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설건축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s for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1, 2016년, pp.5 - 25  

이희준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9개 도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설정을 위한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전문가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의 공공기록물 체계와 지자체의 기록물 평가체계를 조사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9개 도 "기록관리기준표" 대기능 '건설건축'을 대상으로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의 현황 조사와 3개 도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을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을 개발하였고 실무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평가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수정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기록관리기준표" 대기능 '건설건축' 수정 설계안으로 4개의 중기능 항목과 4개 도이상 운영되고 있는 소기능 18개 항목, 47개의 단위과제 항목을 제시하여 총 69개의 항목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지자체 공공기록물의 독자성과 고유성, 기관의 업무 기능과 조직에 근거한 "기록관리기준표" 제정을 위한 참고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of the currently prescribed record classification standard table as the guidance to select and assess the public records of local govern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the methodologies of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experts' asses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건축’을 선정한 이유는 이 기능이 조직이나 인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도에서 핵심적으로 수행되는 대표적인 행정 업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실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과 함께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처럼 국내에서는 해외 평가 이론의 소개, 디지털 환경에서의 기록물 평가, 기록물 평가요소 등에 관한 연구와 개별 기관의 보존기간 책정과 문제점 도출을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분류체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기록관리기준표』는 중앙행정기관, 교육청 등에서 운영되고 있는 『기록관리기준표』의 운영 및 관리방안,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지자체의 『기록관리기준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으로 수정한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을 제시하여 향후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설정에 있어 참고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정되어 있는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에 관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전문가 평가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 과제 및 보존기간 설정에 있어 참고하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설정에 있어 참고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기록관리기준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으로 수정한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을 제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기록물 체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례조사에서는 9개 도 『기록관리기준표』의 대기능 ‘건설건축’을 대상으로 462개의 단위과제와 보존기간 현황을 분석하여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의 특징과 현황분석을 통해 얻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안)을 전개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구축되어 있는 지자체의 『기록관리기준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지자체의 특성을 고려한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지자체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 설정에 있어 참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대기능 ‘건설건축’의 단위과제는 단위과제 명과 단위과제설명이 명시되어 있어 단위과제의 개념과 업무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보존기간은 단위과제별로 보존기간과 책정사유가 같이 구성되어 기록물 선별,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기능은 3개의 중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경남과 전남을 제외한 나머지 7개 도의 경우 4개의 중기능을 사용하고 있으며, 명칭은 1) 건설건축기획 및수행, 2) 건설및건축지도감독, 3) 건설및건축지원, 4) 건설장비자재관리로 7개 도 모두 동일하고, 경남은 4) 건설장비자재관리, 전남은 1) 건설건축기획및수행이 없다. 각 도별로 『기록관리기준표』의 제개정 현황과 단위과제 명과 단위과제ID를 검토하여 중복을 정리한 결과, 소기능은 경남이 26개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제주가 13개로 가장 적게 사용하고 있다.
  • 대기능 ‘건설건축’은 도별로 건설건축과 관련된 상위 조직인 실·국에서 담당하는 기능이며, 하위 레벨인 중기능은 건설건축의 업무부서인 과․팀이 수행하는 기능이다. 2015년 2월 기준으로 대기능 ‘건설건축’ 아래 1) 건설건축기획 및수행, 2) 건설및건축지도감독, 3) 건설및건축지원, 4) 건설장비자재관리가 있다. 소기능은 건설건축 업무부서의 해당 업무담당자가 수행하는 기능으로 도 별로 운영하는 수는 차이가 있으나 동일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적합한 이유로는 단위과제 설명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해당 업무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고 보존기간과 보존기간 책정사유도 적합하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처리과 업무담당자들이 단위과제와 보존기간 책정에 충분히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고 『기록관리기준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해 없이 기술하는 현실에서 설계안이 처리과 업무담당자에게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을 책정하기 전 처리과의 업무담당자와 기록연구사가 협의하여 보존기간을 책정하고 보존기간이 적절한지에 대해 관련 법령이나 지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물분류기준표 는 기록의 생산, 등록, 활용, 처리, 보존까지 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대해 관리하는 평가도구이지만 내재된 문제는? 기록물분류기준표 는 기록의 생산, 등록, 활용, 처리, 보존까지 기록의 생애주기 전체에 대해 관리하는 평가도구이다. 그러나 체계적인 업무기능 분석 없이 제정되었고, 출처의 원칙에 입각하여 처리과별로 업무를 구분하여 기록물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기관 및 부서별 기능 연계가 미흡하며 기록관리담당자 등 소수의 인원이 기관 전체의 모든 행정업무에 대한 단위업무 및 보존기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국가기록원 2009). 이에 정부기능분류체계와 기록물분류체계를 통합하고『기록물분류기준표』를 대신하기 위해 새로운 기록관리체계로『기록관리기준표』가 등장하게 되었다.
공공기록물의 존재의의는? 공공기록물은 정부기관에서 생산된 기록물이자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 행위의 결과물로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업무가 언제, 어떻게, 왜, 누구에 의해 수행되었는지를 보여주며 귀중한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까지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이하 시행령)』에서는 공공기관은 업무과정에 기반하여『기록관리기준표』를 작성하고『기록관리기준표』는 정부기능분류체계의 단위과제별로 작성하되 공공기관별로 공개여부와 접근권한 등을 달리하며, 공공기관이 정부분류체계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관할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별도의 기능분류방식을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건설건축’을 선정한 이유는? 9개 도를 선정한 이유는 지자체 중에서 현재 공고 및 고시를 통해 기록 관리기준표 를 공개하고 있고, 기관의 규모나 운영방식이 유사하여 단위과제와 보존기간의 비교분석 결과를 명확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건축’을 선정한 이유는 이 기능이 조직이나 인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도에서 핵심적으로 수행되는 대표적인 행정 업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실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위과제 및 보존기간과 함께 지자체『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원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5]. . 

  2. 경기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27]. . 

  3. 경상남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10]. . 

  4. 경상북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20]. . 

  5.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14.11.19. 법률 제12844호]. 

  6.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5.03.03. 대통령령 제25985호]. 

  7. 곽정. 2006. 행정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 개선모델 분석. "기록학연구", 14: 153-190. (Kwag, Jeong. 2006. "Analysis of Reform Model to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Public Institu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4: 153-190.) 

  8.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3.5]. . 

  9.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2.8]. . 

  10. 김대기. 2006. 강원도청 기록물 폐기실태 및 개선방안. "강원문화사연구", 11(-): 77-102. 

  11. 김화경, 김은주. 2014. BRM 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Kim, Hwa Kyoung and Eun Ju Kim. 2014. "Business Transaction Preparation Plan for Business Reference Model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4): 199-219.) 

  12. 류신애, 이승휘. 2010. 공공기록물 재평가 제도 보완 방안. "기록학연구", 24: 41-71. (Ryoo, Sinae and Seung Hwi Lee. 2010. "Complementary Methods of the Records Reappraisal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4: 41-71.) 

  13. 마원준. 2004. 한국 개(個) 교회기록물의 기능분류 방안. "기록학연구", 10: 145-197. (Ma, Won jun. 2004. "A Study Constructing a Function-Based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Individual Church."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145-197.) 

  14. 배대식. 2004. "대학기록관리를 위한 업무분류표 개발 및 활용 방안".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 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Bae, Dae Sik. 2004.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usiness Classification Schemes for University Record Management.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Myongji University, Dept. of Archival Science.) 

  15.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Seol, Moon won. 2013. "A Study on Problems of the Public Records Appraisal System Based on the Value of 'Business Transaction' and Application of a Multi-appraisal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231-254.) 

  16. 이소연, 오명진. 2005. 기록관리를 위한 업무분석 방법론 연구: 호주표준 As 5090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2: 3-35. (Lee, Soo Yeon and Myung Jin Oh. 2005. "A Study on the Work Process Analysis Methodology for Record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2: 3-35.) 

  17. 이승억. 2006. 공공기록에 대한 '거시평가(Macroappraisal)' 적용 시론. "기록학연구", 14: 119-152. (Lee, Seung Eok. 2006. "The Performance Model of Macroappraisal for Appraisal of Public Record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4: 119-152.) 

  18. 이승억. 2014. 동시대의 기록화를 지향한 보존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제언. "기록학연구", 42: 185-211. (Lee, Seung Eok. 2014. "Archival Appraisal Strategy and Policy for Documentation of Contemporary Societ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2: 185-211.) 

  19. 이영숙. 2004. 호주의 레코드키핑 시스템에 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76-90. (Lee, Young Sook. 2004. "A Study on Recordkeeping System in Austral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4(2): 76-90.) 

  20. 이영숙. 2005. "NGO 기록의 분류방안".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Lee, Young Sook.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chemes for NGO Record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Myongji University, Dept. of Archival Science.) 

  21. 이영숙, 천권주. 2006. 공공기관 기록관리 평가제도 도입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27-56. (Lee, Young Sook and Kwon Ju Cheon. 200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Government Agencies' Records Management Assess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27-56.) 

  22. 이원영, 임효정. 2006. 장기보존기록물 선별을 위한 업무분석적 평가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3(3): 187-204. (Lee, Won Young and Hyo Jung Lim. 2006. "Appraisal Methods based on Business Analysis for Selecting Permanent Archives: Focused on National Assemb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3): 187-204.) 

  23. 전라남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6]. . 

  24. 전라북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12]. . 

  25. 정부 3.0 대한민국정보공개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15]. . 

  26.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22]. . 

  27. 최관식. 2006. 업무기능에 기반한 기록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7-85. (Choi, Kwan Sik. 2006. "A Methodology of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Based on Function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57-85.) 

  28. 최윤정, 남태우. 2012. 학교기록물의 보존기간 적합성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17-142. (Choi, Youn Jeong and Tae-Woo Nam. 2012. "A Study on the Relevance of Retention Period for School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17-142.) 

  29. 최재희. 201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Choi, Jae Hee. 2014. "A Survey on Archival Appraisal System and Practice in Korea as Well as Its Mod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4): 153-175.) 

  30. 충청남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15]. . 

  31. 충청북도청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1.18]. . 

  32.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Dictionary of Records and Archival Terminology.) 

  33. 한국기록관리학회. 2010.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The Science of Evidence & Memory". 개정판. 서울: 아세아문화사. (Korean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2010.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The Science of Evidence & Memory.) 

  34. 행정자치부. 2008. "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 소개". 서울: 행정자치부. 

  35. 행정자치부. 2009. "국가기록원 40년사". 대전: 국가기록원. 

  36.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2.12]. . 

  37. Cook, Terry. 2005. "Macroappraisal in Theory and Practice: Origins,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in Canada, 1950-2000." Archival Science, 5(2-4): 101-161. 

  38. Cunningham, Adrian & Robyn Oswald. 2005. "Some Functions are More Equal than Others: The Development of A Macroappraisal Strategy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Archival Science, 5(2-4): 163-184. 

  39. Schellenberg, Theodore R. and 이원영. 2002. "현대기록학개론. 기록학번역서". 서울: 진리탐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