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대학-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요코하마시와 요코하마시립대학교 간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Urban Regeneration through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s in Japan: A Case Study of Yokohama City and Yokohama City University Partnership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1, 2016년, pp.57 - 75  

이태희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박소은 (펜실베니아대학교 역사경관보존) ,  김태현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은 지식 인적 자원, 공간 시설 자원, 그리고 경제적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다. 동시에 대학은 교육, 연구와 함께 봉사의 사회적 임무를 가지고 설립된 기관이기도 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역량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정비 방식을 추구하는 도시재생 계획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을 통해 대학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자는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 해결에 있어 대학이 가진 다양한 자원들을 어떻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인지, 즉 구체적으로 '어떤 협력'을 '어떻게 실현'하여 '어떤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이 현재 당면한 고령화, 지방쇠퇴, 학령인구 감소, 기성시가지 쇠퇴 등 유사한 문제를 먼저 경험하고 있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으며,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도시재생을 진행하고 있는 일본 사례의 고찰을 통해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y has various resources such as intellectual human resource, spatial resource and facilities, and economic resource. At the same time, universities are, in general, found upon fundamental mission of public service, as well as teaching and research. Recently in Korea, it has been argued th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은 어떤 자원들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인가? 대학은 지식 인적 자원, 공간 시설 자원, 그리고 경제적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다. 동시에 대학은 교육, 연구와 함께 봉사의 사회적 임무를 가지고 설립된 기관이기도 하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과거의 물리적 환경개선 중심의 도시 재정비 방식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어떤 방식의 도시 재정비를 추진하고 있는가? 특히 이번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 볼 도시재생, 그 중에서도 대학 주변 커뮤니티 재생과 관련하여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김세용, 2011; 류훈, 2011; 여혜진 등, 2010). 최근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과거의 뉴타운, 합동재개발 등 물리적 환경개선 중심의 도시 재정비 방식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여, 지역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역량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 재정비를 추구하는 ‘도시재생’을 추진하고 있다(이태희, 2015).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생활권 단위의 생활환경 개선, 골목경제 살리기”1)(국토교통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 등 지역 커뮤니티에 중점을 두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의 경우, 도시(urban) 단위라기보다는 지역 커뮤니티(local community)단위에 중점을 둔 재생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을 통한 도시재생의 사례연구에서 일본의 사례 연구가 한국에 특히 의미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6) 등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 사례의 고찰이 의미가 있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일본은 정치, 경제, 사회적 맥락이 한국과 유사한 점이 많고(Johnson, 1999; Pierre and Peters, 2012),2) 또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저출산, 저성장, 고령화, 학령인구 감소, 기성시가지 쇠퇴 같은 문제점들을 먼저 경험하였기 때문에 한국 사회에 더욱 많은 시사점들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김세용, 2011,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도시문제, 515, 20-23. 

  2. 김지은, 2010,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쉽을 통한 지역재생 연구: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시카고 캠퍼스 지역협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1(3), 69-86. 

  3. 김철영, 2013, "대학과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의 대학과 지역이 연계하는 마을만들기 추진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5), 65-78. 

  4. 남영호.채윤하(역), 2013, 도시연구의 주요개념, 라움(Gottdiener, M. and Budd, L., 2005, Key Concepts in Urban Studies, Sage, London). 

  5. 류훈, 2011 "대학 캠퍼스가 주변도시에 미치는 역할, 상생," 도시문제, 515, 24-28. 

  6. 박세훈, 2015,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정부-시민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도시행정학보, 28(3), 75-104. 

  7. 박영한.조영국.안영진, 2001, "대학과 지역발전: 연구동향과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6(4), 418-433. 

  8. 박태영.김숙경.오주.이경은.장덕희, 2008, 자원봉사론, 공동체. 

  9. 서울특별시, 2005, 대학가 주변지역 환경정비 및 활성화 방안 연구. 

  10. 서울특별시, 2015,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11. 송경원(역), 2015, 왜 케이스 스터디인가, 어크로스(井上達彦, 2014, ブラックスワンの???, 日?BP社). 

  12. 여혜진.김광중, 2008, "대학-지역사회 협력적 계획의 한 국적 여건: 서울소재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3(5), 91-106. 

  13. 여혜진.김홍규.이주일.임업, 2010, "대학-지역사회 간 협력과 지역사회 재생," 도시정보지, 338, 3-15. 

  14. 유창복, 2014,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휴머니스트. 

  15. 이명훈, 2011,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일본 도시재생 사례," 도시문제, 515, 33-39. 

  16. 이태희, 2015, "공동체 참여형 도시재생의 의미와 정책 내 반영실태에 관한 고찰," 국토연구, 86, 139-159. 

  17. 정희윤, 2005, "지역격차 완화를 위한 서울시의 도시재생정책," 도시문제, 439, 21-31. 

  18. 최돈민, 2008, "지역 평생학습 촉진을 위한 대학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제고 방안," 교육종합연구, 6(2), 89-111. 

  19. Alexander, E. R., 2005,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nd Planning: From Institutionalization Theory to Institutional Design. Planning Theory, 4(3), 209-223. 

  20. Cox, D., 2000, Developing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s, Cityscape, 5(1), 9-26. 

  21. Dyer, J. H. 2000. Collaborative advantage: Winning through extended enterprise supplier net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2. Googins, B. and Rochlin, S., 2000, Creating the Partnership Society: Understanding the Rhetoric and Reality of Cross-Sectoral Partnerships, Business and Society Review, 105(1), 127-144. 

  23. Healey, P., 2006,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2nd Edition. Palgrave Macmillan, Houndmills. 

  24. Hillery, G. A.,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25. Johnson, C., 1999, The Developmental State: Odyssey of a Concept, In The Developmental State, edited by Woo-Cumings M., 32-60,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26. Kjaer, A., 2009, Governance and the Urban Bureaucracy, In Theories of Urban Politics, 2nd Edition, edited by Davies, J. S. and Imbroscio, D. L., 137-68, Sage, London. 

  27. Kolb, Y. and Kolb, D., 2005,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4(2), 193-212. 

  28. Kromer, J. and Kerman, L., 2004, West Philadelphia Initiatives: A Case Study in Urban Revitaliz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29. Meegan, R. and Mitchell, A., 2001, 'It's Not Community Round Here, It's Neighbourhood': Neighbourhood Change and Cohesion i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Urban studies, 38(12), 2167-2194. 

  30. Northmore, S. and Hart, A., 2011, Sustaining Community-University Partnerships, Gateway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Research and Engagement, 4, 1-11. 

  31. Perry, D. and Wiewel, W., 2005, The University as Urban Developer: Case Studies and Analysis, ME Sharpe. 

  32. Pierre, J. and Peters, B., 2012, Urban Governance, In Oxford Handbook of Urban Politics, edited by Mossberger, K., Clarke S.E., and John, P.,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33. Reardon, K 2006, Promoting Reciprocity within Community/University Development Partnerships: Lessons from the Field, Planning, Practice & Research, 21(1), 95-107. 

  34. Rittel, H. and Webber, M., 1973, Dilemmas in a General Theory of Planning, Policy Sciences, 4(2), 155-169. 

  35. Rhodes, R., 1997, Foreword, In Managing complex networks: strategies for the public sector, edited by Kickert, W. Klijn, E. H., and Koppenjan, J., Sage, London. 

  36. Scott, J., 2006,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Medieval to Postmodern Transforma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7(1), 1-39. 

  37. Soska, T. and Butterfield, A. K. J. (Eds.), 2005, 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s: Universities in civic engagement, Routledge, Binghamton, NY. 

  38. Stoker, G., 1998,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50(155), 17-28. 

  39. Tallon, A, 2012,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2nd ed., Routledge, London. 

  40. Thompson, G., Frances, J., and Levacic, R. (Eds.), 1991, Markets, hierarchies and networks: the coordination of social life, Sage, London. 

  41. Vidal, A., Nye, N., Walker, C., Manjarrez, C., Romanik, C., Corvington, P., Ferryman, K., Freiberg, S. and Kim, D., 2002, Lessons from the Community Outreach Partnership Center Program, Urban Land Institute, Washington D.C. 

  42. Walsh, K., 1996, The Value of Community, In Rethinking Local Democracy: Government Beyond the Centre, edited by King, D. and Stoker, G., Palgrave, London. 

  43. Winter, A., Wiseman, J. and Muirhead, B., 2006. University-community engagement in Australia practice, policy and public good, Education, Citizenship and Social Justice, 1(3), pp.211-230. 

  44. Yin, R., 201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London. 

  45. 金??役所, 2008, キャンパスタウン金?協定式 記者?表資料. 

  46. 外部評?委員?, 2015, 環境未?都市構想推進を目的とした地域人材開?.?点づくり事業 平成26年度 事業評?報告書. 

  47. 京都府政策企?部?略企?課, 2015, 大?.地域連携のあり方に?する調査?究報告書. 

  48. 內閣官房都市再生本部, 2005, 都市再生プロジェクト(第十次決定)決定文. 

  49. 內閣官房都市再生本部, 2007, 大?と地域との取組?態についてのアンケ?ト調査結果. 

  50. 文部科?省, 2013, 平成25年度 地(知)の?点整備事業 公募要領. 

  51. 文部科?省, 2014, 平成26年度 地(知)の?点整備事業パンフレット. 

  52. 文部科?省, 2015, 地(知)の?点大?による地方創生推進事業(COC+) 事業?明?資料. 

  53. ?浜市政策局大?調整課, 2015a, 大?.都市パ?トナシップ協議?パンフレット. 

  54. ?浜市政策局大?調整課, 2015b, 大?.都市パ?トナシップ協議? 第9回代表者?議 記者?表資料. 

  55. 上越市創造行政?究所, 2006, 大?と地域の連携に?する調査?究報告書-上越市における上越?育大?.新潟?立看護大?と地域の連携について-. 

  56. 公立大?法人 ?浜市立大?, 2013, ?浜市立大?の地域貢?パンフレット. 

  57. 公立大?法人 ?浜市立大?, 2015, ?浜市立大? 平成26年度COC事業報告書. 

  58. 草津市 草津未??究所, 2015, 大?と地域の連携に?する調査?究報告書-大?のある都市としての優位性を活かすために-. 

  59. 羽石 ?, 2007, "自治?.大?.地域の連携によるまちづくりに?する調査?究," 宇都宮市 市政?究センタ? 平成19年度 ?究報告, 25-34. 

  60. 구글맵, https://maps.google.com/ 

  61.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 http://www.molit.go.kr/USR/WPGE0201/m_35396/DTL.jsp. 

  62. 나미끼 거점 페이스북, https://ja-jp.facebook.com/namiki.ycu 

  63. 서울시립대학교, 건학이념, http://www.uos.ac.kr/kor/html/auos/vision/principle/principle.do 

  64. 요코하마 로컬 굿 뉴스, http://yokohama.localgood.jp/news/1618/ 

  65. 요코하마시, http://www.city.yokohama.lg.jp 

  66. 요코하마시, 캠퍼스타운 가나자와, http://www.city.yokohama.lg.jp/kanazawa/kusei/kikaku/campus-town 

  67. 요코하마시, 대학.도시 파트너십 협의회, http://www.city.yokohama.lg.jp/seisaku/daigaku/partnership/committee 

  68. 요코하마시립대학교, 학교소개 http://www.yokohamacu.ac.jp/index-e.html 

  69. 일본 총리관저, 도시재생본부, http://www.kantei.go.jp/jp/singi/tiiki/toshisaisei/01honbu/index.html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