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초를 혼합한 과채주스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vitro 원문보기

KSBB Journal, v.31 no.1, 2016년, pp.8 - 13  

김민주 ((주)휴롬 바이오식품연구소) ,  임상욱 ((주)휴롬 바이오식품연구소) ,  안혜진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전정귀 (인제대학교 식의약생명공학부) ,  강민정 ((주)휴롬 바이오식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an cause hangover symptoms, such as headache, drowsiness, dizziness, gastrointestinal distress, and anx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vegetable juices containing Angelica keisk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이 높은 재료를 선별하고 혼합주스를 제조한 후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 및 알코올 대사 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 제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속 착즙 방법으로 혼합한 채소·과일 혼합주스의 항산화능 및 알코올 대사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 혼합과채주스의 숙취개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재료를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혼합과채주스를 제조한 후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저속착즙한 9종의 채소·과일주스의 알코올분해효소 및 알데하이드 분해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 구의 흡광도 값이 100%일 때 신선초주스, 방울토마토주스, 청포도주스가 100% 이상의 ADH 및 ALDH 활성을 나타내어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의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요소는?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alcohol dehydrogenase (ADH) 체계, microsomal ethanol oxidation system (MEOS) 체계, catalase 체계의 효소계가 관여한다. 간으로 흡수된 에탄올의 80~90%는 ADH 체계가 작용하여,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되고 다시 AL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을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는 요와 이산화탄소로 배설된다 [4].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어떤 과정을 가지는가?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alcohol dehydrogenase (ADH) 체계, microsomal ethanol oxidation system (MEOS) 체계, catalase 체계의 효소계가 관여한다. 간으로 흡수된 에탄올의 80~90%는 ADH 체계가 작용하여,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되고 다시 AL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을 형성한 후 최종적으로는 요와 이산화탄소로 배설된다 [4]. 하지만 과음이나 만성적인 음주 상태에서 흡수된 에탄올의 10~20%는 MEOS 체계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코올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있다 [5].
알코올 대사에 의해 생성된 자유라디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하지만 과음이나 만성적인 음주 상태에서 흡수된 에탄올의 10~20%는 MEOS 체계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코올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있다 [5]. 알코올 대사에 의해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항산화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쳐 DNA 변이, 발암, 노화, 동맥경화, 급만성 알코올 독성을 일으키고, 간 손상을 가중시키며, 산화 스트레스는 간 염증 및 섬유증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신체적 문제를 야기한다 [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Cheongju, Korea.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stat. http://www.oecd.org. (2014).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The current status and cause of the addiction problem, Health welfare policy forum 6: 30-42, Sejong, Korea. 

  4. Gill, K., Z. Amit, and B. R. Smith (1996) The regulation of aldehyde consumption in rats: the role of alcohol-metabolizing enzymescatal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lcohol 13: 347-353. 

  5. Lieber, C. S. and L. M. Decarli (1970) Hepatic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In vitro characteristics and adaptive properties in vivo. J . Biol. Chem. 245: 2505-2512. 

  6. Pemberton, P. W., A. Smith, and T. W. Warnes (2005) Non-invasive monitoring of oxidant stress in alcoholic liver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40: 1102-1108. 

  7. Albano, E. (2002) Free-radicals and alcohol-induced liver injury. pp. 153-190. In: Sherman CDIN, Preedy VR, Walsin PR (ed). Ethanol and liver. Taylor and Francis, London, UK. 

  8. Swift, R. and D. Davidson (1998)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 54-60. 

  9. Chu, L. Y., Y. S. Nam, S. I. Cho, S. H. Yim, Z. C. Chung, J. S. Bang, U. D. Sohn, J. M. Kim, M. S. Kim, K. H. Koo, Z. C. Chung, and J. H. Jeong (2010) Effects of Curcuma long gum preparation on the blood alcohol level and hangover. Korean J. Clin. Pharm. 20: 1-8. 

  10. Kang, B. K., S. T. Jung, and S. J. Kim (2002)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44-248. 

  11. Lee, H. S., T. Isse, T. Kawamoto, H. W. Baik, J. Y. Park, and M. Yang (2013) Effect of Korean pear (Pyruspyrifolia cv. Shingo) juice on hangover severity following alcohol consumption. Food Chem. Toxicol. 58: 101-106. 

  12. Cho, E. K., H. E. Cho, and Y. J. Choi (2010)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pha}$ -glucosidase,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55-661. 

  13. Park, E. M., E. J. Ye, S. J. Kim, H. I. Choi, and M. J. Bae (2006)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J. Korean Soc. Food Cult. 21: 71-75. 

  14. Kim, D. H., D. S. Kim, and J. W. Choi (1994) The effect of puffer fish extract on the acetaldehyde metabolism in rat. J. Korean Soc. Food Nutr. 23: 187-191. 

  15. Noh, K. H., J. H. Jang, J. J. Kim, J. H. Shin, D. K. Kim, and Y. S. Song (2009)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83-693. 

  16. Kang, S. G., K. S. Ham, I. C. Kim, S. J. Kim, and H. L. Kim (2006) The effec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prevention and functionality in Haliotis discus hannai. Abalone Functionality Report. Chonranam-Do, Korea. 

  17. Blandino, A., I. Caro, and D. Cantero (1997) Comparative study of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flor yeast extracts. Biotechnol. Lett. 19: 651-654. 

  18. Bostian, K. A. and G. F. Betts (1978) Rapid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potassium-activated aldehyde dehydrogen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iochem. J. 173: 773-786. 

  19. Folin, O. and W. Dennis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2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s. Nature 181: 1199-2000. 

  21. Hwang, J. Y., J. W. Ham, and S. H. Nam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22. Cho, E. K. and Y. J. Choi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J. Life Sci. 20: 1675-1682. 

  23. Sung, H. M., H. J. Jung, S. G. Yun, T. Y. Kim, G. Y. Kim, and J. Y. Wi (2014) Effect of a soy-sprout beverage prepared with high-concentrated oxygen water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16-621. 

  24. Park, S. C. (1993)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Korean J. Biochem. 25: 137-143. 

  25. Cha, J. Y., H. J. Jung, J. J, Jung, H. J. Yang, Y. T. Kim, and Y. S. Lee (2009) Effects of amino acids on the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J. Life Sci. 19: 1321-1327.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9) Food value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27. Magonet, E., P. Hayen, D. Delforge, E. Delaive, and J. Remacle (1992) Importance of the structural zinc atom for the stability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Biochem. J. 287: 361-365. 

  28. Kim, A. Y., S. M. Jeon, Y. J. Jeong, Y. B. Park, U. J. Jung, and M. S. Choi (2011) Preventive effects of lycopene-enriched tomato win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igh fat diet-fed rats. J. Food Sci. Nutr. 16: 95-103. 

  29. Guest, J., G. J. Guillemin, B. Heng, and R. Grant (2015) Lycopene pretreatment ameliorates acute ethanol induced NAD(+) depletion in human astroglial cells. Oxid. Med. Cell. Longev. 2015:741612. 

  30. Urquiaga, I. and F. Leighton (2000)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 55-64. 

  31. Arranz, S., G. Chiva-Blanch, P. Valderas-Martinez, A. Medina-Remn, R. M. Lamuela- Ravents, and R. Estruch (2012) Wine, beer, alcohol and polyphenols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Nutrients 4: 759-781. 

  32. Li, L., G. Aldini, M. Carini, C.-Y. O. Chen, H. K. Chun, S. M. Cho, K. M. Park, C. R. Correa, R. M. Russell, J. B. Blimberg, and K. J. Yeum (2009) Characterisation, extraction efficiency,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ytonutrients in Angelica keiskei. Food Chem. 115: 227-232. 

  33. Kim, D. W., M. J. Curtis-Long, H. J. Yuk, Y. Wang, Y. H. Song, S. H. Jeong, and K. H. Park (2014)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metabolites from different parts of Angelica keiskei by HPLC-ESI MS/MS and their xanthine oxidase inhibition. Food Chem. 153: 20-27. 

  34. Koop, D. R. (2006) Alcohol metabolism’s damaging effects on the cell. Alcohol Res. Health 29: 274-280. 

  35. Wu, D. and A. I. Cederbaum (2003) Alcohol, oxidative stress, and free radical damage. Alcohol Res. Health 27: 277-284. 

  36. Floegel, A., D. O. Kim, S. J. Chung, S. I. Koo, and O. K. Chun (2011) Comparison of AV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 1043-1048. 

  37. Gil, M. I., F. A. Tomas-Barberan, B. Hess-Pierce, and A. A. Kader (2002) Antioxidant capacities, phenolic compounds, carotenoids, and vitamin C contents of nectarine, peach, and plum cultivars from California. J. Agric. Food Chem. 50: 4976-4982. 

  38. Choi, M. H., M. J. Kim, Y. J. Jeon, and H. J. Shin (2014) Quantitative change of fresh vegetable and fruit juice by various juicers. KSBB J. 29: 145-1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