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가중회귀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에너지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분석
Spatial Pattern Analysis of CO2 Emiss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Based on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42 no.2, 2016년, pp.96 - 111  

김동하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산업공학과) ,  강기연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산업공학과) ,  손소영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정보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or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s or CO2 emissions is global trend. To follow this trend, spatial stud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ffecting energy consumptions or CO2 emissions have been conducted, but only with the focus on spatial dependence, not on spatial heterogeneity. The aim of this st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이 갖고 있는 특성은 ?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은 가까운 지역끼리 공간적으로 의존적(spatial dependence)이거나 이질적인(spatial heterogeneity) 특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 배출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분석을 일반선형회귀 모형(Ordinary Least Squares, OLS)으로 진행한다면, 공간적 영향을 간과할 우려가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중 어떤 특징을 갖는가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 또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에너 지를 소비하는 단일 도시로서 2012년 이후 ‘원전 하나 줄이기’ 라는 구체적인 목표 아래 다각도의 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다.특히 온실 가스 중에서도 이산화탄소는 온실 효과에 기여하는 비중이 수증기 다음으로 높기 때문에 주요 정책 대상이 되어 왔다(Kiehl and Trenberth, 1997).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에서 비롯된 탄소 배출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파악하는 공간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진행되어왔으며, 도시와 국가 단위의 공간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Jiang et al.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의 의존적이거나 일적인 특성은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없게 하는가 ?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은 가까운 지역끼리 공간적으로 의존적(spatial dependence)이거나 이질적인(spatial heterogeneity) 특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탄소 배출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분석을 일반선형회귀 모형(Ordinary Least Squares, OLS)으로 진행한다면, 공간적 영향을 간과할 우려가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기존 연구에서도 서울시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e)를 고려한 전역적(Global) 패턴을 파악하는 공간 오차 및 시차 모형(Spatial error and lag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Ka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93-115. 

  2. Anselin, L. (1988), Spatial econometrics : Methods and models, Kluwer Academic, Dordrecht, Netherland. 

  3. Brunsdon, C., Fotheringham, A. S., and Charlton, M. E. (1996),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A method for exploring spatial nonstationarity, Geographical Analysis, 28(4), 281-298. 

  4. Burnett, J. W., Bergstrom, J. C., and Dorfman, J. H. (2013), A spatial panel data approach to estimating US state-level energy emissions, Energy Economics, 40, 396-404. 

  5. Cheng, Y., Wang, Z., Ye, X., and Wei, Y. D. (2014), Spatiotemporal dynamics of carbon intensity from energy consumption in China,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24(4), 631-650. 

  6. Choi, H. S. and Sohn, S. Y. (2015), Influence of interests in geographical indication on the prediction of price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 : case of appl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4), 359-367. 

  7. De Smith, M. J., Goodchild, M. F., and Longley, P. (2007), Geospatial analysis : a comprehensive guide to principles, techniques and software tools, Troubador Publishing, Leicester, UK. 

  8. Desipri, K., Legaki, N. Z., and Assimakopoulos, V. (2014), Determinants of domestic electricity consumption and energy behavior : A Greek case study,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in Information, Intelligence, Systems and Applications, IEEE, 144-149. 

  9. Glasure, Y. U. and Lee, A. R. (1998), Cointegration, error-corre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DP and energy : The case of South Korea and Singapore,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20(1), 17-25. 

  10. Griffin, A. (2014), Domestic energy consumption and social living standards : A GIS analysis within the Greater London authority area, LUMAGIS Thesis, Lund University, Lund, Sweden. 

  11. Hurvich, C. M., Simonoff, J. S., and Tsai, C. L. (1998), Smoothing parameter selection in nonparametric regression using an improved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60(2), 271-293. 

  12.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1. 

  13. Jiang, L., Ji, M., and Bai, L. (2015), Characterizing China's energy consumption with selective economic factors and energy-resource endowment : A spatial econometric approach, Frontiers of Earth Science, 9(2), 355-368. 

  14. Kang, C. D. (2011), Analysis on energy consump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 in Seoul with spatial econometrics : focusing on electricity and gas consumption, Seoul Studies, 12(4), 1-22. 

  15. Kiehl, J. T. and Trenberth, K. E. (1997), Earth's annual global mean energy budget,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2), 197-208. 

  16. Kim, I. H., Oh, K. S., and Jeong, S. H. (2011), Carbon emission model development using urban planning criteria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9(6), 12. 

  17. Kim, Y. G., An, Q., and Kim, S. W. (2015), The research of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ion : sort by region i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40(1), 139-154. 

  18. Lee, W. S. and Sohn, S. Y. (2015), Topic model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1), 64-73. 

  19. Li, Q. and Racine, J. (2004), Cross-validated local linear nonparametric regression, Statistica Sinica, 14(2), 485-512. 

  20. Nam, K. C., Lim, U., Kim, H. S., and Lee, J. S. (2010), Building carbon emission model for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growth management using system dynamics approach, Journal of Korea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6(3), 99-114. 

  21. Narayan, P. K. and Smyth, R. (2005), Electricity consumption, employment and real income in Australia evidence from multivariate granger causality tests, Energy Policy, 33(9), 1109-1116. 

  22. Osland, L. (2010), An application of spatial econometrics in relation to hedonic house price modeling,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32(3), 289-320. 

  23. Parajuli, R., Ostergaard, P. A., Dalgaard, T., and Pokharel, G. R. (2014), Energy consumption projection of Nepal : An econometric approach, Renewable Energy, 63, 432-444. 

  24. Seoul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Cartography of Climate and Energy of Seoul-The Third Final Report, Seoul. 

  25. Sovacool, B. K. and Brown, M. A. (2010), Twelve metropolitan carbon footprints : A preliminary comparative global assessment, Energy policy, 38(9), 4856-4869. 

  26. Tewathia, N. (2014), Determinants of the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 A case study of delhi,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Economics and Policy, 4(3), 337-348. 

  27. Tian, W., Song, J., and Li, Z. (2014),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domestic energy in urban areas, Energy, 76, 629-640. 

  28. Videras, J. (2014), Exploring spatial patterns of carbon emissions in the USA :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pproach, Population and Environment, 36(2), 137-154. 

  29. Wang, S., Fang, C., Ma, H., Wang, Y., and Qin, J. (2014), Spatial differences and multi-mechanism of carbon footprint based on GWR model in provincial China,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s, 24(4), 612-630. 

  30. Yang, H. Y. (2000), A note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ergy and GDP in Taiwan, Energy Economics, 22(3), 309-317. 

  31. Yu, H. (2012), The influential factors of China's regional energy intensity and its spatial linkages : 1988-2007, Energy Policy, 45, 583-593. 

  32. Zhao, X., Burnett, J., and Fletcher, J. J. (2014), Spatial analysis of China province-level CO2 emission intensit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33,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