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펜 기반의 건설현장 작업일보시스템 개발
Daily Reporting System using Digital Pen at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2, 2016년, pp.177 - 183  

신윤석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김대원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김태용 (Department of Plant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김광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업일보는 일일 단위로 계획과 실적이 기록되는 문서로 작업내용, 출력인원, 장비 및 자재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하지만 작업일보가 여러 단계를 거쳐 수기 작성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누락 및 왜곡될 수 있고 업무의 중복 문제가 발생하여 단순 보고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펜 기반의 작업일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높은 문자 인식 정확도(94.610%)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정보를 입력하는 추가 업무가 제거되고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하며 사용을 위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현행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설현장 문서업무 및 정보관리 효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ily report include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nd various daily planning and performance data recorded at a site, and includes work types, the number of workers, and the equipment and materials used. However, in the daily reporting process, some information can be omitted or distorted or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시스템들은 업무담당자가 작업일보를 수기로 시스템에 입력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디지털펜과 같이 자동으로 정보를 시스템으로 전산화시켜주는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수기로 작성되고 입력되는 작업일보 시스템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디지털펜 기술을 이용한 작업일보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일보시스템에서 이중의 입력작업, 데이터 손실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디지털펜을 이용한 작업일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설현장의 정보처리 효율화를 통하여 현장관리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하지만 작업일보가 여러 단계를 거쳐 수기 작성되는 과정에서 정보의 누락 및 왜곡될 수 있고 업무의 중복 문제가 발생하여 단순 보고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펜 기반의 작업일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높은 문자 인식 정확도(94.
  • 또한 기존에 개발된 작업일보 시스템도 업무담당자가 작업일보를 수기로 시스템에 입력을 해야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일보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디지털펜을 이용한 작업일보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건설 현장에 실제로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94.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펜 기반의 작업일보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공사 현장에서 30일 간 작업일보를 작성하는데 시스템을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Figure 7과 같은 전자화된 작업일보 30건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현장에서 수기로 작성되고 있는 작업일보 문서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펜 기술을 이용한 작업일보시스템을 제안하고 이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제한한다.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경기도 수원시 광교지구에 시공 중인 상업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30일간(2015년 4월 1일∼4월 30일) 실제 작업일보를 작성하고 그 정보가 제대로 전자화되는가를 확인하였다.
  • 일반적으로 작업일보의 작성은 전문건설업체에서 당일 오전 조회가 끝난 후에 작업일보 담당자가 금일 작업내용, 출력인원, 장비 및 자재 현황 등의 사항을 현장별 작업일보 양식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당일 오전 종합건설업체에 보고한다. 이어서 종합건설업체 담당자는 당일 오전에 이를 취합 및 정리하여 종합건설업체 양식으로 정리한 후에 감리단 등에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펜 기술이란 무엇인가? 디지털펜의 활용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디지털펜 기술(digital pen technology)은 전통적인 펜과 종이의 이동성(portability) 및 사회적 수용성(social acceptance)과 취득 정보의 디지털화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사용자가 종이나 터치스크린에 작성한 정보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5]. 따라서 사용자가 종이나 터치스크린에 작성한 문자, 스케치 등의 모든 정보를 빠르게 읽어 곧바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기 때문에 수기 작성과 데이터의 가공 및 취합, 스캔, 전송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이 쉽게 디지털화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작업일보란 무엇인가? 작업일보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장 세부적인 수준의 다양한 정보(작업내용, 출력인원, 장비 및 자재 현황 등)를 일일 단위로 계획하고 실적을 기록하는 문서로 최근 건설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웹기반의 프로젝트정보관리시스템(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이하 PMIS)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기능 중의 하나이다[2]. 그러나 수기로 작성된 작업일보의 정보를 다시 전산화시키기 위해서 입력을 해야 하는 추가적인 업무가 발생하여 업무효율 및 문서의 활용성이 떨어진다[3].
디지털펜 기술의 장점은? 디지털펜 기술(digital pen technology)은 전통적인 펜과 종이의 이동성(portability) 및 사회적 수용성(social acceptance)과 취득 정보의 디지털화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사용자가 종이나 터치스크린에 작성한 정보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5]. 따라서 사용자가 종이나 터치스크린에 작성한 문자, 스케치 등의 모든 정보를 빠르게 읽어 곧바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기 때문에 수기 작성과 데이터의 가공 및 취합, 스캔, 전송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이 쉽게 디지털화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미국의 벡텔(Bechtel)사는 기존 수작업 형태의 문서 오류를 줄이기 위해 펜과 태블릿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정보 처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건설현장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ang WY, Chin SY, Kim YS. Reengineering daily reporting process by using task generator and mobile technology.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5 Jun;6(3):100-10. 

  2. Yoon SW, Kim BK, Choi JM, Kwon SW. A prototype BIM server based viewer for cloud computing BIM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3 Jul;33(4):1719-30. 

  3. Jeong MG. A measurement of one day workload using digital pen technology [mater's thesis]. [Suwon (Korea)]: Kyonggi University; 2015. 88 p. 

  4. Na KS. A development of tact management system using a daily report information [master's thesis]. [Suwon (Korea)]: Kyunghee University; 2003. 51 p. 

  5. Son BK, Kim HJ. A framework for digitalizing handwritten document using digital pen and handwriting recognition technology. 2011 Mar;12(3):1417-26. 

  6. Park GT, Jung YC, Nam HJ, Son BK, Kim TH, Kim GH. Construciton information process using digital pen : focused on defect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2010 May 14; Seoul, Korea. Seoul (Korea):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0. p. 135-8. 

  7. Chin S, Kim JJ, Liu YL. A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1999 Apr:15(4):133-40. 

  8. Son BK. A study for improving building construction management productivity using digital pe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0 Sep;4(3):23-33. 

  9. Kim GH, Shin YS, Kim TY, Lee YD.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pen to a defect checklist of an apartment housing project.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2013 Feb;303-306(2013):2303-6. 

  10. Kim SK, Na KS, Kim TH, Yu JH, Lee HS, Kim CD. A study on the tact management using a daily report information.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3 Dec;4(4):1-8. 

  11. Chin SY, Kang WY, Kim YS. A development of task generator through an analysis of task location information structure.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4 Apr;5(2):64-71. 

  12. Cho HH, Kang KI. Development of proje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ily report for historical data acquisition and stor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 Nov;17(11):123-30. 

  13. Shim JK, Yi HI, Kim JJ.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2010 Aug;10(2):49-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