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1, 2016년, pp.61 - 87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한영선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having a family care program in the workplace for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ffects these women's work and family life. This study employs a panel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major r...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어린 자녀를 둔 직장여성들이 사업장에서 육아휴직제도나 어린이집 등을 이용하여 일-가정 양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적 돌봄제도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맞벌이 여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는 어린 자녀를 둔 취업여성들이 육아를 위해 일자리에서 물러나게 되거나 육아에 보다 용이한 직장으로 이직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어린 자녀를 둔 직장여성들이 사업장에서 육아휴직제도나 어린이집 등을 이용하여 일-가정 양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적 돌봄제도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현재 제도적 차원에서 자녀돌봄을 위한 가족친화제도들(육아휴직제도, 직장어린이집, 육아기근로시간 단축제도, 보육비지원 등)이 마련되어 있다. | |
여성들의 이직의향이나 일-가정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인은 무엇인가? | 기존 연구들의 경우 여성 개인특성 중 직종, 고용형태, 여성 시간당 임금 등이 여성들의 이직의향이나 일-가정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변인으로 보고하고 있다(정수인, 2006; Sandra, & Nancy, 2000; Frye & Breaugh, 2004; Hill, 2005). 일하는 여성들의 직종, 고용형태, 임금 등에 따라 어린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들이 자녀돌봄에 필요한 이용가능한 자원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직장일이 가정생활에 또는 가정생활이 직장일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 |
Crouter, Jennifer와 Valerie의 연구에서 취학전 어린자녀 어머니들의 일-가정간 부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나? | Crouter(1984)는 5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한 인터뷰를 통한 연구에서 어린 자녀를 둔 여성들의 경우 자녀로 인해 가족생활이 직장일에의 갈등을 남성들보다 더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 하였고, Jennifer와 Valerie(1992)의 연구에서 전일제 근로자들의 직장일이 가족생활에의 갈등에 대한 미취학자녀의 존재 변인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효선과 차운아(2010) 역시 실증연구를 통해 취학전 어린자녀의 존재가 직장인들의 가족생활이 직장일에의 갈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변인임을 검증하였다. |
김선희(2010). 공공조직에서 여성의 일-가정갈등(WFC)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48(1), 171-196.
김영지(2011). 미취학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근로자의 일.가족 촉진과 갈등 및 직무 만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조.이유진(2012)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의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9(3), 71-99.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行政論叢, 50(4), 251-280.
김효선.차운아(2008). 여성관리자의 개인적 상황과 직장상황이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고용노동부(2015). 고용보험통계연보.
권혜원.권순원(2013)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23(3), 89-117.
민인식.최필선(2009).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 한국STATA학회.
박기남(2009).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 연구. 한국여성학, 25(2), 37-70.
안은정.신은종(2010) 일-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재무성과와 여성의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20(4), 177-216.
이민우.이영진.한재창(2008). 가족친화제도 도입을 결정하는 선행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8(4), 183-214.
이수광(2007). 호텔종업원의 직장-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2(3), 205-218.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18(3), 639-657.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2), 35-59.
여성가족패널 http://klowf.kwdi.re.kr/intro.do?methodgoIntro
원숙연(2012). 취업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을 둘러싼 개인-조직-정책의 역학. 정부학연구, 18(3), 267-295.
원숙연(2015). 기혼 취업여성이 인식하는 일-가정 상호작용과 영향요인의 차별성. 한국정책학회보, 24(2), 309-334.
문영주(2013). 기혼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양립에 관한 연구: 일-가족양립의 긍정적 전이, 비대칭성, 차별적 기능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81-102.
정수인(2006).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영순.어윤경.최인선(2012). 전일제와 시간제 기혼 취업여성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39(3), 91-115.
통계청(2015a).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2015b). 지역별고용조사.
Aminah, A. & Zoharah. O.(2010) Perceived family-supportive work culture,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Journal of American Science, 6(12), 839-846.
Alan, L. S., Yuan, T. & Grace, H. S.(2001).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attitudes of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52?467.
Blau, D. M. & Robins, P. K.(1988). Child-care costs and family labor supply.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0(3), 374-381.
Charles, M., Philip, P.K. & Irwin, G.(1992). A structural model of labor supply and child care demand.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7(1), 166-203.
Crouter, A. C.(1984).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Human Relations, 37(6), 425- 441.
Frye, N. K. & Breaugh, J. A.(2004).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9(2), 197-220.
Hill, E. J.(2005). Work-family facilitation and conflict, working fathers and mothers, work-family stressors and support. Journal of Family Issues, 26(6), 793-819.
Jennifer, G. & Valerie, C.(1992).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tibil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8(1), 131-151.
Jennifer, W. & Phyllis, J.(1995). The impact of workplace support on work-family role stra in. Family Relations, 44(2), 163-169.
Kimmel, J.(1998). Child care costs as a barrier to employment for single and married mother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0(2), 287-299.
Marni, E. & Melissa, D.(1996).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Public Adm inistration Review, 56(2), 174-179.
OECD(2014). Female employment rate www.oecd.org/social/family/database.
Sandra, H. & Nancy, C.(2000) Child care and employment turnover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19(4), 357-395.
Voydanoff, P.(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398-412.
Voydanoff, P.(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0(3), 749-761.
Wayne, J. H., Musisca, N. & Fleeson, W.(2004) Consider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family experience : Relationships of the big five to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1), 108-13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