하고 일반화의 가능성이 큰 연구 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양적 접근의 연구 결과는 수치화되고, 간단명료하며 다소 인색한 형식으로 제시된다.
질적 연구 방법이 기여하는 점은 무엇인가? 반면, 질적 연구 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샘플을 대상으로 주어진 이슈에 대한 깊고 상세한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미리 정해진 분석 목록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연구 현장에 접근한다는 것은 질적 탐구의 깊이, 개방성, 상세함 증진에 기여한다. 즉, 질적 접근은 양적 접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그들에 대한 매우 풍부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신포.김판수.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학교수학, 5(4), 441-457. 

  2. 나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9(1), 265-283. 

  3. 나장함 (2012).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질적 연구 샘플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53, 75-104. 

  4. 나장함.김진호 (2016). 초등 수학교육 관련 혼합 연구에서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47-60. 

  5.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6. Esiner, E. W. (1979).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ducation of school programs. New York: Macmillan. 

  7.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8. Gorger, L., & Mayberry, P. S., & Straker, J. K. (1999). What we didn't learn because of who would not talk to u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9(6), 829-835. 

  9.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0. Libarkin, J. C. (2002).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The qualitativequantitative debat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1), 78-86. 

  11.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2. Lofland, J. (1971). Analyzing social settings. Belmont, CA: Wadsworth. 

  13. Maxwell, J. A. (1992). Understanding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 279-300. 

  14. Maxwell, J. A. (1996).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Thousand Oaks, CA: Sage. 

  15.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6. Milles, M. B., & Huberman, A. M. (1984). Drawing valid meaning from qualitative data: Toward a shared craft. Educational Researcher, 13, 20-30. 

  17. Mil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 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8. Onwuegbuzie, A. J., & Leech, N. L. (2007). A call for qualitative power analysis. Quality and Quantity, 41, 105-121. 

  19. Patton, M. G.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Newbury Park, CA: Sage. 

  20. Patton, M. G. (2015).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4th ed.). Newbury Park,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