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녹지평가 및 계획방향 - 대구광역시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f Green Spaces and Direction of Master Plan for Urban Parks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Donjibong Park in Daegu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2, 2017년, pp.17 - 31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장갑수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동구의 미조성공원인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 녹지평가를 실시하고, 계획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녹지 기능에 따른 13개 지표를 토대로 녹지공간을 평가하였으며, 종합적 녹지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자연생태 및 환경조절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공원 중앙지역을 따라 높은 점수가 나타난 반면, 공원 경계지역 및 포장지역에서는 낮은 점수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남동쪽의 녹지는 주거지역과의 인접성으로 인해 높은 점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지봉공원에 대한 종합적 녹지 평가 결과, 공원의 중앙지역은 자연생태 및 환경조절적 기능이 우수하게 나타나 종합점수가 높게 평가되었고 반면, 공원 가장자리의 시설지역 및 경작지는 낮게 평가되었다. 종합 평가 결과를 토대로 계획방향을 설정한 결과, 계획공간은 보전공간, 복원공간, 완충공간, 환경감시 초소 및 전망대, 탐방로, 시설공간, 수변녹지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이에 따른 구체적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미조성 공원과 같은 신규 공원 조성시 객관적인 계획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Donjibong Park in Daegu and establish a master plan for green space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For this purpose, green space in the park was assessed based on 13 indicators using three functions.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지계획방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획공간은 보전공간, 복원공간, 완충공간, 환경감시초소 및 전망대, 탐방로, 시설공간, 수변녹지공간 등으로 구분하였다. 보전공간은 자연생태 및 환경조절적 기능이 높게 나타난 산림지역으로서 우수한 녹지의 기능성을 보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하였다. 복원공간은 보전녹지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대부분 경작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생지역의 복원을 통해 녹지의 여러 가지 기능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동구의 미조성공 원인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 녹지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돈지봉공원의 계획방향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 본계획에서 제시된 미조성 공원 사업 우선순위가 높으며, 도시지역에 위치하여 향후 주변 도시개발에 따라 조성가능성이 높은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객관적인 방식의 녹지평가를 실시하고, 지속가능한 계획 및 관리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지의 기능은? 도시공원과 같은 녹지는 도시 내에서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대기, 수질, 기온 등과 같은 미기후를 조절하며, 경관 형성, 도시성장 억제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한다(Landsberg, 1981; Gallo et al., 1993).
도시 내에서 녹지의 역할은? 도시공원과 같은 녹지는 도시 내에서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대기, 수질, 기온 등과 같은 미기후를 조절하며, 경관 형성, 도시성장 억제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한다(Landsberg, 1981; Gallo et al., 1993).
돈지봉공원의 고시면적과 그 안에 사유지 비율은? 돈지봉공원은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산30 일원에 분포하는 공원으로서 1987년에 공원지역으로 결정·고시된 지역이다. 고시된 총 면적은 471,630.0㎡이며, 이 중 사유지가 414,504.5㎡로서 전체면적의 87.9%를 점하고 있다. 돈지봉공원은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미조성 공원의 사업투자 우선순위에서 총 24개 근린공원 중 공동 11위로 분석되었으며, 달성군의 미조성 공원을 제외한 도시지역의 미조성 공원 중에서는 3위로 평가되었다(Daegu,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rade, H. and R. Vieira. 2007. A climatic study of an urban green space: the Gulbenkian Park in Lisbon (Portugal). Finisterra-Revista Portuguesa de Geografia, XLII(84):27-46. 

  2. Barbosa O., J.A. Tratalos, P.R. Armsworth, R.G. Davies, R.A. Fuller, P. Johnson, and K.J. Gaston. 2007. Who benefits from access to green space?: a case study from Sheffield, UK.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187-195. 

  3. Cho, Y.H. and H.K. Jo. 2002. A study on effects of vegetative cover on atmospheric purification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5(4):51-60 (조용현, 조현길. 2002.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 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4): 51-60). 

  4. Cohen, D.A., T.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 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509-514. 

  5. Daegu. 2011.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in Daegu. p.509 (대구광역시. 2011. 대구광역시 공원녹지기본계획. 509쪽). 

  6. Forman, R.T.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640. 

  7. Gallo, K.P., A.L. Mcnab, T.R. Karl, J.F. Brown, J.J. Hood, and J.D. Tarpley. 1993.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2223-2230. 

  8. Herzog, F., A. Lausch, E. Muller, H. Thulke, U. Steinhardt, and S. Lehmann. 2001. Landscape metrics for assessment of landscape destruction and rehabilit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27(1):91-107. 

  9. Jung, K.H., S.J. Jung, Y.K. Sonn, and S.Y. Hong. 2007. Classif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 of Korean soils. Research report, NIAC. p.29 (정강호, 정석재, 손연규, 홍석영. 2007. 유출곡선지수법의 활용을 위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농업과학기술원 연구보고서. 29쪽). 

  10. Jung, S.G., and W.S. Lee. 2008. Establishing a green space management zone for an environmental city: focusing o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6):64-73 (정 성관, 이우성. 2008. 환경도시 건설을 위한 도시녹지의 관리권역 설정: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6):64-73). 

  11. Kim, Y.I., and H.K. Yuh.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y creativity index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2): 71-84. (김영인, 여홍구. 2009.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2):71-84). 

  12.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New York. p.275. 

  13. Lee, D.H., and K.J. Lee. 2010. A study on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64-172 (이동현, 이경주. 2010. 부산시 도시공원 공급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 164-172). 

  14. Lee, I.S. and E.J. Yoon. 2008.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area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2):69-79 (이인성, 윤은주. 2008.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 (2):69-79). 

  15. Lee, S.Y. and J. Heo. 2004.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by benefit sought in neighborhood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114-125 (이시영, 허준. 2004. 도시근린공원의 추구편익에 의한 중요-성취도 분석: 대전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3):114-125). 

  16. Lee, W.S. 2011. The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and establishment of planning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urban space.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439 (이우성. 2011.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39쪽). 

  17. Lee, W.S. 2016. An integrated assessment of park-type green space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120-140 (이우성. 2016. 대구광역시 공원형 녹지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9(1):120-140). 

  18. Lee, W.S. and S.G. Jung. 2012.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126-138 (이우성, 정성관. 2012.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 권역 설정: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5(2):126-138). 

  19. McGarigal, K., S.A Cushman, M.C. Neel, and E. Ene. 2002.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maps. Computer software program produced by the authors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 Report of integrated river basin planning in Yeongsan river. p.1419 (건설 교통부. 2005. 영산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1419쪽).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Application guideline for biotope area ratio. p.42 (환경부. 2005. 생태면적률 적용지침. 42쪽). 

  22. Nowak, D.J., D.E. Crane, and J.C. Stevens. 2006. Air pollution removal by urban trees and shrubs in the United Stat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4: 115-123. 

  23. Oh, K. and S. Jeong. 2007.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 25-32. 

  24. Orsega-Smith, E., A.J. Mowen, L.L. Payne, and G.C. Godbey. 2004. The interaction of stress and park use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in older adul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6(2S2): 232-256. 

  25. Riess, W. 1986.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Laufener Seminarbeitrag 10:102-115. 

  26. Ro, U.A. 2013. A study on water-friendly environment facilities design of Anyang stream, considering user's behaviors. 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p.162 (노은아. 2013.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안양천 친수공간 환경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2쪽). 

  27. Sagong, J.H. and J.H. Ra. 2006. Analysis of connectivity and characters between green spaces for introducing green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4):18-36. (사공정희, 나정화. 2006.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 녹지 연계망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4(4):18-36). 

  28. Sung, H.C. 2015. A study on the ecological attributes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urban parks according to types of the surrounding green area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2):119-131 (성현찬. 2015. 주변녹지 여부에 따른 도시공원의 생태성 평가와 비교에 관한 연구. 환경복원녹화 18(2): 119-131). 

  29. Van Herzele, A. and T. Wiedemann. 2003. A monitoring tool for the provision of accessible and attractive urban green spa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109-126. 

  30. Xiao, Q.F. and E.G. Mcpherson. 2002. Rainfall interception by Santa Monica's municipal urban forest. Urban Ecosystems 6:291-302. 

  31. Yoon, M.H. and T.M. Ahn. 2009. An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analysis to visualize the effects of urban green areas on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 (3):46-53 (윤민호, 안동만. 2009.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녹지의 기온저감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3):46-53). 

  32. Zhang, L. and H. Wang. 2006. Planning an ecological network of Xiamen Island (China) using landscape metrics and network analys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449-4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