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Y28을 이용하여 제조한 참다래-대봉감 혼합과실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향기성분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produced mixture wine with kiwi and permission fruits using wil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Y28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2 no.1, 2016년, pp.98 - 109  

이희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서원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정성훈 (남해마늘연구소) ,  황정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안민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애련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신지현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  이주영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  조현국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야생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Y28을 이용하여 참다래-대봉감 혼합과실주 제조를 위해 과즙의 효소 처리 조건 확립, 참다래-대봉감 비율별 알코올 발효 특성 및 향기성분 분석을 조사하였다. 최적 효소 처리 조건은 참다래는 0.3%, 1시간이었고 대봉감은 0.3%, 3시간이었다. 참다래-대봉감 혼합과실주의 pH는 발효 후 3.69-3.77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산도는 발효 후 증가하여 1.51-2.07%로 있었으나, 대봉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도는 낮았다. Brix 및 환원당은 발효 후 감소하여 각각 $8.8-9.6^{\circ}brix$ 및 6.07-6.90 g/L 있었다. 혼합과일주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 있었고, 유리당 sucrose 및 glucose은 미량 검출되었다. 발효 후 수용성 phenolics 함량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갈변도는 증가하여 각각 1.00-1.25 g/L 및 0.212-0.412 수준이었다. 주요 향기성분으로 ethyl acetate와 hydrazine, 1,1-dimethyl가 있으며 장미와 유사한 향을 가지는 phenylethyl alcohol 또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관능평가 결과, 참다래:대봉감(7:3) 혼합과실주가 다른 비율 혼합과실주보다는 기호성이 약간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mixing ratio of kiwi and persimmon juices for the production of good quality win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Y28. Firstly, the optimum condition of rapidase treatment for the kiwi and persimmon juices was established, thereafter various mixing ratio (10:0, 9: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야생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Y28을 이용하여 참다래-대봉감 혼합과실주 제조를 위해 과즙의 효소 처리 조건 확립, 참다래-대봉감 비율별 알코올 발효 특성 및 향기성분 분석을 조사하였다. 최적 효소 처리 조건은 참다래는 0.
  • 특히,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참다래 와인의 경우 tannin 함량이 부족하고 신맛이 강해 와인의 고급화가 어렵고, 감 와인의 경우 떫은 맛 저감을 위해 장기간 발효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으로 참다래에 부족한 tannin 함량을 강화시키고 신맛을 감소시켜 참다래 와인의 고급화를 위해 참다래 및 감을 이용한 효소 전처리 기술 개발과 동시에 tannin이 강화된 참다래-감 혼합과실주 개발로 참다래와 대봉감을 비율별로 혼합하고 발효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다래의 특징은? 참다래는 에틸렌 생성량의 증가, 과육의 연화, 향기 및 색소 성분의 분해와 합성, 유기산 감소 등 다양한 생리활성 현상이 진행되는 호흡 상승형 과실로 저장기간이 짧고 장기 저장시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생과 형태로 소비되고 있다(Park et al., 2013).
감은 어떤 식품인가? , 2011). 감(Diospyros kaki)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대성 과실 중 하나로 포도당과 과당을 주로 포함한 당분이 약 14%로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질, 비타민 C, 비타민 A 및 비타민 B 풍부한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알칼리 식품이며(Cho et al., 2006), epicatechin 등의 녹차에 함유된 tannin 성분의 기능성 phenolics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Joo et al., 2011).
효소 처리를 통해 식물 세포벽 성분을 가수분해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와인의 경우 alcohols, esters, organic acids, aldehydes, monoterpenes, ketones 및 sulfide를 포함하는 800종 이상이 분석되어 보고되어 있다(Rombouts and Pilnk, 1979; Ebeler, 2001; Lee, 2014). 와인의 제조를 위한 주스 제조 시 과실 중의 pectin질에 의해 가공공정 중 압착 수율이 좋지 않거나 혼탁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Kim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K.M. and Joo, O.S.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Elaegnus multiflora wine through the thermal processing of juice. Korean J. Food Preserv. 21, 206-214. 

  2. Cho, K.M., Kwon, E.J., Kim, S.K., Kambiranda, D.M., Math, R.K., Lee, Y.H., Kim, J.H., Yun, H.D., and Kim, H. 2009. Fungal diversity in composting process of Pig manure and mushroom cultural waste based on partial sequence of large subunit rRNA. J. Microbiol. Biotechnol. 1, 743-748. 

  3. Cho, K.M., Lee, J.B., Kahng, G.G., and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4. Choi, I.W., Baek, C.H., Woo, S.M., Lee, O.S., Yoon, K.Y., and Jeong, Y.J. 2006a. Establishment of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for the manufacture of kiwi liqueur. Korean J. Food Preserv. 13, 369-374. 

  5.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and Shin, D.H. 2006b.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6. Chung, K.T., Seo, S.K., and Song, H.I. 1984. Chnages of polyphenols and polyphenol oxidase active bands during apple wine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6, 413-417. 

  7. Ebeler, S.E. 2001. Analytical chemistry: Unlocking the secrets of wine flavor. Food Rev. Int. 17, 45-64. 

  8.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32, 239-243. 

  9. Grassin, C. 1993. Enzymetic liquefaction of apples. Fuit Process. 7, 1-6. 

  10. Jang, S.J., Jo, Y.J., Seo, J.H., Kim, O.M., and Jeong, Y.J. 2014. Enzyme treatment for clarification of spoiled oriental melon juice. Korean J. Food Preserv. 21, 506-511. 

  11. Jeong, E.J., Kim, M.H., and Kim, Y.S. 2010.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of Fragaria ananassa Du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wine during ethanol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 72-78. 

  12. Jeong, Y.J., Kim, H.I., Whang, K., Lee, O.S., and Park, N.Y. 2002.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alcohol fermentation of presimm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78-582. 

  13. Jo, Y.J., Kim, O.M., and Jeong, Y.J. 2013.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oriental melon wine using SPME. Korean J. Food Preserv. 20, 207-214. 

  14. Joo, O.S., Kang, S.T., Jeong, J.H., Lim, J.W., Park, Y.K., and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re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15. Kang, S.D., Ko, Y.J., Kim, E.J., Son, Y.H., Kim, J.Y., Seol, H.G., Kim, L.J., Cho, H.K., and Ryu, C.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wine and optimum malolactic fermentation conditions. J. Life Sci. 21, 509-514. 

  16. Kim, Y.S., Jeong, D.Y., and Shin, D.J.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17. Kim, S.H., Kim, I.H., Cha, T.Y., Kang, B.H., Lee, J.H., Kim, J.M., Song, K.S., Song, B.H., Kim, J.K., and Lee, J.M. 2005. Optimization of enzyme treatment condition for clarification of pomergranate extrac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40-245. 

  18. Kim, E.K., Kim, I., Ko, J.Y., Yim, S.B., and Jeong, Y.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commercial low-priced french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66-1671. 

  19. Kim, G.H., Kim, J.H., and Yang, J.Y. 2014. Change in flavor components of black-fermented galic wine according to the type if chip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J. Food Hyg. Safety 29, 73-77 

  20. Kim, K.H., Sohn, C.B., Lee, S., Lee, S.A., Lee, J.O., Kwon, J.S., and Yook, H.S. 2008. Quality of 'Hayward' kiwifruit by low-dose gamma irradiation. J. East Asian Soc. Dietaty Life 18, 49-57. 

  21. Lee, S.J. 2014. Volatile analysis of commercial Korean black raspberry wines (Bokbunjaju)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25-431. 

  22.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3. Oh, H.J., Jeon, S.B., Kang, H.Y., Yang, Y.H, Kim, S.C., and Lim, S.B.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43-349. 

  24. Park, K.L., Hong, S.W., Kim, Y.J., Kim, S.J., and Chung, K.S. 2013. Manufacturing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ine using hardy kiwi fruit (Actinidia argut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327-334. 

  25. Park, M.K. and Kim, H.C.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26. Rombouts, F.M. and Pilnk, W. 1979. Utilization of pectic enzymes in food prodiction. Dev. Food Sci. 2, 264-268. 

  27. Schreier, P. 1979. Flavor composition of wines: a review. CRC Cr. Rev. Food Sci. 12, 59-111. 

  28. Shin, D.B., Hawer, W.D., and Lee, Y.C. 2007. Effect of enzyme treatments on yield and flavor compound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76-282. 

  29. Song, D.H., Kim, C.J., Rho, T.W., and Lee, T.S. 1988. Phenolics contents and browing capacity during the white wine 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87-793. 

  30. Sun, S.Y., Jiang, W.G., and Zhao, Y.P. 2011. Evaluation of different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on the profile of volatile compounds and polyphenols in cherry wines. Food Chem. 127, 547-555. 

  31. Towantakavanit, K., Park, Y.K., and Park, Y.S. 2010.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Korean J. Food Preserv. 17, 174-181. 

  32. Woo, K.L. and Lee, S.H. 1994. A study on wine-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Sci. Technol. 26, 204-212. 

  33. Woo, S.M., Lee, M.H., Seo, J.H., Kim, Y.S., Choi, H.D., Choi, I.W., and Jeong,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wi wine on alcohol fermentation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00-8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