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밀 지오이드 및 조석모델을 활용한 안면도 지역의 높이기준면 변환 연구
Height Datum Transformation using Precise Geoid and Tidal Model in the area of Anmyeon Island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1, 2016년, pp.109 - 119  

노재영 (부경대학교 수로학연협동과정) ,  이동하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용철 (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수직체계는 육상과 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기준면을 채용하고 있어, 국가 전체에 걸쳐 일관되고, 정확한 높이정보를 취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지오이드모델과 조석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육상과 해상 높이기준면에 따라 별도 구축된 공간정보를 단일한 높이기준면 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안면도 일원을 선정하고,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육상 및 해상 높이기준면 기반의 정밀지오이드모델을 각각 개발하였다. 지오이드모델 개발은 R-R 기법을 통한 중력지오이드모델 계산 후 대상지역 내 BM 및 TBM에 대하여 수행된 총 15점의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육상 및 해상 기준 합성지오이드모델로 적합(fitting)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두 합성지오이드모델 간의 편차를 계산하여 인천만 평균해면(IMSL)과 지역별 평균해면에서 지역별 약최고고위면(AHHW)과 약최저저조면(DL) 간의 변환에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개발한 조석보정체계(TideBed System)의 등조차모델을 지오이드모델과 동일한 격자간격으로 재격자화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면도 지역의 높이기준면 변환 모델의 정확도는 약 ${\pm}3cm$ 정도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의 활용 시 다양한 높이측량 성과들을 인천만 평균해면 혹은 지역별 조석기준면 상 높이로 간편 정확하게 변환할 수 있어, 육 해상 높이기준면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 공간정보의 연계 시 높이 불일치로 인한 혼란과 공간정보를 활용한 연안지역 개발 및 해양방재 수행 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ight datum of Korea is currently separated into land and sea,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quire homogeneous and accurate height information throughout the whole nation. In this study, we therefore tried to suggest the more effective way to transform the height information were constructed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안면도 지역의 육·해상 높이기준면의 정밀한 변환을 위하여 육상 및 해상 기준의 합성지오이드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안면도 지역의 육·해상 높이 기준면 간의 차이(즉, 합성지오이드고 차이)를 결정하여 향후 이 지역 공간정보의 원활한 통합을 지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지오이드모델과 조석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육상과 해상 높이기준면에 따라 별도 구축된 공간정보를 단일한 높이기준면 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안면도 일원을 선정하고,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육상 및 해상 높이기준면 간의 변환모델을 각각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은 서로 다른 높이기준면에 기반한 육상과 해상의 높이성과를 연구대상지역 내에서 균질하고, 정확하게 변환하는 것에 있다. 육상의 높이는 IMSL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해상의 높이는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면을 사용하고 있다.
  • 여기서는 안면도 지역의 육·해상 합성지오이드모델 간의 편차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안면도 지역 일원에서의 IMSL과 LMSL 차이를 결정하고자 한다.
  • 조석관측은 안면도 지역의 LMSL 및 AHHW(약최고고조면), LDL(약최저저조면)과 같은 각 해상 높이기준 면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역 내 조위의 변화가 심한 천수만에 7점, 안면도 외측 및 호도, 외연도 등 도서부에 8점 총 15점을 관측지점 으로 선점하였고, 4월 11일부터 6월 4일까지의 기간 중 30주야에 해당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안면도 지역 조석의 기준면 결정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수준측량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반면에 해양수준측량(Oceanographic Leveling)은 바다로 가로막힌 경우에도 높이기준면 간의 차이를 결정하기에는 적합하지만(Ekman, 1999), 관측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문제가 있다(Rummel, 2000). GPS/ Leveling 방법의 경우에도 두 높이기준면 간의 높이차이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GPS/Leveling을 적용 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지오이드모델이 관측정확도를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Lee and Auh, 2015).
국내 국가수직기준체계는 어떤 높이기준 면을 채용하고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수직기준체계는 두 가지 형태의 높이기준 면을 채용하고 있다. 하나는 육상지역에서 사용되는 높이기준면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수준점(Bench Mark; BM) 높이성과의 기준이 되는 인천만의 평균해면(Incheon Mean Sea Level; IMSL)이며, 다른 하나는 해상지역에서 활용되는 것으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기본수준점(Tidal Bench Mark; TBM) 높이성과의 기준이 되는 지역별 조석의 기준면 (Local Tidal Level)이다(Lee et al., 2013).
높이기준면이란 무엇인가? 높이기준면은 다양한 공간정보에 포함된 높이정보의 기준이 되는 면으로,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조석관측을 통해 산출한 장기간의 평균해면을 통해 결정된다. 이러한 높이기준면에 기준한 높이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 국토에 균일하게 분포된 높이기준점을 설치하고, 각 기준점의 높이성과를 국가에서 고시 및 관리하고 있는데, 이를 통칭하여 국가수직기준체계라고 한다(Kuroish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ante, C. and Eakins, B. W., 2009, ETOPO1 1 Arc-Minute Global Relief Model: Procedures, Data Sources and Analysis, NOAA Technical Memorandum NESDIS NGDC-24. 

  2. Amos, M. J. and Featherstone, W. E., 2009, Unification of New Zealand's Local Vertical Data: Iterative Gravimetric Quasigeoid Computations, Journal of Geodesy, Vol. 83, pp. 57-68. 

  3. Ardalan, A. A. and Safari, A., 2005, Global Height Datum Unification: A New Approach in Gravity Potential Space, Journal of Geodesy, Vol. 79, pp. 512-523. 

  4. Choo, H. S. and Kim, D. S., 2013, Tide and Tidal Currents Around the Archipelago o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6, pp. 582-596. 

  5. Ekman, M., 1999, Using Mean Sea Surface Topography for the Determination of Height System Differences across the Baltic Sea, Marine Geodesy, Vol. 22, pp. 31-35. 

  6. Featherstone, W. E., 2000, Towards Unification of the Australian Height Datum between the Australian Mainland and Tasmania using GPS and the AUSGeoid98 Geoid Model, Geomat Res Australas, Vol. 73, pp. 33-54. 

  7. Forsberg R., 1984, Terrain Corrections for Gravity Measurement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gary, Canada. 

  8. Forsberg, R., Tscherning, C. C. and Knudsen, P.,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Geodetic Gravity Field Modelling Programs, Danish National Space Center, Denmark. 

  9. Heiskanen, W. A. and Moritz, H., 1967, Physical Geodesy, W.H. Freeman and Co, USA. 

  10. Hipkin, R. G., 2002, Vertical Datum defined by Wo Uo: Theory and Practice of a Modern Height System, Proc. of 3r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avity and Geoid Commiss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Thessaloniki, Greece, pp. 26-30. 

  11. Huang, H., Yun, H. S., Lee, D. H. and Jeong, T. J., 2009, Accuracy Analysis of Ultra-high degree Earth Gravitational Model EGM2008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1D, pp. 161-166. 

  12. Jekeli, C., 2003, On Monitoring a Vertical Datum with Satellite Altimetry and Water-level Gauge Data on Large Lakes, Journal of Geodynamics, Vol. 77, pp. 447-453. 

  13. Kim, Y. H., Huh, R., Han, J. S. and Lee, C. H., 2013, A Study on Improvement of Automatic Tide Correc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Hydrography, Vol. 2, No. 1, pp. 127-135. 

  14. Korean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2015,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ideBed System, Technical Report. 

  15. Kuroishi, Y., Ando, H. and Fukuda, Y., 2002, A New Hybrid Geoid Model for Japan, GSIGEO2000, Journal of Geodesy, Vol. 76, pp. 428-436. 

  16. Lee, D. H., 2008, Development of High-Precision Hybrid Geoid Model in Korea, Doctoral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17. Lee, D. H., Yun, H. S., Hwang, J. S. and Suh, Y. C., 2012, Transformation Model of Vertical Datum between Land and Ocean Height System using the Precise Spirit Leveling Res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4D, pp. 407-419. 

  18. Lee, D. H., Yun, H. S., Jung H. I., Cho, J. M., Cho, J. H., Jung W. C. and Hwang, J. S., 2013, Transformation of Vertical Datum Surface in the Coastal Area using Hybrid Geoid Model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No. 65, pp. 1427-1432. 

  19. Lee D. H., Yun, H. S. and Suh Y. C., 2011, Comparison between FFT and LSC Method for the Residual Geoid Height Model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2D, pp. 323-334. 

  20. Lee, S. B. and Auh, S. C., 2015, Accuracy Analysis of GPS Ellipsoidal Height Determ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ing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3, No. 4, pp. 67-74. 

  21. Lee, S. B., Kim, J. S. and Kim, C. Y., 2008, Evaluation of EGM2008 Earth Geopotential Model using GPS/level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6, No. 3, pp. 117-126. 

  22. Nikolaidis, R., 2002, Observation of Geodetic and Seismic Deformation wit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23. Pavlis, N. K., Holmes, S. A., Kenyon, S. C. and Factor, J. K., 2008, An Earth Gravitational Model to Degree 2160: EGM2008, Proc. of the ed. at the 2008 General Assembly of 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European Geosciences Union, Vienna, Austria, pp. 13-18. 

  24. Rapp, R. H., 1995, A World Vertical Datum Proposal. Allgemeine Vermessungs-Nachrichten, Vol. 102, pp. 297-304. 

  25. Rummel, R., 2000, Global Unification of Height Systems and GOCE, In: Sideris, M. G. (e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Symposia: Gravity, Geoid and Geodynamics 2000,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Vol. 123, pp. 15-20. 

  26. Sacerdote, F. and Sanso, F., 2001, W0: A Story of the Height Datum Problem, In: Wiss. Arbeiten der Fachr. Vermessungswesen der Univ. Hannover Nr. 241, University of Hannover, Germany. 

  27. Yun, H. S., 1999,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by spherical FFT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Earth Planets and Space, Vol. 51, pp. 13-18. 

  28. Zhang, L., Li, F., Chen, W. and Zhang, C., 2009, Height Data Unification between Shenzhen and Hong Kong using the Solution of the Linearized Fixed-Gravimetric Boundary Value Problem. Journal of Geodesy, Vol. 83, pp. 411-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