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e Volcano Monitoring Program of Chin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1, 2016년, pp.95 - 106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장철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에 분포하는 활화산, 중국의 활화산 모니터링 개요, 중국 화산관측소의 모니터링 장비 현황, 장백산화산관측소 및 중국의 백두산 화산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계획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of active volcanoes in China, overview of an active volcano monitoring of China, monitoring equipment status in China volcano observatory, and Changbaishan volcano observatory and volcano early warning system pla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두산 산정부에서 실제 분화가 발생하기 이전의 지하 마그마의 거동 및 화산체의 지표변형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하여, 화산성 지진, 지표면 변형, 화산가스 및 큰 규모의 동력학적 변화를 조사하기로 하였다. 이를 위한 지진감시네트워크, 지표변형모니터링 시스템, 화산유체 모니터링 네트워크 및 이미지 관측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자료를 획득 종합 분석하고, 이로부터 화산재해 위험도 작성, 대응 및 방재 방안 수립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공개하는 동시에 화산분화 경보에 활용하고자 한다.
  • 아울러 중국이 백두산에 대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화산조기 경보시스템의 구축 내용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활화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중국내 화산관련 기관의 방문 및 국제학회 등에서 입수한 자료를 소개한다.
  • 본 연구는 한반도에 화산재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국 내의 활화산에 대한 화산 분화 이력을 파악하고, 이들 활화산에 대한 중국 측 연구진의 대응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아울러 중국이 백두산에 대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화산조기 경보시스템의 구축 내용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한반도에 화산재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국 내의 활화산에 대한 화산 분화 이력을 파악하고, 이들 활화산에 대한 중국 측 연구진의 대응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아울러 중국이 백두산에 대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화산조기 경보시스템의 구축 내용에 대하여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활화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중국내 화산관련 기관의 방문 및 국제학회 등에서 입수한 자료를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화산지대는 현재 어느 나라에 의해 연구가 진행중인가? 백두산화산지대(Baekdusan Volcanic Field)의 중앙 부에 위치하는 백두산 화산은 역사시대 수차례의 분화 기록을 가진 활화산(Yun, 2013)으로 현재 중국및 북한에 의해 모니터링 연구가 활발히 수행중이다.
중국 활화산의 지체구조적 환경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2). 중국 활화산의 지체구조적 환경 또한 한반도와 동일한 판내부(Intraplate, >25 km의 대륙지각) 환경에 해당하며, 이들 화산 중 쿤룬화산군(崑崙火山群; Kunlun volcanic group)과 백두산은 활화산으로 등록 되어 있다. 중국 내 화산 중 GVP의 데이터베이스에 화산폭발지수가 등록되어 있는 화산은 쿤룬화산군, 우다렌치(五大連池: Wudalianchi) 및 백두산이며, 쿤룬 화산군은 1951년 5월 27일 화산폭발지수(VEI) 2로기록되어 있으며, 우다렌치 화산은 1720년 1월 14일 ~1721년 6월 화산폭발지수 3으로, 백두산은 942±4년으로 화산폭발지수 7로 기록되어 있다.
중국의 화산 분화 위험 등급을 통해 백두산을 어떻게 구분지으려 하는가? 분화 위험 등급은 마그마 충전기간 동안 휴식상태인 경우-안전(safe), 화산활동이 활발하지 않음(inactive)-주목(notice), 화산이 불안함(disturbing)-주의(caution), 화구가 형성되어 화산이 소란(turbulence)-경고(warning), 분화 위기(critical)-위험(risk), 분화가 시작되어 활동적 (active)-재해(hazard), 강력하게 활동적(strong active)-대참사(catastrophe)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중국내 활화산들 중 우다렌치, 롱강, 충베이 화산은 휴식상태로안전, 텅충화산은 화산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주목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백두산은 화산이 불안함의 주의 단계에서 소란한 경고 단계로 상향하자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2015, Active volcanoes in China. Research poster material. 

  2. Decker, R.W. and Decker, B.B., 1991. Mountains of Fire: The Nature of Volcano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8p. 

  3. Decker, R. and Decker, B., 1997, Volcanoes. 3rd edition, W.H. Freeman, New York. 321p. 

  4. Gao, L., Wei, H.Q., Shangguan, Z., and Wu, C.Z., 2007, Recent geochemical variation of the hot-spring gases from the Tianchi volcano, Changbai mountains, Northeast China. Earthquake Research in China, 21, 179-188. 

  5. Siebert, L. and Simkin, T., 2002, Volcanoes of the world: an illustrated catalog of Holocene volcanoes and their eruptions. Smithsonian Institution, Global Volcanism Program Digital Information Series, GVP-3 (http://www.volcano.si.edu). 

  6. USGS, 1987, Active volcanoes of the world(http://pubs.usgs.gov/gip/hawaii/page10.html). 

  7. Wei, H., Sparks, R.S.J., Liu, R., Fa, Q., Wang, Y., Hong, H., Zhang, H., Chen, H., Jiang, C., Dong, J., Zheng, Y., and Pan, Y., 2003, Three active volcanoes in China and their hazard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1, 515-526. 

  8. Xu, J., Kiu, G., Wu, J., Ming, Y., Wang, Q., Cui, D., Shangguan, Z., Pan, B., Lin, X., and Liu, J., 2012, Recent unrest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 China: A precursor of a future erup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 L16305, 1-7. 

  9.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56-469. 

  10. Yun, S.H., Lee, J.H., and Chang, C.W., 2013, A Study on the change of magma activity from 2002 to 2009 at Mt. Baekdusan using surface displacement.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470-4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