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on which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aiming to obtain new ideas for planning Korean middle school facilities. Fourteen case schools built after 1990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divid...
This study review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on which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aiming to obtain new ideas for planning Korean middle school facilities. Fourteen case schools built after 1990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learning-living space and other major spaces.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case sch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as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departmentalized classroom type (D type) and usual with variation type (UV type) by school system. These categories can also b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bas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learning and living space of case schools. 2) D type case schools have departmentalized classrooms, home base, media space and teacher's space for learning-living space. D type case schools are divided into 'attached-to-classroom type' and 'separate type' depending on the adjacency of the home base and departmentalized classroom. 3) UV type case schools have multipurpose space around the classroom for learning-living spac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e., 'directly adjacent' and 'separate', depending on the connectivity to classroom of multipurpose room. 4) Specialized classrooms are designed to have the openness to the public and the own characteristics of school subjects strengthened and show the spatial differentiation with connected ancillary spaces. 5) Libraries are designed as complex zones grouped with computer labs, audio visual rooms and multipurpose halls not as a single room and as open plan not with a closed wall. 6) The gymnasium is the basic sports facility with a martial arts room and outdoor pool, which are for after-school activities as well as physical education class. 7) The terrace, balcony and outdoor stairs are frequently used architectural vocabularies as diverse outdoor space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This study review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on which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aiming to obtain new ideas for planning Korean middle school facilities. Fourteen case schools built after 1990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learning-living space and other major spaces.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case sch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as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departmentalized classroom type (D type) and usual with variation type (UV type) by school system. These categories can also b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bas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learning and living space of case schools. 2) D type case schools have departmentalized classrooms, home base, media space and teacher's space for learning-living space. D type case schools are divided into 'attached-to-classroom type' and 'separate type' depending on the adjacency of the home base and departmentalized classroom. 3) UV type case schools have multipurpose space around the classroom for learning-living spac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e., 'directly adjacent' and 'separate', depending on the connectivity to classroom of multipurpose room. 4) Specialized classrooms are designed to have the openness to the public and the own characteristics of school subjects strengthened and show the spatial differentiation with connected ancillary spaces. 5) Libraries are designed as complex zones grouped with computer labs, audio visual rooms and multipurpose halls not as a single room and as open plan not with a closed wall. 6) The gymnasium is the basic sports facility with a martial arts room and outdoor pool, which are for after-school activities as well as physical education class. 7) The terrace, balcony and outdoor stairs are frequently used architectural vocabularies as diverse outdoor space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았던 일본 중학교 건축에 주목하여 최근 사례들을 대상으로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수가 많지 않았음에도 분석대상 학교들에서 다양한 건축적 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시도들은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안 방법
본 절에서 살펴볼 교육 및 생활 공간은 교실과 교실주변 공간 그리고 교과교실형 학교에 설치되는 홈베이스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석대상 학교들의 교육 및 생활공간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 교실형과 특별교실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단 특별교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므로 통합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사례들은 각종 문헌에 소개된 학교들 중 1990년대 이후 준공된 최근 사례들로 학년 당 3학급 이상 전체 9학급 이상의 중규모 학교들이다. 또 분석대상 사례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보편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라기보다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계획개념이 분명한 학교들을 선별하였다.
학교 운영방식을 보면 분석대상 14개교 중 교과교실제로 계획된 학교는 8개교이며 특별교실형 학교는 6개교이다. 이는 건축물 준공 당시의 시점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교과교실제로 변경될 경우를 고려하였거나(이와야중), 교과교실제로 계획 중 실행 단계에서 특별교실형으로 변경된 경우(야마시타 중), 또 현재는 교과교실제를 운영하지 않지만 준공 당시 시점에는 교과교실제로 계획된 사례(이와데야마 중) 등이 있어 준공 당시의 시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성능/효과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이 때 학생들의 생활영역인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주출입구 부근이나 학교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은 옥내 체육관을 기본으로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이 함께 계획되며 이는 체육 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측면도 크다.
후속연구
본 연구는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았던 일본 중학교 건축에 주목하여 최근 사례들을 대상으로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수가 많지 않았음에도 분석대상 학교들에서 다양한 건축적 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시도들은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특성들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검토하지 못했으며 이 때문에 이러한 계획특성들을 어떻게 국내 학교 건축에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사례수가 많지 않았음에도 분석대상 학교들에서 다양한 건축적 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시도들은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특성들이 나타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검토하지 못했으며 이 때문에 이러한 계획특성들을 어떻게 국내 학교 건축에 수용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이는 후속 연구로 미룬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례대상의 절반 이상의 학교에서, 도서실이라는 실명 대신에 사용하고 있는 용어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사례대상 교들 중 절반의 학교들이 ‘도서실’이라는 실명 대신 ‘미디어 센터(media center)’, ‘리소스 센터(resource center)’, ‘러닝 센터(learning center)’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관리하는 매체와 담당하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학교 도서실이 학교 내 모든 정보와 교육지원의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중학교 건축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배경은 무엇인가?
따라서 이런 학생들이 교육받고 생활하는 중학교는 그만큼 시설계획에서도 많은 고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또 2009년부터 교육부에서 추진했던 교과교실제나 2013년 현 정권 출범 이후 추진 중인 자유학기제 등 학교 건축의 변화를 촉발하는 정책들은 중학교 건축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도서실’이라는 실명 대신의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례대상 교들 중 절반의 학교들이 ‘도서실’이라는 실명 대신 ‘미디어 센터(media center)’, ‘리소스 센터(resource center)’, ‘러닝 센터(learning center)’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관리하는 매체와 담당하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학교 도서실이 학교 내 모든 정보와 교육지원의 중심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서실의 성격을 보여주듯 도서실의 위치는 1층 주출입구에 인접한 사례가 14개 학교 중 9개 학교로 가장 많으며 나머지 사례 학교들도 1개 사례(이와데야마 중, 최상층의 독립된 위치에 배치)를 제외하면 모두 학교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참고문헌 (9)
Portal Site of Official Statistics of Japan, http://www.e-stat.go.jp/SG1/estat/eStatTopPortalE.do
Kazuyoshi, Yashiki, "Changes in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17 no 4, p49, 2010. 0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