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키위 품종 '해금'의 개화시기 변동과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전남 키위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Preliminary Result of Uncertainty on Variation of Flowering Date of Kiwifruit: Case Study of Kiwifruit Growing Area of Jeonlanam-do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1, 2016년, pp.42 - 54  

김광형 (APEC 기후센터) ,  정여민 (APEC 기후센터) ,  조윤섭 (전남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  정유란 (APEC 기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골드키위 해금의 개화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휴면시계모형의 모수를 추정하고 해금 주산지에서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개화시기의 변화와 불확실성을 전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금 개화시기 예측을 위한 휴면시계모형의 모수는 $6.3^{\circ}C$(base temperature, $T_b$), 102.5(chill requirement, $R_c$), 575(heat requirement, $R_h$)로 추정되었다. 2가지 방법으로 추정된 모수를 검증하였는데, 4개 표준기상관측소의 3년 동안(2013-2015)의 기상자료로부터 해금의 개화시기를 예측하고 25개 해금 노지 재배농가에서 수집된 2년 동안(2014-2015)의 관측 개화일과 비교한 결과 5.2일의 추정오차를 보였다. 또한 격자형 기후표면에 의해 계산된 격자형 개화시기 표면으로부터 25개 해금 노지 재배농가가 위치한 격자들의 예상 개화시기를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3.4일의 추정오차를 보였다. 이 모수를 2021-2040년 동안의 6개 GCMs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결합하여 해금의 미래 개화시기를 예측하였다. 전남 키위 주산지역에서 가장 빠른 개화시기는 4월 21일(111일), 가장 늦은 개화시기는 6월 2일(153일)로 나타났다. 6개 개별 GCM 중에서 RCP 4.5의 CanESM2과 GFDL-ESM2G, RCP 8.5의 HadGEM2-AO에서 20년 후 전남 키위 주산지역에서 해금의 개화시기는 현재보다 2-3일 단축될 뿐 현재와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RCP 4.5와 RCP 8.5의 6개 GCMs의 평균 미래 개화시기에서 현재보다 10일 이상 단축되고 현재와 같은 개화시기는 전북 및 충남 해안지역 등 북쪽으로 약 150km 이상까지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예비 결과는 국내 육종 과수의 생장발육 및 개화시기 예측 등을 위한 생물계절 연구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평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highly anticipated that warming temperature resulting from global climate change will affect the phenological pattern of kiwifruit, which has been commercially grown in Korea since the early 1980s. Here, we present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variations of flowering day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측지점의 기상자료에 의해 추정된 해금의 예상 개화시기와 격자형 기상표면으로부터 계산된 해금의 예상 개화시기를 비교하여 해금의 휴면시계모형의 모수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모수추정에 참여한 산이면의 노지재배 농가를 제외하고 전남 지역 11개 읍면에 위치한 해금의 노지재배 농가 25개로부터 개화시기 정보를 수집하였다(Fig.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그 재배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내 육종 골드키위 품종인 해금에 대한 개화시기를 생물계절모형에 의해 예측하고,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개화시기 변화와 그 지리적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전망하고자 수행되었다.
  • , 2015). 본 연구에서도 1개 이상의 GCM의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해금의 미래 개화시기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현재를 기준으로 20년 후 6개 개별 GCM 중, 현재의 겨울과 이른 봄 기간 동안의 기온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컸던 MIROC-ESMCHEM에서 전망된 미래 개화시기의 변동이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차이가 작았던 CanESM2와 GFDLESM2G의 미래 개화시기의 변동이 가장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키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점차 확대 증가되고 있는 이유는? 국내 키위 재배면적은 약 13,000 ha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와 소비자의 기호도 상승으로 인해제주도에서 경남 일부, 전남 동부지역까지 키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점차 확대 증가되고 있다(Belrose Inc., 2013).
국내 키위 재배면적은 얼마인가? 국내 키위 재배면적은 약 13,000 ha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와 소비자의 기호도 상승으로 인해제주도에서 경남 일부, 전남 동부지역까지 키위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점차 확대 증가되고 있다(Belrose Inc., 2013).
키위의 정확한 개화시기 정보가 병해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나 피해 경감을 위한 조치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이 중에서 해금은 국내에서 육성된 골드키위로 최근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키위 재배역사는 짧고 외국에서 도입된 난지과수인 만큼 다른 온대과수(예, 사과, 배 등)에 비해 기상재해(예, 동해, 습해, 상해, 풍해)와 같은 환경 저해요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궤양병, 꽃썩음병, 과실무름병 등과 같은 병해와 각종해충 등에 의한 충해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키위는 암수 그루가 달라 개화시기에 필요한 인공수정과 같은 재배기술과 영농정보 등이 필요하다. 특히, 돌발 해충이나 꽃썩음병 방제를 위해서는 키위의 개화시기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정확한 개화시기 정보는 이러한 병해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나 그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lrose Inc., 2013: World Kiwifruit Review. 2013 edition. Pullman, WA Belrose Inc., USA. 

  2.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3. Chuine, I., 2000: A unified model for budburst of tree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07, 337-47. 

  4. Chung, U., and J. I. Yun, 2004: Solar irradiance - corrected spatial interpolation of hourly air temperature in complex terrai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29-139. doi: 10.1016/j.agrformet.2004.06.006 

  5.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J. Choi, J. T. Lee, and J. I. Yun, 2006: Minimum temperature mapping over complex terrain by estimating cold air accumulation potential.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 15-24. doi: 10.1016/j.agrformet.2005.12.011 

  6. Han, J. H., S. H. Lee, J. J. Choi, S. B. Jung, and H. I. Jang, 2008: Estimation of dormancy breaking time by development rate model in 'Niitaka' pear (Pyrus pirifolia Nakai).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58-64. 

  7. Jung, J. E., U. Chung, J. I. Yung, and D. K. Choi, 2004: The Observed change in interannual variations of January minimum temperature between 1951-1980 and 1971-2000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235-241. 

  8. Jung, J. E, H. C. Seo, U. Chung, and J. I. Yun, 2006: Spring phenology of grapevine cultivar under the changing climate in Korea during 1921-20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 116-124. 

  9. Kim, J. H., 2010: Freeze risk assessment for 'Changhowon Hwangdo' peach trees using a dormancy clock model during winter season. Kyung Hee University, 65pp. 

  10. Kim, S. O, J. H. Kim, U. Chung, S. H. Kim, G. H. Park, and J. I. Yun, 2009a: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61-71. 

  11. Kim, S. O., U. Chung, S. H. Kim, I. M. Choi, and J. I. Yun, 2009b: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162-173. 

  12. Kim, S. O., and J. I. Yun, 2011: A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cold pool effect on nocturnal temperature in a closed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 176-184. doi: 10.5532/KJAFM.2011.13.4.176 

  13. Kwon, E. Y., G. C. Song, and J. I. Yun, 2005: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Korean grapevine cultivar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 185-191. 

  14. Kwon, E., Y., E. Jung, U. Chung, J. I. Yun, and H. S. Park, 2008: Using thermal time to simulate dormancy depth and bud-burst of vineyards in Korea for the twentieth centur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7, 1792-1801. doi: 10.1175%2F2007JAMC1777.1 

  15. Kwon, Y. S., S. O. Kim, H. H. Seo, K. H. Moon, and J. I. Yun, 2012: Geographical shift in blooming date of kiwifruits in Jeju Island by global warm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 179-188. doi:10.5532/KJAFM.2012.14.4.179. 

  16. Martre, P., D. Wallach, S. Asseng, and F. Ewert, 2015: Multimodel ensembles of wheat growth. Many models are better than one. Global Change Biology 21, 911-925. 

  17. Murphy, J. M., D. M. Sexton, D. N. Barnett, G. S. Jones, M. J. Webb, M. Collins, and D. A. Stainforth, 2004: Quantification of modelling uncertainties in a large ensemble of climate change simulations. Nature 430, 768-772. doi:10.1038/nature02771. 

  18. Nalder, I. A., and R. W. Wein, 1998: Spatial interpolation of climatic normals: test of a new method in the Canadian boreal forest.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2, 211-225. 

  19. Salinger, M. J., G. J. Kenny, and M. J. Morley-bunker, 1993: Climate and kiwifruit cv. Hayward. 1. Influences on development and growth. New Zealand Journal of Crop and Horticultural Science 21, 235-245. 

  20. Semenov, M. A., and P. Stratonovitch, 2010: Use of multi-model ensembles from global climate models for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Climate Research 41, 1-12. 

  21. Seo, H. H. 2003: Site selection criteria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apples based on agriclimatology in Korea. Kyung Hee University, 130pp. 

  22. Shin, M. Y., J. I. Yun, and A. S. Suh, 1999: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5, 9-20. 

  23. Yun, S. K., K. H. Chung, I. K. Yoon, E. Y. Nam, J. H. Han, D. J. Yu, and H. J. Lee, 2012: Developmental rate equations for predicting blooming date of 'Yumyeong' (Prunus persica) peach tre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 189-195. doi:10.5532/KJAFM.2012.14.4.189 

  24. Yun, J. I., J. Y. Choi, Y. K. Yoon, and U. Chung, 2000: A spatial interpolation model for daily minimum temperature over mountainous reg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 173-182. 

  25. Yun, J. I., J. Y. Choi, and J. H. Ahn, 2001: Seasonal trend of elevation effect on daily air temperatu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 96-104. 

  26. Zapata, D., M. Salazar, B. Chaves, M. Keller, and G. Hoogenboom, 2015: Estimation of the base temperature and growth phase duration in terms of thermal time for four grapevine cultivar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9, 1771-1781. doi:10.1007/s00484-015-0985-y. 

  27. 김성철, 성기철, 좌재호, 임찬규, 전승종, 김천환, 최인명, 2013: 거인에 맞서는 용기 세계적인 기업과 우리 참다래. 농촌진흥청. 20pp. 

  28. 조재필, 2013: 불확실성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 APEC 기후센터, 36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