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외계층 영재학생의 인지특성과 학습요구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Need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1, 2016년, pp.1 - 20  

박민정 (화성반월중학교) ,  박지연 (경기과학고등학교) ,  전동렬 (서울대학교) ,  이경숙 (순천향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학습요구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영재 99명, 소외영재 43명, 일반학생 50명에게 지능, 창의성, 상위인지, 인식론적 신념, 과제 선호도, 개인시간 활용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외영재는 지능 검사에서 다른 집단보다 점수 향상이 빠르게 나타나 추상화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소외영재는 토랜스 창의성 도형 검사에서 일반영재만큼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언어 검사에서는 일반영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소외영재는 노력, 학습 능력, 전체 학습계획, 통합적 지식이 학습에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지만, 일반영재에 비해 학습관리와 책략 같은 상위인지 기술과 합리적인 작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낮고 학습시간도 적었다. 독창적인 과제는 선호하나 어려운 것을 기피하는 소외영재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접근하는 과제를 활용하거나 과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언어능력 신장, 학습내용의 실제 생활에의 적용, 상위인지 기술 개발 등이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지도 방안으로 제안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need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Gifted students(n=99),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n=43), and non-gifted students(n=50) participated i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ests, and took self assessments of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잠재력을 가늠해보고, 그 결과와 과제 선호도 등의 학습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인지적 특성은 MacFarlane(2015)가 정의한 적절한 과제에 정신적 자원을 활용하는 특정한 성향으로 보고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재생산하는데 필요한 지능, 그것을 새롭고 적절하게 만드는 창의성, 그리고 더 나은 것이 되게 하는 상위인지와 인식론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능측정을 위해 한국 레이븐 지능발달검사(Raven, 2010) 소검사 E세트를, 창의성 측정을 위해 토랜스 창의성 검사(Torrance, 1979) 언어 B형 활동5와 도형 B형 활동2, 상위인지와 과제선호도를 위해서는 조석희 외(2005)가 제작한 상위인지와 과제선호도 설문을, 인식론적 신념 측정을 위해서는 박병기와 정영주(2012)가 개발한 인식론적 신념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시간 활용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도구를 구성하는 하위 요인별 세부 내용과 문항 수는 [표 2]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잠재력을 가늠해보고, 그 결과와 과제 선호도 등의 학습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인지적 특성은 MacFarlane(2015)가 정의한 적절한 과제에 정신적 자원을 활용하는 특정한 성향으로 보고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재생산하는데 필요한 지능, 그것을 새롭고 적절하게 만드는 창의성, 그리고 더 나은 것이 되게 하는 상위인지와 인식론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재 교육은 특히 대상 학생의 학습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므로(Colangelo & Davis, 2002), 소외계층 영재의 특징적인 학습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과제 선호도와 개인시간 활용정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외계층은 언제 발생하는가? 소외계층은 특정집단의 정치 ․ 경제 ․ 사회적 지위나 가치가 다수를 이루는 집단과 다를 때 발생한다. 소외계층 학생은 경제적, 인종적, 문화적, 지리적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게 된 문화 ․ 교육적 경험의 결핍과 불이익의 대상이 되기 쉬워 지닌 잠재력과 실제 성취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Frasier, Garcia, & Passow, 1995).
토랜스 창의성 검사에서 언어 검사를 배제하는 것이 소외계층 영재 판별에 더 좋은 이유는? 이는 성별, 인종, 언어, 사회 ․ 경제적 지위, 문화가 다양한 사람들도 동등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토랜스 창의성 도형 검사의 특징(서미옥, 2009, 재인용)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소외계층 영재의 낮은 언어 관련 능력 때문이라고도 해석할 수도 있다. 이는 소외계층 영재가 언어 논리적 사고력에서 일반영재보다 낮은 점수를 받기 때문에 언어영역을 강조하는 검사를 활용하면 낮은 사회 ․ 경제적 배경의 학생을 판별할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주장한 이미순 외(2006)의 연구와 같은 결과이며 창의성만을 제대로 측정하고자 한다면 언어 능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재의 높은 창의성이 나타나는 토랜스 창의성 도형 검사에 관한 박민정과 전동렬(2008),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과 최승언(2002)의 연구에서는 일반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낸 하위 요인이 달랐다.
영재교육 진흥법에서 정의된 소외계층 영재의 정의는? 소외계층 영재에 대한 연구 역사가 깊은 미국의 경우, 소수 민족, 다문화 가정, 경제적 빈곤층, 장애 혹은 여성까지 대상을 넓혀, 영재성을 판별하고 발현을 돕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김미숙, 2008). 국내에서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제12조에 따라, 소외계층 영재를 사회 ․ 경제적 이유로 잠재력이 발현되지 못한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도서 ․ 벽지에 거주하는 자, 특수교육대상자, 행정 구역상 읍 ․ 면 지역에 거주하는 자 등 사회 ․ 경제적 이유로 교육기회의 격차가 발생하였다고 인정되며 영재교육기관의 교육영역 및 목적에 부합하고, 교육내용을 이수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로 정의한다. 진행된 국내연구로는 소외계층 영재의 가정 및 개인 특성(조석희, 이미순, 황동주, 이현주, 2005), 지능 및 자아 존중감, 영역 관련 태도(송경애, 2014)나 사회적 행동(김애경, 2001), 특정 지역 소외계층 영재와 학부모의 요구 및 특성(이효녕, 하재영, 오희진, 2009)에 관련된 것이 있으나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 ․ 정서 ․ 사회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잠재력을 최대로 발현시키도록 돕는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제안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김미숙 (2008). 한국의 영재교육정책과 새 방향: 프로젝트 S&S(Stand & Shine). 소외계층 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공정책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119-155. 

  2. 김애경 (2001). 아동과 초기 청소년의 사회 행동: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271-285. 

  3. 김정섭, 윤경미 (2009). 여중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3(1), 91-107. 

  4. 문병상 (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5.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6. 박병기, 정영주 (2012).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교육심리연구, 26(3), 739-767. 

  7. 박병기, 채선영 (2006). 사적 인식론의 재개념화 및 그 타당성 검토. 교육심리연구, 20(4), 829-854. 

  8.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 (2000).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영재교육연구, 10(1), 75-102. 

  9. 박지연 (2014).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중학생의 과학 학습 특징: 인식, 개념, 동기, 전략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서미옥 (2009). 토렌스 창의성 검사 (도형 A 형) 의 독창성 채점에 대한 문화적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0(3), 171-189. 

  11. 송경애 (2014).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과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4(6), 1039-1051. 

  12.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3. 이미순, 조석희, 이현주 (2006). 소외계층 영재의 논리적 사고력과 상위인지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6(2), 167-191. 

  14. 이재분, 유경재, 여승수, 김아름 (2011). 소외계층 영재학생 사례 발굴 및 지원방안 연구. 수탁연구 (CR2011-7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이효녕, 하재영, 오희진 (2009). 대구.경북지역 소외계층 과학영재의 특성 및 요구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220-236. 

  16. 전덕임, 강연욱 (1994). 지능 검사로서의 Raven Progressive Matrices 검사의 타당도연구: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검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3(1), 65-81. 

  17. 조석희, 이미순, 황동주, 이현주. (2005). 소외계층 영재의 발굴 및 교육방안: 소외계층 영재의 가정 및 개인특성 분석. 수탁연구 (CR 2005-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조석희, 한석실 (2004). 영재교육대상자 판별도구 개발-1 단계 선발용-. 기술보고서(TR2004-1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Baker, L. (1989). Metacognition, comprehension monitoring, and the adult reader.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1), 3-38. 

  20. Borkowski, J. G., & Peck, V. A. (1986). Causes and consequences of metamemory in gifted children. In R. Sternberg (2005).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182-20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Borland, J. H. (Ed.). (2003). Rethinking gifted education (Vol. 10). NY: Teachers College Press. 

  22. Brown, A. L., & Campione, J. C. (1981). Inducing flexible thinking: The problem of access. New York: Springer. 

  23. Cheng, P. W. (1993). Metacognition and giftedness: The state of the relationship. Gifted Child Quarterly, 37(3), 105-112. 

  24. Colangelo, N., & Davis, G. A. (2002). Handbook on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25. Davis, G. A., & Rimm, S. B. (2004).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 32-53. 

  26. Elliott, E. S. & Dweck, C. S. (1988).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1), 5. 

  27. Fishkin, A. S., & Johnson, A. S. (1998). Who is creative? Roeper Review, 21(1), 40-46. 

  28. Ford, D. Y. (2010). Reversing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Black students. IL: Sourcebooks, Inc. 

  29. Fox, L. H. (1976). Sex differences: Implications for program planning for the academically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0(3), 290-290. 

  30. Frasier, M. M. (1997).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Allyn & Bacon. 

  31. Frasier, M. M., Garcia, J. H., & Passow, A. H. (1995). A review of assessment issues in gifted educ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gifted minority students. PA: DIANE Publishing. 

  32.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33. Gay, J. E. (1978). A proposed plan for identifying black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2, 353-360. 

  34. Hofer, B. K. (2000). Dimensionality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in personal epistemolog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4), 378-405. 

  35. Ismail, A. M., & Abdel-Majeed, U. M. (2006). Predicting gifted EFL Students' goal orientation, cognitive engagement, perceived linguistic competence, and achievement with epistemological beliefs. Jeddah: the Reg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Giftedness. 

  36. Jausovec, N. (1994). Metacogni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arhus: Ablex Publishing. 

  37. Jensen, A. R. (1980). Bias in mental testing. New York: Free Press. In A. S. Kaffman (1990). Assessing adolescent and adult intelligence. Boston: Allyn and Bacon, Inc. 

  38. Johnsen, S. K., & Kendrick, J. (2005). Teaching strategies in gifted education. TX: PRUFROCK PRESS INC. 

  39. Kurtz, B. E. (1990). Interactions among aptitudes, strategies, and knowledge in cognitive performance. New York: Springer. 

  40. Lohman, D. F. (2005). An aptitude perspective on talent: Implications for identification of academically gifted minority stud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8(3-4), 333-360. 

  41. Lorge, I. (1966). Testing problems is perspective. Washington, DC: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42. MacFarlane, B. (2015). Critical issues an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What the research says. Roeper Review, 37(1), 54-55. 

  43. Moss, E. (1990). Social interaction and metacognitive development in gifted preschoolers. Gifted Child Quarterly, 34(1), 16-20. 

  44. Muis, K. R. (2007). The role of epistemic beliefs in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2(3), 173-190. 

  45. Pintrich, P. R. (2002). Future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on personal epistemology. In P. R. Pintrich (Ed.),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389-414). Mahwah, NJ, US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6. Raven, J. C. (2010). 한국 레이븐 지능발달검사: K-SPM I. 서울: 가이던스. 

  47. Schommer, M. (1990). Effec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on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98. 

  48. Spearman, C. (1927). The abilities of man. New York: MacMillan. 

  49.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607-627. 

  50. Sternberg, R. J.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Taber, K. S. (2007).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New York: Routledge. 

  52. Tileston, D. W. (2010).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about diverse learners. CA: Corwin Press. 

  53. Tomlinson, C. A. (1999).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Responding to the needs of all learner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4. Tomlinson, C. A. (2002). The parallel curriculum: A design to develop high potential and challenge high-ability learners. CA: Corwin Press. 

  55. Torrance, E. P. (1979). The search for satori & creativity. Buffalo, N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56. Torrance, E. P. (1982). Hemisphericity and creative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 Development in Education, 15(3), 29-37. 

  57. Torrance, E. P. (1984). The role of creativity in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28(4), 153-156. 

  58. VanTassel-Baska, J. (2003). Content-based curriculum for low income and minority gifted leraners. (Research Monography No. RM 03180).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59. VanTassel-Baska, J., & Reis, S. M. (2003). Curriculu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CA: Corwin Press. 

  60. Wallach, M. A. (1976). Tests tell us little about talent: Although measures of academic skills are widely used to determine access to contested educational opportunities, especially in their upper ranges they lack utility for predicting professional achievement. American Scientist, 57-63. 

  61. Winebrenner, S. (2001). Teaching gifted kids in the regular classroom: Strategies and techniques every teacher can use to meet the academic needs of the gifted and talented. Minneapolis, MN: Free Spirit Publishing, Inc. 

  62. Winner, E. (1996).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