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작용제 해독제 의약품 품목허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FDA Approval of Medical Treatments against Nerve Agent Poisoning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9 no.1, 2016년, pp.119 - 126  

이근우 (삼양화학공업 기술연구소) ,  안서연 (삼양화학공업 기술연구소) ,  허병일 (삼양화학공업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 Army used MARK-1 composed of atropine autoinjector and 2-PAM autoinjector as a medical countermeasure against nerve agent poisoning. Recently, it has been being replaced by the ATNAA(Antidote Treatment Nerve Agent AutoInjector) for improvement the convenience in use and rapid detoxification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단일형 자동주사기가 군의 해독체계로서 전력화되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의약품품목허가를 획득하여야 하는데, 본고에서는 미국의 단일형 자동주사기인 ATNAA의 허가사례를 소개함으로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단일형 자동주사기의 국내 의약품 품목허가를 위해 필요한 자료의 범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약물의 유효성, 안전성 및 제제화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팀은 1987년 전력화되어 현재까지 한국군의 신경작용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는 KMARK-1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신속한 약물투여로 해독처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단일형 자동주사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단일형 자동주사기는 KMARK-1과 동일한 약물의 사용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였으며, 생산공정에 따라 두가지 약물을 순차적으로 충전함으로서 발생할 수 약물 간의 교차오염 가능성과 주사 방향에 따른 약물 투입량의 차이가 발생하는 미국의 신경작용제 해독제인 ATNAA의 단점을 보완하여 기능을 개선하였다.
  • 본 연구팀은 KMARK-1의 여러 가지 사용상의 제한 사항을 해결하고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기존의 KMARK -1을 대체하기 위한 단일형 자동주사기(Multi-chambered Single Autoinjector)를 개발하였다(Fig. 4).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단일형 자동주사기가 군의 해독체계로서 전력화되기 위해서는 식약처의 의약품품목허가를 획득하여야 하는데, 본고에서는 미국의 단일형 자동주사기인 ATNAA의 허가사례를 소개함으로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단일형 자동주사기의 국내 의약품 품목허가를 위해 필요한 자료의 범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 비록 동일한 약물을 사용한 자동주사기 일지라도 그 약물을 체내에 주입하는 방법이 다르다면 기존의 자동주사기와 동일한 효능을 나타냄을 증명하여야 의약품으로서 허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팀은 미국의 ATNAA 허가에 필요한 여러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단일형 자동주사기의 식약처 허가를 위해 수행되어야할 시험 및 자료의 범위를 설정하고,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연구활동의 기술적인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 주성분이 체내에 흡수되고 효력을 상실할 때까지 일련의 과정을 추적하여 그 결과를 기재한 문서이다. 동물을 이용한 효력시험, 약리시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시험 및 약물상호작용 등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다.
  • 주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최고 흡수농도 (Cmax) 및 이에 도달하는 시간(Tmax), 혈중농도-시간 사이의 면적(AUC) 값을 구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기재한 문서이다. 기존의 두 주사액을 시간 간격을 두어 순차적으로 투여하였을 때와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주성분의 Cmax 및 AUC 등의 변화를 임상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시험(실험 1)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인(organophosphate, OP) 계열의 신경작용제는 무엇이 있는가? GA(tarbun), GB(sarin), GD(soman), GF(cyclosarin) 및 VX(V-agent)는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맹독성의 유기인(organophosphate, OP) 계열의 신경작용제이다. 신경작용제는 신경 전달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acetylcholinesterase, AChE)의 활성자리인 serine hydroxyl기를 인산화(phosphorylation)하여 P-O-P 결합을 생성하고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의 가수분해 작용을 억제한다.
신경작용제의 중독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신경작용제의 중독증상은 크게 급성 콜린성 신경증상(acute cholinergic symptoms), 흥분성 뇌신경손상 (excitotoxic brain injuries), 심근손상(cardiomyopathy) 및지발성 다발성 신경염(organophosphate-induced delayed polyneuropathy, OPIDPN)등의 독성병리학적 형태로 나타난다. 이중 급성 콜린성 신경증상(acute cholinergic symptoms)은 신경조직과 근육에 널리 분포되어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신경계(pheripheral nerveous system, PNS)의 신경전달을 담당하는 물질인 아세틸콜린(ACh)의 가수분해를 촉매하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hE)의 비가역적 억제로 인해 아세틸콜린(ACh)이 시냅스(synapses), 신경-근접부(neuromuscular junctions) 및 신경-접합부(neuroglandular junctions)에 과도하게 축적되어 일어나는 것으로[2~4], 무스카린성 증상(muscarinic signs), 니코틴성 증상(nicotinic signs) 및 중추성 증상(central effects)으로 구분되며, 심한 경우 호흡곤란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5,6].
급성 콜린성 신경증상의 치료제로 군에서 사용하던 MARK-1 치료 킷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무엇인가? 급성 콜린성 신경증상(acute cholinergic symptoms)의 치료방법으로 미국에서는 아트로핀(At) 자동주사기 (NDA 17-103, 1973년) 및 팜(2-PAM) 자동주사기(NDA 18-986, 1964년)를 키트화한 MARK-1을 개발하여 운용 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해독처치를 위해서는 아트로핀(Atropine)과 팜(2-PAM)을 수분 이내 신속하게 투여하여야 하나, 기존의 MARK-1은 신경작용제 중독 시 2개의 자동주사기를 각각 투여해야하기 때문에 투여 시간 지연으로 인한 해독효과 저해 및 일부 신경계통이 손상된 환자가 조작이 번거로울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미 국무성 주도하에 MARK-1의 아트로핀 (At) 및 팜(2-PAM) 자동주사기를 1개의 자동주사기로 단일화한 ATNAA(Antidote Treatment Nerve Agent AutoInjector)를 개발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로 약칭) 허가(NDA 21-175, 2002)를 획득하여 MARK-1을 대체하고 있다 (Fig.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TS Lohmann Therapie-System AG(German), Prophylactic Transdermal Device Against Nerve Agent, White Paper, April, 2002. 

  2. Shih, T.-M., "Time Course Effects of Soman on Acetylcholine and Choline Levels in Six Discrete Areas of the Rat Brain," Psychopharmacology, Vol. 78, pp. 170-175, 1985. 

  3. Lim, D. K., Lee, Porter, A. B., Hoskins, B. Ho, I. K., "Changes in ACh Levels in the Rat Brain During Subacute Administration of Diisopropyl Fluorophosphate," Toxicol. Appl. Pharmacol., Vol. 90, pp. 477-489, 1987b. 

  4. Kim, Y.-B., Phi, T.-S., Hur, G.-H., Cheon, K.-C., "Clinical Considerations the Use of Pyridostigmine," Ground Weapon Systems Res. Dev. 7th Symp., pp. D91-D101, 1999b. 

  5. Dretchen, K. L., Bowles, A. M., Rains, A., "Protection by Phenytion and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s Againsts the Toxicity of Diisopropylfluorophosphate," Toxicol. Appl. Pharmacol., Vol. 83, pp. 584-589, 1986. 

  6. Rickett, D. J., Glenn, J. F., Beers, E. T., "Central Respiratory Effects Versus Neuromuscular Actions of Nerve Agents," Neurotoxicology, Vol. 7, pp. 225-236, 1986. 

  7. Dunn, M. A. Sidell, F. R., "Progress in Medical Defence Against Nerve Agents," JAMA, Vol. 262, pp. 649-652, 1989. 

  8. Loomis, T. A., Salafsky, B., "Antidotal Action of Pyridinium Oximes in Anticholinesterase Poisoning ; Comparative Effects of Soman, Sarin, and Neosigmine on Neuromuscular Function," Toxicol. Appl. Pharmacol., Vol. 5, pp. 685-701, 1963. 

  9. Berman, H. A., Decker, M. M., "Kinetic, Equilibrium, and Spectroscopic Studies on Dealkylation ('aging') of Alkyl Organophosphonyl Acetylcholinesterase," J. Biol. Chem., Vol. 261, pp. 10646-10652, 1986. 

  10. http://www.samyangchem.com 

  11. http://www.meridianmeds.com 

  12. O. Napoleon Monroe, N. Lawrenc Dalling, Clarence M. Mesa., "Dispersion Multichamber Auto-Injector," USP 5,092,843, 1992. 

  13. http://www.fda.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