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최근 개도국 및 공적지원이 필요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인프라 시설 구축을 위해 도입되고 있는 사업모델인 PPP(Public-Private Partnership)과 ODA를 융합하여 민간자본을 유입하는 것이다. PPP는 건설산업의 전통적 계약방식의 일종인 BTL과 유사한 사업추진체계로, 터키 가지안텝(Gaziantep) 병원 등의 사례에 적용된 바 있다.
  • 본 고에서 소개하는 북한 건축 인프라 개선사업 추진모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건축 인프라 현황정보의 구축과 이에 기반한 자금조달방안을 고려한 대안이다(그림 2).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고는 통합될 남북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 예산의 투자개념으로 통일단계에서 수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건축 인프라 개선사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추진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사업추진 모델은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건축 인프라의 현황(DB)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하여 자금조달 방안 등과 같은 중장기적 사업추진계획을 지원하는 마스터 플랜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 한반도 통일은 북한이라는 새로운 건설시장의 창출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성숙기에 돌입한 국내 건설산업의 신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고는 향후 통일 한반도 구축을 위한 주요 요소 중 하나로 평가되는 건축 인프라 개선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모델을 소개하였다.
  • 따라서 향후 통일시 북한의 건축 인프라 개선사업은 국가 예산을 중심으로 수행될 가능성이 있으나, 정부입장에서는 인프라 개선에 요구되는 막대한 예산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상황이 고려된 북한 건축 인프라 개선 자금조달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시도별 상수도 보급률은 어떠한가? 다음으로 북한의 상하수도 및 난방시설 등 라이프라인의 노후화정도 역시 매우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며, 특히 통일 한반도 시대에서는 도시 외곽 및 농촌지역 등을 중심으로 거주 환경의 개선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시도별 상수도 보급률 분포를 보면 평양시는 93.3%로 가장 높은 반면, 황해남도는 78.4%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양시를 제외한 타 지역들은 수동펌프를 이용하여 상수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 상수처리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우물, 샘물 등으로 식수를 보충하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과 관련된 현 정부의 정책 방안과 목표는 무엇인가? 이는 우리나라 헌법 제4조의 내용으로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규정하고 있다. 현 정부 역시 드레스덴 구상(`14.3.28),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등에 기반하여 통일 관련 국가 상위전략을 수립 중에 있으며1), 인도적 지원 및 민생 인프라 구축을 통한 평화적 통일기반의 마련을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북한의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을 위해 민간자본만을 활용한다면 어떤 문제점이 예상되는가? 2014). 이와 같은 사업을 민간자본만을 활용하여 지원하는 방안은 정치적 위험, 자산 국유화 등 다양한 측면의 리스크를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통일시 북한의 건축 인프라 개선사업은 국가 예산을 중심으로 수행될 가능성이 있으나, 정부입장에서는 인프라 개선에 요구되는 막대한 예산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국토연구원, 2014 국토연구원 연차보고서, 2014 

  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래변화 이슈 심층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2015 

  3. 정은이, 북한의 주택시장에 관한 연구: 함경북도 무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KDI 북한경제리뷰, 2012 

  4. 통계청, 2008 

  5. 오창섭, 향후 남북통일에 따른 한국경제 및 금융시장 파급효과, 2014 Meritz Economic Insight, 2014 

  6. 현대경제연구원, 새로운 경제시스템 창출을 위한 경제주평, 현대경제연구원, 2014 

  7. 이상준 외, 한반도 공동번영을 위한 국토분야의 대응방안, 국토연구원,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