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릉 산지사면에서의 선행강우지수와 토양저류량 비교연구
Soil Water Storage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t Gwangneung Humid-Forested Hillslop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1, 2016년, pp.30 - 41  

곽용석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김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  이은형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상현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링에서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여러 선행강우지수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들로부터 평가된 토양 저류량과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선행강우지수와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이전연구들에 비해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약 2년여동안의 강우자료만을 통해 일 토양저류량을 모의하였으며, 측정된 일 토양저류량 값과 비교를 하였다. 모의된 토양저류량은 실제 측정된 토양저류량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지만, 식생의 계절적인 변화와 영향과 관련한 수문학적 과정들의 변화로 인해 다소 차이가 있었다. 비록 본 연구결과가 경험 식으로부터 도출되었지만, 미 계측유역에서의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emporal variation of soil water storage is important in hydrological modeling. In order to evaluate an antecedent wetness state, the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PI) has been use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observed soil water storage with APIs calculated by widely used four 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토양수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뿐만 아니라 고품질 자료생산을 위한 관측장비의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에서 3년 간(2009 년~2011년) 측정한 토양저류와 선행강우지수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토양저류의 시간적 변화를 특성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토양저류의 변화를 예측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다양한 선행강우지수 식들을 적용하여, 실측된 토양수분에 대한 변화에 대해 평가하였고, 기존의 문헌연구들의 방법 및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 , 은 각 시간에 대하여 측정된 토양저류 값, 모의된 토양저류 값, 그리고 T시간동안에 측정된 토양저류 값의 평균 값, n은 T시간동안에 측정된 토양 저류 일수(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에 대한 모의된 토양저류의 선형적인 관계(1:1)를 알아보기 위해 다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의된 토양저류 값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링에서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여러 선행강우지수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들로부터 평가된 토양 저류량과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선행 강우지수와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이전연구들에 비해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강우지수 식과 측정된 토양저류와의 변화를 비교하고, 관계분석을 통해 측정된 강우 자료로부터 토양저류를 모의하고자 하였다. 2009년의 측정된 토양저류에 대해 여러 선행강우지수 식 중 지수적 함수식이 토양저류의 변화를 가장 잘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평균토양수분은 식(2)를 통해 계산되는데, i는 관측지점을 말하며, n은 총 관측지점 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21개 지점의 측정된 토양수분 평균 값은 연구사면의 전체 저류 량을 대표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최대 토양 깊이는 80cm로 가정하였다. 토양 심도 0~80cm에 대해 관측 된 토양 심도(10, 30, 60cm)를 고려하여, 지표층(0~20cm), 뿌리층(20~45cm), 지표하층(45~80cm)과 같이 세 층으로 나누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은 무엇에 평가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토양수분은 강수, 유출 그리고 식생과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생태-수문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Penna et al., 2011; Rodriguez-Iturbe and Porporato, 2004; Tani, 1997; Tromp-van Meerveld and McDonnell, 2006), 홍수모델링, 가뭄평가 및 예측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작 또는 평가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Brooca et al., 2008; Sohrabi et al.
토양수분(저류)에 대한 선행강우 지수와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이유는? 그러나 수자원의 근원이 되는 산림지역에서 실측된 토양수분(저류)에 대한 선행강우 지수와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국내의 연구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토양수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뿐만 아니라 고품질 자료생산을 위한 관측장비의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에서 3년 간(2009 년~2011년) 측정한 토양저류와 선행강우지수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토양저류의 시간적 변화를 특성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토양저류의 변화를 예측을 실시했다.
Saxton and lenz은 토양수 분을 예측하기 위해 어떤 평가와 제시를 하였는가? , 2011). Saxton and Lenz(1967)은 토양수 분을 예측하기 위해 지수적, 선형적 감소함수를 이용하여, 선행강우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사용된 매개변수의 계절적인 변화를 제시하였다. Brooc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H. T, Y. H. Jung, K. H. Kim, J. Y. Yoo, C. H. Lee, and B. H. Goo, 2011: Investigation of Water Cycle in Forested catch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1-1400377-000450 (research report). (in Korean) 

  2. Beven, K. J, and P. Germann, 1982: Macropores and water flow in soils, Water Resources Research 18(5), 1311-1325. 

  3. Brooca, L, F. Melone, and T. Moramarco, 2005: Empirical and conceptual approaches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in view of event-based rainfall-runoff modeling. Progress in surface and subsurface water studies at the plot and small basin scale, F. Maraga and M. Arattano, eds, IHP-VI Technical Documents in Hydrology 77, UNESCO, Paris, 1-8. 

  4. Brooca, L, F. Melone, and T. Moramarco, 2008: On the estimation of antecedent wetness conditions in rainfall-runoff modelling. Hydrological Processes 22, 629-642. 

  5. Brooca, L, F. Melone, and T. Moramarco, and V. P. Singh, 2009: Assimilation of observed soil moisture data in storm rainfall-runoff modeling.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DOI: 10.1061/(ASCE)1084-0699 14:2(153), 153-165. 

  6. Descroix, L, J. F. Nouvelot, and M. Vauclin, 2002: Evaluation of an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to model runoff yield in the western Sierra Madre (North-west Mexico). Journal of Hydrology 263, 114-130. 

  7. Heo, C. H, K. S. Lim, K. S. Ahn, and H. K. Hong, 2002: Flood Runoff Simulation Model by Using AP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5, 331-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wasaki, M., N. Ohte, and M. Katsuvama, 2005: Biogeochemical and hydrological controls on carbon export from a forested catchment in central Japan. Ecological Research 20, 347-358. 

  9. Kim, N. H, S. Y. Hamm, T. Y. Kim, J. Y. Jung, H. T. Jeon, and H. S. Kim, 2008: Estimation of groundwater storage change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logy in Eonyang area, Ulsan megac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8, 263-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 H, Y. S. Kwak, and S. J. Kim, 2009: A soil moisture upscaling technique based on topographic attribute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5, 121-135. 

  11. Kim, S. J, J. Kim, and K. Kim, 2010: Organic carbon efflux from a deciduous forest catchment in Korea. Biogeosciences 7, 1323-1334. 

  12. Kohler, M. A, and R. K. Linsley, 1951: Predicting the runoff from storm rainfall. Research Paper 34, US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3. Lee, J. S, 2008: Water Resources Engineering, Goomibook, 79-81. 

  14. Penna, D, H. J. Tromp-van Meerveld, A. Gobbi, M. Borga, and G. Dalla Fontana, 2011: The influence of soil moisture on threshold runoff generation processes in an alpine headwater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5, 689-702. 

  15. Rodriguez-Iturbe, I, and A. Porporato, 2004 : Ecohydrology of water controlled ecosystems: soil moisture and plant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6. Saxton, K. E, and A. T. Lenz, 1967: Antecedent retention indexes predict soil moisture,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93, 223-244. 

  17. Sohrabi, M, J. Ryu, J. Abatzoglou, and J. Tracy, 2015: Development of Soil Moisture Drought Index to Characterize Drought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10.1061/(ASCE)HE.1943-5584.0001213, 04015025. 

  18. Tani, M, 1997: Runoff generation processes estimated from hydrological observations on a steep forested hillslope with a thin soil layer. Journal of hydrology 200, 84-109. 

  19. Tramblay, Y, R. Bouaicha, L. Brooca, W. Dorigo, C. Bouvier, S. Camici, and E. Servat, 2012: Estimation of antecedent wetness conditions for flood modelling in northern Morocco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6, 4375-4386. 

  20. Tromp-van Meerveld, H. J., and J. J. McDonnell, 2006: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topography, soil depth, soil moisture, transpiration rates and species distribution at the hillslope scale.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9, 293-310. 

  21. Zhao, Y, F. Wei, H. Yang, and Y. Jiang, 2011: Discussion on using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to supplement relative soil moisture data series.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10, 1489-14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