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교육 관련 혼합 연구에서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n Mixed Research in the field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1, 2016년, pp.47 - 60  

나장함 (조선대학교) ,  김진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혼합 연구방법(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한)을 활용한 연구에서 질적 연구 방법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질적 접근의 적용이 연구 목적 성취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초등수학교육 학회지에 2012년 게재된 전체 16편의 논문 중, 혼합 연구법을 활용한 논문 5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비교 항목별 분석 결과를 양화된 수치로 간략하게 제시하던 기존의 혼합 연구물에 대한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질적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연구 참여자 및 샘플링 선정 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시사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pplied to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reby to gain an insight to suggest reasonable ways of employing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intended goal of research,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합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에 관한 각각의 장단점이 보다 분명해짐에 따라, 두 가지 연구 방법을 결합한 혼합 연구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양적 연구는 특정 현상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가를 측정하는데 강점이 있다.
양적 연구가 강점을 보이는 경우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에 관한 각각의 장단점이 보다 분명해짐에 따라, 두 가지 연구 방법을 결합한 혼합 연구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양적 연구는 특정 현상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가를 측정하는데 강점이 있다. 양적 접근은 제한된 설문 문항에 대한 매우 많은 사람들의 반응 결과들도 측정할 수 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결합하는 기본적인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양자를 결합하는 기본적인 방안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양적 연구를 통하여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왜 그러한 변화나 반응이 나타났는가를 질적 연구를 파악 하는 방식이다. 둘째, 질적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변인들 간의 명확한 관계성과 위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다(나장함,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권경인.양정연 (2014). 상담 분야 혼합연구 동향분석. 교육연구논총 35(1), 103-124.(Kwon, K. & Yang, J. (2014). Trends in mixed methods research in counseling.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5(1), 103-124.) 

  2. 김동중.배성철.김원.이다희.최상호 (2014). 수학교육연구 및 혼합 연구방법 동향: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28(3), 303-320.(Kim, D., Bae, S., Kim, S., Lee, S., & Choi, S. (2014).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mixed methods - Focusing on domestic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3), 303-320.) 

  3. 나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9(1), 265-283.(Na, J. (2006). A comparison analysis of validity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9(1), 265-283.) 

  4. 박상완 (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Park, S.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Implications and task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2), 227-254.) 

  5. 박선형 (2010). 교육행정학의 혼합방법연구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논의. 교육행정학연구 28(2), 27-54.(Park, S. (2010). Exploring theoretical issues of the development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str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2), 27-54.) 

  6. 성용구 (2013). 혼합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전략. 열린교육연구 21(3), 129-151.(Sung, Y. (2013). The strategies for raising the validity of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1(3), 129-151.) 

  7. 이원석 (2011). 혼합 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paradigm)의 혼합. 교육문제연구 39, 195-211.(Lee, W. (2011). Mixing paradigms in mixed method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9, 195-211.) 

  8. Depaepe, F., De Corte, E. & Verschaffel, L. (2010). Teacher's approaches towards word problem solving: Elaborating or restricting the problem contex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2), 152-160. 

  9. Maxwell, J. (1992) Understanding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 279-300. 

  10. Mil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 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1. Mousoulides, N. G., Christou, C., & Sriraman, B. (2008). A modeling perspectiv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0(3), 293-304. 

  12. Onwuegbuzie, A. J. & Leech, N. L. (2007). A call for qualitative power analysis. Quality and Quantity 41, 105-121. 

  13. Palm, T. (2007). Impact of authenticity on sense making in word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7(1), 37-58. 

  14. Patton, M. G.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nd Ed.). Newbury Park, CA: Sage. 

  15. Patton, M. G. (2015).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4th Ed.). Newbury Park, CA: Sage. 

  16. Shapiro, E. (1973). Educational evaluation: Rethinking the criteria of competence. School Review 81, 523-549. 

  17. Verschaffel, L. ; Greer, B. & De Corte, E. (2002). Everyday knowledge and mathematical modeling of school word problems. In K. Gravemeijer, R. Lehrer, B. van Oers, & L. Verschaffel (Eds.),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s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57-276).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