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Park-Typ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1, 2016년, pp.120 - 140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녹지의 계획 및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녹지의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를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로 설정하였으며, 녹지의 기능은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제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한 MCB 분석을 통해 13개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설문조사에 의한 AHP 분석을 통해 기능별 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공원형 녹지의 기능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에서는 냉천유원지, 대구체육공원, 달창유원지의 녹지 평가 점수가 80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의 경우 복현공원, 만촌공원, 천내공원 등 15개 녹지의 평가 점수가 75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용적 기능 평가에서는 수성공원, 달성공원, 월배공원 등 11개 공원형 녹지의 점수가 80점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향후 공원형 녹지의 신규 조성, 지속적인 관리 및 리모델링이 요구될 경우 효율적인 기초자료 및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efficient green planning and management. The study area was the park-type green spaces in Daegu and the functions were limited in nature-ecological, environment-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공원형 녹지의 계획 및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대구광역시의 공원형 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선행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주변의 환경여건 및 녹지가 가지고 있는 잠재적 요소를 고려한 계획 및 관리방향 설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Lee, 2011; Sung,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공원형 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GIS 기반의 종합 평가를 실시하여 효율적인 공원형 녹지의 계획 및 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원형 녹지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의 공원형 녹지를 대상으로 기능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녹지를 설정하였다. 공원형 녹지는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체육공원, 유원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 중 면적의 크기가 작은 소공원과 어린이공원은 대상녹지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미조성 녹지의 경우 토지이용상 도시민의 이용이 가능한 지역으로 구성된 지역은 대상녹지에 포함하였다.
도시공간 내 녹지의 역할은? 도시공간 내 녹지는 생물종 다양성 보존, 미기후 조절, 대기오염 완화, 경관 형성, 인구과밀 억제 등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Landsberg, 1981; Byun and Lee, 2002).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녹지가 도시민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고,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등 도시민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대표적 활동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Orsega-Smith et al.
녹지의 기능 중에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제한하여 본 연구의 분석을 진행한 이유는? 녹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생태보전, 환경적, 사회·이용적, 경제적, 심리적 기능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제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세 가지 기능의 경우 녹지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반면, 경제적 기능 및 심리적 기능은 간접적인 영향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T.W. 201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greenspace planning indicators to accomplish low carbon green city.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87pp (안태원. 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 춘천시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7쪽). 

  2. Bae, M.K., H.D. Jung and Y.M. Son. 2009. Role of urban green spa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case study on Daejeon 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17(2):181- 199 (배민기, 정환도, 손영모.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도시내 녹지공간의 역할: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환경정책 17(2):181-199). 

  3. Bedimo-Rung, A.L., A.J. Mowen and D.A. Cohen. 2005. The significance of parks to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conceptual model.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159-168. 

  4. Byun, B.S. and B.J. Lee. 2002. Strategies for conserving green spaces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143pp (변병설, 이병준. 2002. 쾌적한 도시 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143쪽). 

  5. Cho, Y.H. and H.K. Jo. 2002. A study on effects of vegetative cover on atmospheric purification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5(4):51-60 (조용현, 조현길. 2002.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 녹화기술학회지 5(4):51-60). 

  6. Cohen, D.A., J.S. Ashwood, M.M. Scott, A. Overton, K.R. Evenson, L.K. Staten, D. Porter, T.L. Mckenzie and D. Catellier. 2006. Public park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 gir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8(5):1381-1389. 

  7. Daegu. 2009. The status of park and amusement park (대구광역시. 2009. 공원.유원지 현황). 

  8. Daegu. 2010.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Daegu (대구광역시. 2010.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9. De Clercq, E.M., R.R. De Wulf and A. Van Herzele. 2007. Relating spatial pattern of forest cover to accessibi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14-22. 

  10. Forman, R.T.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640pp. 

  11. Herzog, F., A. Lausch, E. Muller, H. Thulke, U. Steinhardt and S. Lehmann. 2001. Landscape metrics for assessment of landscape destruction and rehabilit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27(1):91-107. 

  12. Jang, G.S. 2007. Establishment of a forest network in the western Geum river basin using the nearest featur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56-63 (장갑수. 2007. 최근린사상법을 활용한 금강 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5):56-63). 

  13. Jung, K.H., S.J. Jung, Y.K. Sonn and S.Y. Hong. 2007. Classification of hydrological soil group of Korean soils. Research report, NIAC. 29pp (정강호, 정석재, 손연규, 홍석영. 2007. 유출곡선지수법의 활용을 위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농업과학기술원 연구보고서. 29쪽). 

  14. Jung, S.G. and W.S. Lee. 2008. Establishing a green space management zone for an environmental city: focusing o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6):64-73 (정성관, 이우성. 2008. 환경 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녹지의 관리권역 설정: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 (6):64-73). 

  15. Jung, S.H. 2004. An assessment of the distribution of urban neighborhood parks.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65pp (정승현. 2004. GIS를 이용한 도시근린공원 분포의 적정성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쪽). 

  16. Kim, Y.I. and H.K. Yuh.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y creativity index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2):71 -84 (김영인, 여홍구. 2009.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2):71-84). 

  17. Kong, F. and N. Nakagoshi. 2006. Spatial -temporal gradient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s in Jinan,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147-164. 

  18.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275pp. 

  19. Lee, D.H. and K.J. Lee. 2010. A study on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64-172 (이동현, 이경주. 2010.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 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64-172). 

  20. Lee, S.D. 2004. Assessment and connection method of fragmentary urban green space for considering wild bird movement.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258pp (이수동. 2004.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8쪽). 

  21. Lee, W.S. 2011. The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and establishment of planning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urban space.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439pp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 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9쪽). 

  22. Lee, W.S. and S.G. Jung. 2012.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126-138 (이우성, 정성관. 2012.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126-138). 

  23. McGarigal, K., S.A Cushman, M.C. Neel, and E. Ene. 2002.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ed by the author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4.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 Consultation report of integrated river basin planning in Yeongsan rivier (건설교통부. 2005. 영산강 유역종합치수계획 자문보고서).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A study on consultation and designation criteria of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and so on. 182pp (환경부. 2002.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182쪽).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A study on acquisition method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in urban area. 239pp (환경부. 2004. 도시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 연구. 239쪽).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Guidelinefor application of biotope area ratio (환경부. 2005. 생태면적률 적용지침). 

  28. Orsega-Smith, E., A.J. Mowen, L.L. Payneand G.C. Godbey. 2004. The interactionof stress and park use on psychophysiologicalhealth in older adults.Journal of Leisure Research 36(2S2):232-256. 

  29. Riess, W. 1986. Konzepte zum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10:102-115. 

  30. Ro, U.A. 2013. A study on water-friendlyenvironment facilities design of Anyangstream, considering user's behaviors.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162pp (노은아. 2013.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안양천 친수공간 환경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2쪽). 

  31. Ryu, Y.S. 2005. A character analysis ofthe neighborhood park in the point ofthe landscape ecology. Ph.D. Thesis,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9pp(류연수. 2005. 근린공원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9쪽). 

  32. Saaty, T.L. 1980. The Analytic HierarchyProcess. McGraw-Hill, New York. 287pp. 

  33. Sagong, J.H. 2004. Development oflandscape ecological green-networkmodel in a metropolitan. Ph.D. Thesis,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62pp(사공정희. 2004.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 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2쪽). 

  34. Sagong, J.H. and J.H. Ra. 2006. Analysisof connectivity and characters betweengreen spaces for introducinggreen-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34(4):18-36.(사공정희, 나정화. 2006.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녹지 연계망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4(4):18-36). 

  35. Sung, H.C. 2015. A study on theecological attributes assessment andcomparison of urban parks according totypes of the surrounding green areas.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18(2):119-131 (성현찬. 2015. 주변녹지 여부에 따른 도시공원의 생태성 평가와 비교에 관한 연구. 환경복원녹화 18(2):119-131). 

  36. Tinker, D.B., C.A.A. Resor, G.P. Beauvais,K.F. Kipfmueller, C.I. Fernandes, andW.L. Baker. 1998. Watershed analysisof forest fragmentation by clearcuts androads in a Wyoming forest. LandscapeEcology 13:149-165. 

  37. Van Herzele, A. and T. Wiedemann. 2003.A monitoring tool for the provision ofaccessible and attractive urban greenspa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63:109-1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