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과 오류 유형
Characteristics of Algebraic Thinking and its Errors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1, 2016년, pp.211 - 230  

김경은 (부산대학교) ,  서혜애 (부산대학교) ,  김동화 (부산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과 오류 유형을 분석하여 수학영재 대상 대수-학습방법을 개선시키는 지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5학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반을 지원한 학생들 가운데 수학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9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대수적 사고 요소 분석틀을 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들이 선발과정 1단계 창의성 검사에서 대수적 사고 관련 문항에 대해 작성한 답안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학생들은 양이 가진 속성을 파악하기도 하였으나 두 양 사이의 독립성과 관계를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정식을 문제해결의 도구로 인식하여 해를 구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변수를 자리지기로서의 미지수 관점에만 집중하여 변수의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내었으며 일부 학생들은 대수적 개념에 대한 사고에서 오류를 만들어냈다. 결론적으로, 수학영재의 대수-학습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변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고 추론하는 것을 포함하는 함수적 사고를 신장시키고, 식의 절차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을 함께 강조하며, 변수 개념을 여러 측면에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제공하고, 대수적 개념을 스스로 구성하는 활동을 강화시키는 지도방안을 탐색해야 하는 것으로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lgebraic thinking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search for how to teach algebraic thinking.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93 students who applied for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2015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수학반에 지원한 학생들 가운데 이미 영재교육 대상으로 선발되어 수학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 및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 대비 중학교 1학년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특징 분석을 토대로 수학영재교육에서 대수-학습 지도방안을 개선시키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4%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 교수-학습 지도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에 따라, 학생들이 나타난 대수적 사고의 요소별 특징으로 나타난 개수에 근거하여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들이 나타낸 대수적 사고 요소별 응답 개수는 총106개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대수적 사고의 요소는 연산 감각(36.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심화과정 중등수학반 선발과정 1단계 창의성 검사에 응시한 93명을 대상으로 대수적 사고의 특징 및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향후 대수-학습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대수 영역과 관련된 창의성 검사 1문항을 검사도구로 설정하였으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과 오류 유형을 일반화시키는데 일부 제한점이 있으며, 연구 결과 나타난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징과 오류 유형 및 대수-학습 지도의 개선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은 영재교육 대상자를 선발하기 위해 1단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창의성 검사에는 수학영역 문항이 3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항 가운데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에 대한 답안을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 문항에 대한 정보는 <표 3>과 같다.
  • 이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익숙한 학생들이 식의 구조를 파악하기보다는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해를 구하려는 것으로 보였다. 이 학생들은 방정식의 계수가 커서 계산 과정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x, y의 관계를 절차적인 식으로 생각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 및 오류 유형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 대비 중학교 1학년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특징 분석을 토대로 수학영재교육에서 대수-학습 지도방안을 개선시키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중등 수학영재교육에서 대수적 사고의 효율적 지도방법을 탐색하고, 나아가 중등 수학영재 선발과정에서 반영할 수 있는 대수적 사고 요소의 특징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지금까지 수학영재교육 선발 시험에 지원한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 경향성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지원자들이 겪고 있는 대수적 사고에 대한 오류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영재교육에서 대수 학습 지도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적 사고 능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정의에 따르면, 수학에서의 영재성은 수학적 사고능력, 수학적 과제 집착력, 수학적 창의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수학적 사고 능력은 수학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사고 능력을 의미하며, 직관적 통찰 능력, 정보의 조직화 능력, 공간화/시각화 능력, 수학적 추상화 능력, 귀납적 ․ 연역적 사고 능력과 같은 수학적 추론 능력, 일반화 및 적용 능력, 반성적 사고 능력들을 포함한다(김홍원, 1998).
영재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영재교육은 타고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이 자아를 실현하고 나아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로 성장하도록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부는 영재교육진흥법의 제도적 기반 하에 2003년부터 지금까지 5년마다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오고 있다.
대수적 사고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대수적 사고는 다음과 같이 5가지 방법들의 조합으로 파악할 수 있다(Bell, 1996): ① 단계적으로, 주어진 것에서 미지의 것을 찾거나 조건 사이의 전반적인 관계를 한 번에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②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반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공식화한다. ③ 수(기하)에서 일반화된 성질을 발견하거나 증명한다. ④ 수 체계와 연산에 대한 일반적인 성질을 인식하고 사용한다. ⑤ 조작 가능한 기호 언어를 사용한다. 이에 근거하여, 김성준(2004)은 대수적 사고의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대수적 사고의 본질을 다음과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종합진흥계획(2013-2017). 서울: 교육부. 

  2.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3. 김래영, 이민희 (2013).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 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3(3), 389-406. 

  4. 김민정, 이경화, 송상헌 (2008). 초등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성에 관한 분석. 학교수학, 10(1), 23-42. 

  5. 김성준 (2002a). 대수적 사고와 대수 기호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2(2), 229-245. 

  6. 김성준 (2002b). 대수적 사고의 기원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49-68. 

  7. 김성준 (2002c). 수학 학습에서 이행에 관한 고찰: 산술과 대수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2(1), 29-48. 

  8. 김성준 (2004).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9. 김홍원 (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8(2), 69-89. 

  10. 남승인 (2011).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수학용어에 대한 오개념 실태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79-198. 

  11. 류희찬, 김미정 (2004). 산술적 지식과 대수적 지식 사이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난 연결과 단절 현상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논총, 25, 269-295. 

  12. 박미진, 서혜애, 김동화, 김지나, 남정희, 이상원, 김수진 (2013).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3(5), 697-713. 

  13.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7. 

  14. 우정호, 김남희 (1996). 변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및 학습-지도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6(2), 197-210. 

  15. 우정호, 김성준 (2007).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7(4), 453-475. 

  16. 유미경, 류성림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17. 정현도, 강신포, 김성준 (2010). 초등학교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85-905. 

  18. 최영기, 도종훈 (2004). 수학 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학교수학, 6(4), 361-372. 

  19. Bell, A. (1996). Algebraic thought and the role of a manipulable symbolic language. In N. Bednarz, C. Kieran & L. Lee (Eds.), Approaches to algebra: Perspectives for research and teaching. (pp.151-15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J.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in grades 3-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1. Clements, M. A. (1980). Analyzing children's errors on written mathematical task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 121 

  22.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New York, NY: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Movshovitz-Hadar, N., Zaslavsky, O., & Inbar, S. (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3-14. 

  24.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Newman, M. A. (1977). An analysis of sixth-grade pupils'errors on written mathematical tasks. In M. A. Clements & J. Foyster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ustralia (pp.269-287). Melbourne: Swinburne College Press. 

  26.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7. Smith, J. P., & Thompson, P. W. (2008). Quantitative reasoning and the development of algebraic reasoning.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95-132).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Slavit, D. (1999). The role of operation sense in transitions from arithmetic to algebraic though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7, 251-274. 

  29.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s. In A. Coxford & A. Shulte (Eds.), The Ideas of algebra, K-12 (pp. 8-19). Reston, VA: NC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