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문제시 되는 수박 과일썩음병에 대한 방제효과 분석
Analysis of Control Efficacy of Bacterial Fruit Blotch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Recent Issu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1, 2016년, pp.41 - 46  

백창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성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한경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홍기 (충남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이윤수 (강원대학교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박종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초록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의해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은 수박재배지역에 문제병해이다.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를 위해 시판되는 살세균제로 방제효과 조사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생장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옥솔린산 수화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등에서 과일썩음병균 생장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총 4종의 살세균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지,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종자침지에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에는 아시벤졸라-에스-메틸+만코제브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온탕침지 처리법으로도 병든 수박종자에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 감염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데, 그 처리조건은 $50{\sim}55^{\circ}C$에서 20~30분간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박재배농가와 육묘재배인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수박 과일썩음병의 효율적인 방제법이 확립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al fruit blotch (BFB)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s defective disease to watermelon cultivated areas. To control of BFB, we investigated control efficiency to use commercial antibacterial pesticides. Growth inhibition zone on medium were formed as oxolinic acid WP and oxyte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고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효과를 나타낸 살세균제를 이용하여 인공접종한 식물체를 이용한 병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박 과일썩음병 감염종자를 이용하여 온탕침지 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를 검정하여 시기별로 발생 가능한 수박 과일썩음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박 과일썩음병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수박 과일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은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의해 발병하는 병으로, 1980년대 미국 Indiana 남서부 지역의 수박 재배지역에서 대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일으켰다(Latin and Fane, 1990). 그 이후에 남아메리카, 호주, 아시아 등에서 멜론, 수박, 오이 등 박과작물에서 과일썩음병이 보고되었다(Cheng et al.
국내에서 과일썩음병균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을 위해 개발한 방법은? , 2000). 최근, 국내에서는 과일썩음병균 신속하고 정확한 검출을 위해 nested PCR법과 real-time PCR법이 개발되었다(Cho et al., 2015; Kim et al.
과일썩음병균에 대한 살세균제 선발을 위해 고체배지 상에서 생장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생장 저지대를 형성한 살세균제는 무엇인가? citrulli)에 대한 살세균제 선발을 위해 시판되는 37종의 살세균제를 이용하여 고체배지 상에서 생장억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살세균제 옥솔린산 수화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아시벤졸라-에스-메틸+만코제브 수화제에서만 저지대를 형성하였다 (Table 1). 이들 살세균제 중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옥솔린산 수화제였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도 단제로 사용하는 것이 합제로 사용한 것에 비해 효과가 좋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eng, A. H., Y. L. Hsu, T. C. Huang and H. L. Wang (2000) Susceptibility of cucurbits to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nd control of fruit blotch on melon. Plant Pathol. Bull. 9:151-156. 

  2. Cho, M. S., D. H. Park, T. Y. Ahn and D. S. Park (2015)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using SYBR green-based real-time PCR amplification of the YD-repeat protein gene. J. Microbiol. Biotechnol. 25:1401-1409. 

  3. Ha, Y., A. Fessehaie, K. S. Ling, W. P. Wechter, A. P. Keinath and R. R. Walcott (2009) Simultaneous detec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nd Didymella bryoniae in cucurbit seedlots using magnetic capture hybridization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hytopathology 99:666-678. 

  4. Isakeit, T., M. C. Black, L. W. Barnes, and J. B. Jones (1997) First report of infection of honeydew with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Plant Dis. 81:694-701. 

  5. Kim, A. H., C. L. Yeon, J. H. Kim and H. T. Kim (2012) Controlling activity of Bion-M against bacterial spot caused by Xanthomonas euvesicatoria. Korean J. Pestic. Sci. 16:171-177. (in Korean) 

  6. Kim, S. W., M. Adhikari, D. Yadav, H. G. Lee, Y. H. Um, H. S. Kim and Y. S. Lee (2015) Antimicrobial activity of nano materials against Acidovorax citrulli and other plant pathogens. Res. Plant Dis. 21:12-19. (in Korean) 

  7. Kim, Y. T., K. S. Park, H. Y. Kim, H. I. Lee and J. S. Cha (2015) Development of nested-PCR assay to detect Acidovorax citrulli, a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at cucurbitaceae. Res. Plant Dis. 21:74-81. (in Korean) 

  8. Latin, R. X. and K. K. Fane (1990)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in Indiana. Plant Dis. 74:331-335. 

  9. Latin, R. X. and D. L. Hopkins (1995)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the hypothetical question becomes reality. Plant Dis. 79:761-765. 

  10. Lee, S. C., K. S. Han, J. W. Soh and J. H. Park (2014)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for suppression of bacterial fruit blotch of watermelon. Kor. J. Hort. Sci. Technol. 32(SUPPL. II):117. (in Korean) 

  11. Martin, H. L., R. G. O'Brien and D. V. Abbott (1999) First report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as a pathogen of cucumber. Plant Dis. 83:965. 

  12. Park, K. S., Y. T. Kim, H. S. Kim, J. S. Cha and K. H. Park (2015) Selection of the antibacterial agents for control against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causing leaf spot disease on green pumpkin (Cucurbita moschata). Korean J. Pestic. Sci. 19:119-124. (in Korean) 

  13. Schaad, N. W. and R. D. Freederick (2002) Real-time PCR and its application for rapid plant disease diagnostics. Can. J. Plant Pathol. 34:250-258. 

  14. Seo, S. T., J. H. Park, J. S. Lee, K. S. Han and S. R. Cheong (2006) Bacterial fruit blotch of melon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Res. Plant Dis. 12:185-188. (in Korean) 

  15. Shirakawa, T., S. Kikuchi, T. Kato, A. Abiko and A. Kaiwa (2000) Occurrence of watermelon bacterial fruit blotch in Japan. Jpn. J. Plant Pathol. 66:223-231. 

  16. Song, J. Y., S. J. Park, M. W. Seo, M. H. Nam, H. S. Lim, S. C. Lee, Y. S. Lee and H. G. Kim (2015) Genetic characteristics of Acidovorax citrulli population causing bacterial fruit blotch against cucumbits in Korea. Res. Plant Dis. 21:82-88. (in Korean) 

  17. Song, W. Y., H. M. Kim, I. Y. So and Y. K. Kang (1991)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subsp. citrulli: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rot on watermelon. Korean J. Plant Pathol. 7:177-182. 

  18. Walcott, R. R., D. B. Langston, H. H. Sanders and R. D. Gitaitis (2000) Investigating intraspecific variation of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using DNA fingerprinting and whole cell fatty acid analysis. Phytopathology 90:191-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